패장(敗醬)[본경/동의보감]

2021. 11. 7. 03:14[신농본초경]/중경(中經)

패장(敗醬)[본경/동의보감]

 

 

 

 

뚝갈/패장(敗醬)

 

 

 

뚝갈

 

이명 : [뚝깔] [뚜깔] [흰미역취]

학명 : Patrinia villosa (Thunb.) Juss.

분류군 : Valerianaceae(마타리과)

일명 : オトコエシ(Otokoeshi)

영명 : Whiteflower Patrinia

 

잎은 대생하고 단순하거나 우상으로 갈라지며 길이 3~15cm로서 양면에 백색털이 드물게 있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있으나 위로 가면서 없어진다. 잎은 상부의 것이 가장 크고, 폭이 넓은 난상 타원형이다.

 

열매

열매는 길이 2~3mm인 도란형의 수과로서 뒷면이 둥글고, 포가 발달한 길이 5~6mm의 둥근 날개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고 화서분지에는 원줄기의 하반부와 더불어 퍼진 또는 밑을 향한 백색 털이 있다. 화관은 지름 4m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통부가 짧다. 4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은 길게 꽃 밖으로 곧게 뻗고 자방은 하위이며 3실로서 그 중 1실만이 열매를 맺는다.

 

줄기

높이가 1m에 달하고 백색털이 많으며 밑에서 뻗는 가지가 지하 또는 지상으로 자라면서 번식하고 줄기는 곧게 선다.

 

원산지

한국.

 

분포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다년생 초본이다.

크기

높이 1m.

 

 

생육 환경

산 기슭이나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자란다.

/번식방법

뿌리에서 가지가 자라면서 끝에 새싹이 생겨 번식한다.

 

이용방안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뚝갈/마타리의 뿌리가 달린 全草(전초)敗醬(패장), 花枝(화지)黃屈花(황굴화)라 하며 약용한다.

 

敗醬(패장)

 

여름에 채취하는데 전그루를 뽑아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 전초에는 精油(정유)가 함유되어 있고 건조된 果枝(과지)에는 sinigrin이 함유되어 있다. 뿌리와 근경에는 morroniside, loganin, villoside 등을 함유하고 마타리의 뿌리와 근경에는 oleanolic acid, hederagenin, β-sitosterol-β-d-glucoside와 다종의 saponin을 함유한다. 뿌리에는 精油(정유) 8%, alkaloid, tannin, 전분 등이 함유되어 있고 정유에는 15종 이상의 성분이 함유되었고 주요한 것은 鎭靜(진정)과 최면작용의 유효성분인 patrineneisopatrinene이다.

 

약효 : 淸熱(청열), 해독, 排膿破瘀(배농파어)의 효능이 있다. 腸癰(장옹-蟲垂炎(충수염)), 下痢(하리), 赤白帶下(적백대하), 産後瘀滯腹痛(산후어체복통), 目赤腫痛(목적종통), 癰腫疥癬(옹종개선)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9-15g(신선한 것은 60-12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黃屈花(황굴화) - 花枝(화지)로 월경불순을 치료한다. 3-6g을 술에 담가 복용한다.

 

유사종

 

마타리(P. scabiosaefolia Fisch): 줄기는 윗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털이 없으나 아래쪽에는 약간의 털이 있으며, 밑에서 새싹이 나와 자란다.

금마타리(P. saniculaefolia Hemsl.): 줄기는 서고, 근생엽은 손바닥 모양,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특징

전체에 짧은 털이 밀생, 잎 양면에 흰 털이 있다.

 

 

 

학명 Patrinia villosa (Thunb.) Juss.

Ann. Mus. Natl. Hist. Nat. 10 : 311 (1807)

1. Fedia villosa (Thunb.) Vahl

Enum. pl. 2 : 10 (1806)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Patrinia dielsii Graebn.

Bot. Jahrb. 29 : 597 (Engl., 1901)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3. Patrinia dielsii var. erosa Graebn.

Bot. Jahrb. 29 : 589 (Engl., 1901)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4. Patrinia dielsii var. palustris Pamp.

Nuovo Giron. Bot. Ital. n. s. 17 : 728 (1910)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5. Patrinia dielsii var. shensiensis Graebn.

