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중(貫眾)[본경/동의보감]

2019. 9. 28. 02:06[신농본초경]/하경(下經)

관중(貫眾)[본경/동의보감]

 

 

관중 /관중(貫眾)

 

 

 

관중

 

이명 : [호랑고비] [면마]

학명 :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분류군 : Dryopteridaceae(면마과)

일명 : オシダ(Oshida)

 

잎 잎은 근경에서 윤생하고 길이 1m 내외,  25cm 정도에 달하며 엽병은 엽신보다 훨씬 짧고 중축과 더불어 인편이 밀생한다. 인편은 윤채가 있으며 황갈색 또는 흑갈색이고 밑부분의 것은 길이 2c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돌기가 있으나 위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며 작아진다. 엽신은 도피침형으로서 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우편엽은 대가 없으며 폭은 1.5~2.5cm로 거의 우상으로 완전히 갈라지고, 아래로 갈수록 작아지며 간격이 넓어지고 곱슬털 같은 인편이 있다. 열편은 긴 타원형이며 원두 또는 둔두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엽맥은 표면에서 들어가며 측맥은 보통 2개로 갈라지고 가에는 둔한 거치가 있다.

 

열매

포자낭군은 잎 윗부분의 우상엽 중륵 가까이에 2줄로 붙어 있다. 포막은 둥근 심장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뿌리

근경은 굵고 곧다. 잔뿌리가 사방으로 뻗는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일본, 만주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지에 자생한다.

형태

다년초(숙근성 양치류).

크기

높이 50-100cm.

 

생육환경

 

산지의 그늘진 음습한 곳에서 자생한다.

보통으로 관수하고, 공중습도는 다습하게 관리하고 환기를 요한다.

광선

음생

토양

비옥

수분

습윤

 

 

/번식방법

분주나 포자로 번식한다.

포자낭군은 잎 윗부분의 우상엽 중륵 가까이에 2줄로 붙어 있다. 포막은 둥근 심장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번식방법

부식질이 많은 부식토나 수태에 심어서 재배한다.

반그늘 또는 그늘에서 잘 자라고, 노지에서 월동 생육한다.

관수 관리:산지의 그늘진 음습한 곳에서 자생한다. 보통으로 관수하고, 공중 습도는 다습하게 관리하고 환기를 요한다.

환경내성은 보통이며, 이식성은 용이하다.

 

이용방안

 

분화식물로 재배하거나 정원의 수목 아래 심어 관상한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관중 및 同屬(동속) 近緣植物(근연식물-참새발고사리, 털고사리, 청나래고사리, 새깃아재비, 고비) 根莖(근경) 貫中(관중)이라 하며, 약용한다.

 

, 가을에 뿌리째 캐어서 엽병,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흙을 털어 깨끗이 씻어 햇볕에서 말린다.

 

성분 : 관중 근경의 주요성분은 filmarone 이며, 이것은 일종의 복잡한 phloroglucinol 유도체로서 불안정하며 서서히 분해해서 aspidin, albaspidin이 생기고 또 aspidinol, flavaspidic acid, filicinic acid을 함유한다. 그 밖에 精油(정유), filixtanninwlf, 지방, 수지 등을 함유하며 또한 triterpenoid fernene, hopene-b(diploptene), adiantone, hydroxyhopane(diplopterol) hopanol-29 (neriifoliol), filicene 등을 함유한다. 포기고사리의 근경은 ponasterone A, ecdysterone, pterosterone을 함유한다. 고비의 근경은 ponasterone A, ecdysterone을 함유한다. 새깃아재비의 근경은 전분(26.5% 혹은 48.5%), tannin을 함유한다.

 

약리 : 구충작용, ()비루스作用(작용), 항균작용 등이 있다.

 

독성 : 綿馬(면마-관중의 뿌리를 칭한다)는 유독하므로 그다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隨意筋(수의근)(心筋(심근) 포함)을 마비시키고 위장을 자극하며 심한 경우에는 구토, 설사, 시력장애 등을 일으키고, 결국 실명에 이른다. 중독시에는 中樞神經(중추신경)의 장애, 떨림, 痙攣(경련), 또한 延髓痲痺(연수마비)를 일으킨다. 姙婦(임부), 허약환자, 소아, 實質器官(실질기관)의 질병환자, 소화기관 潰瘍患者(궤양환자)는 모두 사용을 금한다.

 

약효 : 회충, 조충, 요충을 구제, 淸熱(청열), 해독, 凉血(양혈), 지혈의 효능이 있다. 風熱感氣(풍열감기), 溫熱斑疹(온열반진), 토혈, 鼻出血(비출혈), 腸風血便(장풍혈변), 血痢(혈리), 血崩(혈붕), 帶下(대하)를 치료한다. 또 유행성감기, 유행성B형뇌염, 유행성이하선염 등의 전염병을 예방한다. 그 밖에 월경과다, 風寒濕痺(풍한습비), 腰膝酸痛(요슬산통), 遺尿(유뇨)를 치료한다.

