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해(萆薢)[본경/동의보감]

2021. 7. 7. 01:37[신농본초경]/중경(中經)

비해(萆薢)[본경/동의보감]

 

 


비해(萆薢)

면비해(绵萆薢)



대한민국약전
도코로마 Dioscorea tokora Makino

萆薢Dioscorea septemloba Thunb.
복주서여Dioscorea futschauensis Uline ex R. kunth
중국약전 粉萆薢:분배서여 Dioscorea hypoglauca Palibin 면비해Dioscorea septemloba Thunb.
중약대사전 粉背薯蕷叉蕊薯蕷山萆薢或纖細薯蕷等 면비해Dioscorea septemloba Thunb.
중화본초 Dioscorea collettii Hook.f. var. hypoglauca(Palibin)Péi et Ting.

1.Dioscorea septemloba J.Q.Xi,M.Mizuno et W.L.Zhao.


2.Dioscorea futschuensis Uline ex R.Knuth
중약학 면비해 Dioscorea septemloba Thunb
복주서여D.futschauensis Uline ex RKunth
분배서여D.hypoglauca Palibin

현대연구 분배서여Dioscorea hypoglauca Palib.
차예서여Dioscorea collettii Hook. f.
산비해Dioscorea tokoro Mak
섬세서여Dioscorea gracillima Miq.

 

 

 

도꼬로마/비해(綿萆薢)

 

 

 

 

도꼬로마

 

 

이명 : [도고로마] [큰마]

학명 : Dioscorea tokoro Makino

분류군 : Dioscoreaceae(마과)

일명 : 野老(トコロ/Tokoro), Oni-dokoro

영명 : Mountain Yam

 

 

잎은 어긋나며 엽병이 길고 막질이며 길이 5-12, 5-10로서 심장형 또는 심장상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은 심장저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양면에 털이 없다.엽병이 길다.

열매

과실은 삭과로서 3개의 날개가 있고 과경에서 곧추서고, 끝이 오목 들어가며, 종자는 한쪽에 막질의 날개가 있다.

 

 

자웅이주이며 엷은 녹색이고 6~7월에 개화하며 꽃이삭은 액출하고 수꽃은 총상화서로서 단일하거나 가지가 갈라지며 암꽃은 수상화서로 가지가 갈라지지 않고 아래로 늘어지며 다소 꽃이 잘다.엽액에 주아가 달리지 않는다. 수꽃은 화경이 있으나 암꽃은 화경이 없고 화피열편은 6개이며 수꽃에 6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에 3개로 갈라진 암술머리를 가진 1개의 암술이 있다. 화개는 6개이고 장타원형이며 벌어진다.

줄기

가늘고 길며 덩굴을 뻗는다.

뿌리

근경은 비후되어 옆으로 뻗는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 경북, 충북, 강원(치악산, 설악산), 경기, 황해, 평북, 함남에 야생한다.

형태

다년생 덩굴식물.

 

 

생육환경

 

산지, 들의 습기가 많은 곳에 난다.

/번식방법

종자, 분근, 주아로 번식한다.

 

 

 

유사종

 

단풍마(Discorea quinqueloba Thunb.) : 단풍마는 잎이 단풍처럼 갈라져 있다. 뿌리를 마와 같이 식용으로 한다. 또 봄철에 돋는 어린 싹은 나물로 하면 맛이 좋다.

둥근마(D. bulbifera): 괴근은 크고 둥근 모양이며 바깥껍질은 검은색이다.

참마(D. japonica): 잎은 긴 타원상 좁은 삼각형, 심장형, 털이 없다.

국화마(D. septemloba): 전체에 털이 없고, 잎은 흑갈색,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며 국화 잎과 비슷하다.

각시마(D. tenuipes): 잎은 도꼬로마와 닮았으나, 긴 심장형이다.

 

특징

둥근마와 비슷하나, 근경이 깊게 땅 속으로 뻗는 점이 크게 다르다.

 

 

 

 

 

 

 

 

 

학명 Dioscorea tokoro Makino

Bot. Mag. (Tokyo) 3 : 112 (1889)

 

1. Dioscorea yokusaii Prain & Burkill

J. Asiat. Soc. Bengal. 23(suppl): 10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문헌정보

기재문

문헌명 : Bot. Mag. (Tokyo) 3 : 112

 

국명 도꼬로마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도고로마

1)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초본류) (정태현, 1965)

2. 큰마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북한명

외국명 영문명

Mountain Yam

일본명

トコロ

 

 

Dioscorea tokoro Makino

Ill. Fl. Japan 1(4): t. 24. 1889 [Mar 1889] ; addit. publ.: Bot. Mag. (Tokyo) 3(26): 112. 1889.