Bot. Jahrb. 29 : 589 (Engl., 1901)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6. Patrinia graveolens Hance

Ann. Sci. Nat., Bot. ser. 4, 15 : 224 (1861)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7. Patrinia ovata Bunge

Pl. Mongh.-China Dec. 1 : 23 (1835)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8. Patrinia sinensis (Lev.) Koidz.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Bot. Mag. (Tokyo) 43 : 390 (1929)

9. Patrinia villosa var. ambigua Pamp.

Nuovo Giorn. Bot. Ital. 17 : 728 (1910)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10. Patrinia villosa var. japonica Lev.

Repert. Spec. Nov. Rrngi Veg.10 : 439 (Fedde, 191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11. Patrinia villosa var. sinensis Lev.

Repert. Spec. Nov. Rengi Veg. 10 : 439 (191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12. Valeriana villosa Thunb.

Fl. jap. 32 (178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뚝갈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뚜깔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뚝깔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흰미역취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영문명 : Whiteflower Patrinia

일본명 : オトコエシ

북한명 : 뚝갈

 

 

 

 

Patrinia villosa Juss.

Ann. Mus. Natl. Hist. Nat. 10: 311. 1807 [Oct 1807]

10: 311 1807

Nomenclatural Notes:

nom. inval. Juss. assigned the basionym Valeriana villosa Thunb. to Patrinia, but did not combine the specific epithet villosa with Patrinia to make P. villosa (see Vienna Code Art. 33.1).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백화패장(白花败酱)

Patrinia villosa (Thunb.) Juss.

 

 

이명(异名)

 

Patrinia graveolens Hance

Patrinia ovata Bunge

Patrinia dielsii Graebn.

Patrinia dielsii var. erosa Graebn.

Patrinia dielsii var. palustris Pamp.

Patrinia dielsii var. shensiensis Graebn.

Patrinia sinensis (H. Lév.) Koidz.

Patrinia villosa var. ambigua Pamp.

Patrinia villosa var. japonica H. Lév.

Patrinia villosa var. sinensis H. Lév.

 

 

多年生草本50-100厘米茎枝被倒生粗白毛毛渐脱落地下有细长走茎生长新株基生叶丛生宽卵形或近圆形边缘有粗齿叶柄较叶片稍长茎生叶对生卵形菱状卵形或窄椭圆形4-11厘米2-5厘米顶端渐尖至窄长渐尖基部楔形下延1-2对羽状分裂上部叶不分裂或有1-2对窄裂片两面疏生长毛脉上尤密叶柄长1-3厘米上部叶渐近无柄花序顶生者宽大成伞房状圆锥聚伞花序花白色直径5-6毫米花萼小花冠筒短5雄蕊4伸出子房下位花柱较雄蕊稍短瘦果倒卵形与宿存增大苞片贴生苞片近圆形径约5毫米膜质脉网明显

 

分布于东北华北华东华南和西南日本也有生草坡草丛中

 

 

 

&&&&&&&&&&&&&&&&&&&&&&&&&&&&&&&&&&&&&&&&&

 

 

 

 

마타리/패장(敗醬)

 

 

 

마타리

 

이명 : [가양취] [미역취] [가얌취]

학명 : Patrinia scabiosaefolia Fisch. ex Trevir.

분류군 : Valerianaceae(마타리과)

일명 : オミナエシ(Ominaeshi)

영명 : Dahurian Patrinia

 

잎은 대생하고 우상으로 깊이 갈라지며 양면에 복모가 있고,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있고 위로 갈수록 없어진다. 근생엽은 난형 내지 긴 타원형이다.

 

열매

수과로 타원형이며 길이는 3-4mm로서 약간 편평하고 앞면에는 맥이 있으며 뒷면에는 능선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황색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화서분지의 한쪽에 돌기 같은 흰털이 있다. 화관은 황색이고 지름 3-4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통부가 짧고, 4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자방은 하위이고 3실로서 그 중 1실만이 종자를 맺는다.

 

줄기

높이 60-150cm이고 곧게 자라며 줄기 윗부분에서 분지하고 털이 없으나 밑부분에는 털이 약간 있으며 밑에서 새싹이 갈라져서 번식한다.

