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2. 9. 02:48ㆍ[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미후도(獼猴桃)[동의보감]
키위/미후도(猕猴桃)
키위
학명 Actinidia chinensis Planch.
생물학적 분류 피자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크기와 너비 크기 5~10m
용도 재배용, 정원용
특징
낙엽성 과수로 높이는 5∼10m 정도 크며 타물체를 감으면서 올라가고 어린 가지에는 붉은색의 털이 있다. 잎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는 10∼15㎝이고 거치가 있다. 잎 표면은 암록색이 나고 뒷면은 흰색의 털이 나 있다. 엽맥상에는 적색의 털이 있고 꽃은 직경이 3∼4㎝로 처음에는 크림상의 백색으로부터 후에는 갈황색으로 변한다. 과실은 난형 또는 구형으로 직경이 3∼5㎝이고 표피에 털 같은 것이 많으며 식용하거나 정원수로 이용된다. 원산지는 동부 및 동남 아시아로 약 36종이 난다.
화재응용
과일로서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재배도 급격히 증가해 왔다. 화재로서는 키위의 덩굴을 이용하지만 덩굴의 성장은 대단히 빠르고 가지를 자른 후 버리는 가지를 기술적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최근에 널리 이용되는 화재이다. 투입화, 수반화, 현대화 등에 이용되고 있다. 덩굴이 가진 자연적인 곡선의 운동감과 리듬감을 살리는 것이 중요하므로 약간 길게 이용된다. 덩굴을 서로 엉키게 해 박력을 나타내기도 한다.
물올리기 : 필요없음.
배합 : 철쭉나무, 동백나무, 오동나무, 찔레열매, 야자열매, 고욤나무, 국화류, 백합류, 안슈리움, 홍화, 장미, 해바라기, 맨드라미, 카네이션, 거베라, 몬스테라, 아스파라거스(미리오클라두스, 메이리), 파초일엽, 스킨다푸서스, 잎새란, 엽란.
꽃생김새꽃은 직경이 3∼4㎝로 처음에는 크림상의 백색으로부터 후에는 갈황색으로 변한다.
출처 한국화재식물도감
Actinidia chinensis Planch.
London J. Bot. 6: 303. 1847
6: 303 1847
Original Data:
Notes: China
출처:IPNI
중화미후도(中华猕猴桃)
Actinidia chinensis Planch.
이명(异名)
Actinidia chinenssis Planch.
Actinidia chinensis f. rufopulpa C.F.Liang & R.H.Huang
Actinidia chinensis var. rufopulpa (C.F.Lianf & R.H.Huang) C.F.Liang & A.R.Ferguson
藤本;幼枝及叶柄密生灰棕色柔毛,老枝无毛;髓大,白色,片状。叶片纸质,圆形,卵圆形或倒卵形,长5-17厘米,顶端突尖、微凹或平截,边缘有刺毛状齿,上面仅叶脉有疏毛,下面密生灰棕色星状绒毛。花开时白色,后变黄色;花被5数,萼片及花柄有淡棕色绒毛;雄蕊多数;花柱丝状,多数。浆果卵圆形或矩圆形,密生棕色长毛,8-10月成熟。
广布长江流域以南各省区,北到西北、河南。生林内或灌丛中,海拔达1850米。根、藤和叶药用,清热利水,散瘀止血;本属植物的果实含多量糖类和维生素,可生食、制果酱、果脯;茎皮及髓含胶质,可作造纸胶料;花可提取香精。
^^^^^^^^^^^^^^^^^^^^^^^^^^^^^^^^^^^^^^^^^^^^^^^^^^^^^^^^^^^^^^^^^^^^^
昜糅桃
猕猴桃(미후도)
韁래性寒味酸甘無毒
성(性)은 한(寒)하고 미(味)는 산(酸)하며 무독(無毒)하다.
止暴渴解煩熱下石淋冷脾胃療熱壅反胃
폭갈(暴渴)을 멎게 하고, 번열(煩熱)을 해소(解消)하며, 석림(石淋)을 하(下)한다. 장위(腸胃)를 냉(冷)하게 하며, 열옹반위(熱壅反胃)를 요(療)한다.
處處有之生山中作藤蔓延樹木上其實靑綠色形扁而大初甚若澁經霜始甘美乃可食之一名藤梨《本草》
어느 곳에나 다 있으며 깊은 산속에서 자라는데 나무를 감고 덩굴지어 뻗어 있다. 그 열매는 푸른 풀색이며 생김새가 좀 납작하면서 크다. 처음에는 심(甚)히 고삽(苦澁)하며 서리를 맞은 후에야 감미(甘美)해지니 먹을 수 있다. 일명(一名) 등리(藤梨)라고도 한다[본초].
[동의보감(東醫寶鑑)]
'[동의보감] > 탕액편(湯液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황(蛇黃)[본초강목] (0) | 2019.12.09 |
---|---|
사황(蛇黃)[동의보감] (0) | 2019.12.09 |
종려(棕榈)[동의보감(東醫寶鑑)] (0) | 2019.12.02 |
빈랑(檳榔)[동의보감] (0) | 2019.11.25 |
대복피(大腹皮)[동의보감] (0) | 2019.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