1(4): t. 24 1889

Distribution:

Japan (Eastern Asia, Asia-Temperate)

 

Original Data:

Notes: Japon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산비해(山萆薢)

 

Dioscorea tokoro Makino

 

 

이명(异名)

 

Dioscorea saidae R. Knuth

Dioscorea wichurae Uline ex R. Knuth

Dioscorea yokusai Prain et Burkill

Dioscorea buergeri Uline ex R.Knuth

Dioscorea enneaneura (Uline ex Diels) Prain & Burkill

Dioscorea buergeri var. enneaneura Uline ex Diels

 

 

 

 

草质缠绕藤本根状茎横生近圆柱形不规则分枝茎表面光滑有纵沟单叶互生茎下部叶片心形至中部以上渐成三角状心形顶端渐尖成尾状基部心形至宽心形全缘有时呈浅波状雄花序为总状或圆锥花序雄花有梗在花序的基部通常2-4朵集成伞房状至中部以上通常单生雄蕊6着生于花被基部顶端向外弯曲雌花序穗状或圆锥状单生果梗扭曲下垂蒴果翅长1.5-2.0厘米0.5-1.0厘米种子着生于果实每室的基部翅由两测向上扩大宽超过种子1倍以上

 

分布于江苏浙江湖南湖北福建江西四川贵州日本也有生于海拔60-1000米的稀疏杂木林或竹林下根状茎为缓和利尿药

 

 

 

 

 

&&&&&&&&&&&&&&&&&&&&&&&&&&&&&&&&&&&&&&&&&&&&&&&&&

 

 

 

분배서여(粉背薯蓣)/비해(萆薢)

 

 

粉背薯蓣(분배서여)

Dioscorea collettii var. hypoglauca (Palibin) Pei et C. T. Ting

 

 

异名(이명)

Dioscorea morsei Prain et Burkill

Dioscorea undulata R. Knuth

Dioscorea hypoglauca Palib.

Dioscorea kaoi Liu et Huang

Dioscorea izuensis Akahori

 

 

本变种与原变种的主要区别在于叶为三角形或卵圆形有些植株叶片边缘呈半透明干膜质;雄蕊开放后药隔宽约为花药的一半;蒴果两端平截顶端与基部通常等宽花期58果期610

 

 

^^^^^^^^^^^^^^^^^^^^^^^^^^^^^^^^^^^^^^^^^^^^^^^^^^^^^^^^^^^^^^^^^^^^^^^^^^^

 

萆薢

 

 

味苦平

 

主腰背痛強骨節風寒濕週痺惡創不瘳熱氣生山谷

 

 

名醫一名赤節生真定八月採根曝幹

博物誌苃葜與萆薢相亂

 

 

[神農本草經/中經]

 

^^^^^^^^^^^^^^^^^^^^^^^^^^^^^^^^^^^^^^^^^^^^^^^^^^^^^^^^^^^^^^^^^^^^^^^^^^^

 

 

摕穨

 

비해(萆薢)

 

 

명앳불휘性平味苦甘無毒

 

()은 평()하고 미()는 고감(苦甘)하며 무독(無毒)하다.

 

 

主風濕周痺惡瘡不發冷風㴇痺腰脚不遂㵐腰痛久冷是腎間有膀胱宿水療陽浔實尿

 

 

풍습(風濕),주비(周痺)와 악창(惡瘡)이 낫지 않는 것, 냉풍완비(冷風顽痹), 요각불수(腰脚不遂), 갑자기 허리가 아픈 것, 구랭(久冷)으로 신간(腎間)에 방광(膀胱)이 숙수(宿水)하는 것. 양위증(陽 證)과 소변(小便)이 나가는 줄 모르는 것을 낫게 한다.

 

 


處處有之葉似薯橅蔓生二月八月採根暴乾

 

곳곳에서 자라는데 엽()은 만생(蔓生)으로 서여(薯蕷)와 같으며 이월(二月), 팔월(八月)에 채근(採根)하여 폭건(暴乾)한다.

 


有二種莖有刺根白實無刺者根虛軟以軟者爲佳本草

 

이 초()는 이종(二種)이 있다. ()에 자()가 있는 것은 근()이 희고 실()하며며, ()가 없는 것은 허()하고 연()하다. ()한 것이 한결 뛰어나다.[본초].

 

 


[동의보감(東醫寶鑑)]

 

 

 

토복령(土茯苓)

 

一名土茯巔一名仙遺粮又名冷飯團性熱味甘辛無毒善治久病楊梅瘡,漏及曾誤服輕粉肢體廢壤筋骨攣疼者能收其毒而祛其風補其虛.尋常老弱亦可服酒浸或鹽水煮焙乾用若初起肺熱便秘者不宜服入門

 

일명(一名) 토복령(土茯苓), 선유량(仙遺粮) 또는 냉반단(冷飯團)이라고도 한다. () ()하며 미()는 감신(甘辛)하며 무독(無毒)하다. 오래 앓는 양매창(楊梅瘡)의 옹루(癰漏)와 이미 경분(輕粉)을 잘못 먹고 지체폐괴(肢體廢壞), 근골동통(筋骨疼痛)된 자()를 잘 치()하며 경분의 독()을 수()하고 풍()을 거()하고 허()를 보()하므로 노약(老弱)자도 복용(服用)할 수 있다. 주침(酒浸) 또는 염수(鹽水)에 자()하여 배건(焙乾)하여 사용(使用)한다. 만일 초기(初起)의 폐열변비(肺熱便秘) ()는 불선복(不宣服)한다.[입문].

 

 

 

 

 

仙遺糧(토복령)

 

 

又名土茯苓味甘無毒善治久病楊梅癰漏及曾誤服輕粉肢體廢壞筋骨疼痛者能收其毒而祛其風補其虛若初起肺熱便秘者不宜尋常老弱亦可服之健筋骨得川椒皂角良

 

醫學入門> 內集·卷二/本草分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