 

뿌리

근경은 굵고 옆으로 뻗는다. 굵은 뿌리가 비스듬히 뻗으며, 몇 개의 잔뿌리가 내린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일본, 중국, 소련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야 양지에 자생한다.

 

형태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크기

높이 60-150cm.

 

 

 

 

생육 환경

해가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는 다소 건조하고 부식질이 많은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수분

건조

/번식방법

실생 및 분주로 번식한다.

실생 : 가을에 씨가 익으면 채종하여 직파하든가 다음해 봄에 뿌린다. 뿌리를 약초로 재배하는 것이 아니라 어린 순을 나물로 목적한 재배일 때는 실생번식으로 밀파하여 연하고 긴 순을 채취하는 것이 좋다.

분주 : 옆으로 뻗는 근경에서 새싹이 나오므로 이것을 쪼개어 심으면 된다.

재배특성

양성식물로 노지에서 월동 생육한다. 보통으로 관수 관리한다. 환경내성과 이식성은 보통이다.

결실기

9, 10

 

이용방안

 

어린 순은 식용한다.

정원이나 공원 등에 심어 관상한다. 절화용으로도 이용하면 좋다.

뚝갈/마타리의 뿌리가 달린 全草(전초)敗醬(패장), 花枝(화지)黃屈花(황굴화)라 하며 약용한다.

 

敗醬(패장)

 

여름에 채취하는데 전그루를 뽑아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 전초에는 精油(정유)가 함유되어 있고 건조된 果枝(과지)에는 sinigrin이 함유되어 있다. 뿌리와 근경에는 morroniside, loganin, villoside 등을 함유하고 마타리의 뿌리와 근경에는 oleanolic acid, hederagenin, β-sitosterol-β-d-glucoside와 다종의 saponin을 함유한다. 뿌리에는 精油(정유) 8%, alkaloid, tannin, 전분 등이 함유되어 있고 정유에는 15종 이상의 성분이 함유되었고 주요한 것은 鎭靜(진정)과 최면작용의 유효성분인 patrineneisopatrinene이다.

 

약효 : 淸熱(청열), 해독, 排膿破瘀(배농파어)의 효능이 있다. 腸癰(장옹-蟲垂炎(충수염)), 下痢(하리), 赤白帶下(적백대하), 産後瘀滯腹痛(산후어체복통), 目赤腫痛(목적종통), 癰腫疥癬(옹종개선)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9-15g(신선한 것은 60-12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黃屈花(황굴화) - 花枝(화지)로 월경불순을 치료한다. 3-6g을 술에 담가 복용한다.

 

 

유사종

 

돌마타리(P. rupestris Juss.)

금마타리(P. saniculaefolia Hemsl.): 줄기에 마주 붙은 잎은 손바닥꼴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뚝갈(P. villosa Juss.)

특징

가을의 대표적인 들풀의 하나지만 `패장`이라는 생약명으로 알려져 있는 약초다. 그러나 봄에 돋아나는 어린 순은 `가얌취`라고도 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마타리를 패장이라 하고 있다. 패장이란 말은 뿌리에서 장(豆醬) 썩는 냄새가 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학명 Patrinia scabiosaefolia Fisch. ex Trevir.

Ind. Sem. Hort. Bot. Vrat. App. 2 : (1820)

1. Fedia scabiosaefolia (Fisch.) Trevir.

Nov. Act. Soc. Nat. Cur. 13-1 : 165 (1826)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2. Fedia serratulaefolia Trevir.

Ind. Sem. Hort. Bot. Vratislav. App. 2 : (1820)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Patrinia hispida Bunge

Pl. Mong.-Chin. 1 : 25 (1835)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4. Patrinia japonica Miq.

Arch. Neerl. Sci. Nat. 5 : 96 (1870)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5. Patrinia parviflora Siebold & Zucc.

Abh. Math.-Phys. Cl. konigl. Bayer. Akad. Wiss. 4-3 : 195 (1846)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6. Patrinia scabiosaefolia Fisch. ex Link

Enum. Hort. Berol. 1 : 131 (1821)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7. Patrinia scabiosaefolia f. glabra Kom.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25 : 538 (190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8. Patrinia scabiosaefolia for. hispida (Bunge) Kom.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25 : 538 (190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9. Patrinia scabiosaefolia var. hispida (Bunge) Franch.

Nouv. Arch. Mus. Par. 2(5) : 38 (1883)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10. Patrinia scabiosaefolia var. nantcianensis Pamp.

Nuovo Giorn. Bot. Ital. n. s. 17 : 729 (1810)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11. Patrinia serratulaefolia (Trevir.) Fisch. ex DC.

Prodr. (DC.) 4 : 624 (DC., 1830)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국명 마타리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가얌취

1)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2. 가양취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미역취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영문명 : Dahurian Patrinia

일본명 : オミナエシ

북한명 : 마타리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패장(败酱)

Patrinia scabiosifolia Fisch. ex Trevir.

 

 

이명(异名)

 

Patrinia scabiosaefolia Fisch. ex Trev.

Fedia scabiosifolia Trevir.

Fedia serratulifolia Trevir.

Patrinia parviflora Siebold et Zucc.

Patrinia scabiosifolia f. glabra Kom.

Patrinia scabiosifolia f. hispida Kom.

Patrinia scabiosifolia var. hispida (Bunge) Franch.

Patrinia scabiosifolia var. nantcianensis Pamp.

Patrinia serratulifolia (Trevir.) Fisch. ex DC.

Patrinia hispida Bunge

 

Patrinia scabiosifolia Fisch. ex Trevir.

Index Seminum [Wroclaw / Breslau (Vratislav)] 1820 (App. 2): 2, adnot. 5. [1820-1821] (as "scabiosaefolia")

1820 (App. 2): 2, adnot. 5 1820

Nomenclatural Notes:

nom. inval. nom. nud.

 

Remarks: Adnot. 5 (traslated by Werner Greuter (B)): "It [Patrinia scabiosifolia] links Patrinia with Fedia and so [must be named]: F[edia] serratulifolia ..."

 

 

 

 

 

^^^^^^^^^^^^^^^^^^^^^^^^^^^^^^^^^^^^^^^^^^^^^^^^^^^^^^^^^^^^^^^^^^^^^^^^^^^^^

 

敗醬

 

味苦平

 

主暴熱火創赤氣疥搔疸痔馬鞍熱氣一名鹿腸生川谷

 

名醫一名鹿首一名馬草一名澤敗生江夏八月採根曝幹

范子計然敗醬出三輔陶宏景云氣如敗醬故以為名

 

 

 

[本經/中經]

 

 

^^^^^^^^^^^^^^^^^^^^^^^^^^^^^^^^^^^^^^^^^^^^^^^^^^^^^^^^^^^^^^^^^^^^^^^^^^^^^

 

敗醬

 

패장(敗醬)

 

 

性平一云微寒味苦稜無毒

 

()은 평()하고 <일운(一云) 미한(微寒)> ()는 고(), ()하며 무독(無毒)

 

 

主破多年凝血能化膿爲水及産後諸病能催生落胞療暴熱火瘡瘡瘍疥癬丹毒治赤眼障膜努肉熎耳又排膿補瘻

 

 

다년(多年)의 응혈(凝血)을 파()하고 능()히 화농(化膿)하여 물이 되게 하며, 산후(産後)의 제병(諸病), 분만(分娩)을 최촉(催促), ()를 낙()하는데 주효(主效)가 있다. 폭열화창(暴熱火瘡), 창양(瘡瘍), 개선(疥癬), 단독(丹毒)을 치료(治療)한다. 적안(赤眼), 장막(障膜), 노육(弩肉), 정이(聤耳), 및 배농(排膿)하며 누()를 보()한다.

 

 


生山野根紫色似柴胡作陳敗豆醬氣故以爲名八月採根暴乾本草

 

산과 들에서 자라는데 뿌리는 자줏빛이며 시호(柴胡)와 비슷하다. 두장(豆醬)과 같은 취기(臭氣)가 나기 때문에 패장(敗醬)이라고 한다. 팔월(八月)에 채근(採根)하여 폭건(暴乾)한다. [본초].

 


入足少陰經手厥陰經湯液

 

 


족소음경(足少陰經)과 수궐음경(手厥陰經)에 들어간다[탕액].

 

 

 

[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