 

용법/용량 : 4.5-9g을 달이거나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 가루 내어 조합해서 바른다.

 

금기 : 陰虛內熱(음허내열)  脾胃虛寒(비위허한)한 자에게는 좋지 않다. 姙婦(임부) 등은 금한다.

유사종

비늘고사리(D. lacera)

곰비늘고사리(D. uniformis)

유럽산관중(D. filix-mas)

북미산 관중(D. marginalis)

아프리카산 관중(D. anthemintica)

 

특징

환경부에서 지정한 보호식물(-2)이므로 산야에서 함부로 채취해서는 안 된다.

 

 

 

학명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Cat. Sem. Spor. Hort. Bot. Univ. Tokyo 32 (1920)

국명 관중

1)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3)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면마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호랑고비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북한명

외국명 영문명

일본명

オシダ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Cat. Sem. Hort. Bot. Univ. Imp. Tokyo 32. 1920. 1920

32. 1920. 0

Distribution:

Japonia.

 

Original Data:

Distribution: Japonia.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조경린모궐(粗茎鳞毛蕨)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根状茎直立连同叶柄基部密生褐棕色卵状披针形大鳞片叶簇生叶柄长10-25厘米基部以上直达叶轴密生棕色条形至钻形狭鳞片叶片倒披针形草质60-100厘米中部稍上处宽20-25厘米羽片两面有纤维状鳞毛二回深羽裂中部羽片长10-15厘米2-2.5厘米裂片密接近长方形圆头或圆截头近全缘或顶部有浅缺刻侧脉羽状分叉孢子囊群仅分布于叶片中部以上的羽片上生于小脉中部以下每裂片2-4囊群盖圆肾形 广布于东北和河北东北部朝鲜日本也有生林下海拔300-1200本种根状茎通称绵马有毒人药可驱绦虫和十二指肠虫东北充当贯众欧洲鳞毛蕨D. filix-mas (L.) Schott.体形较小裂片边缘锐裂成粗齿产新疆孢子含油量约46%

 

 

 

^^^^^^^^^^^^^^^^^^^^^^^^^^^^^^^^^^^^^^^^^^^^^^^^^^^^^^^^^^^^^^^^^^^^^^^

 

​​


 

味苦微寒

 


主腹中邪熱氣諸毒殺三蟲一名貫節一名貫渠一名百頭(《御覽作白),一名虎卷一名扁符生山谷


 

吳普貫眾一名貫來一名貫中一名渠母一名貫鐘一名伯芹一名藥藻一名扁符一名黃鐘神農岐伯苦有毒桐君扁鵲苦一經甘有毒黃帝鹹酸一經苦無毒葉黃兩兩相對黑毛聚生冬夏不老四月花八月實黑聚相連卷旁行生三月八月採根五月採藥(《御覽》)。

 

名醫一名伯萍一名藥藻此謂草鴟頭生元山及冤句少室山二月八月採根陰乾

 

說文:(上艹下中草也。《廣雅貫節貫眾也。《爾雅濼貫眾郭璞雲圓銳毛黑布地冬夏不死一名貫渠又上雲扁符止郭璞雲未詳據經云一名篇符即此也。《爾雅當云篇符濼貫眾


 

[本經/下經]

 

 

 

 

^^^^^^^^^^^^^^^^^^^^^^^^^^^^^^^^^^^^^^^^^^^^^^^^^^^^^^^^^^^^^^^^^^^^^^^

 

 

貫衆

 


회초밋불휘性微寒味苦有毒


 

()은 미한(微寒)하고 미()는 고()하며 유독(有毒)하다.

 


主諸毒殺三盤去寸白盤破琋禮


 

제독(諸毒)에 주효(主效)하고 삼충(三蟲)을 살()하며, 촌백(寸白)을 제거(除去)하고 징가(癥瘕)를 파()한다.

 



處處有之根形色毛芒全似老眴頭故呼爲草眴頭一名黑狗脊三月採根望乾本草


곳곳에서 자라는데 근()의 형상(形象), 색택(色澤), 모망(毛芒)은 꼭 노치(老眴)의 두부(頭部)를 닮아서 초치두(草鴟頭)라고 부르며 일명(一名) 흑구척(黑狗脊)이라고도 한다. 삼월(三月)에 채근(採根)하여 망건(望乾)한다.[본초].

 

 

 

 


 

 貫衆丸


 

관중환(貫衆丸)

 

 


治七琋八禮五積六聚竎癖氣塊胸腹脹痛面黃肌瘦一切沈滯之疾


 

칠징(七癥), 팔가(八瘕), 오적(五積), 육취(六聚), 현벽(痃癖), 기괴(氣塊)로 가슴과 배가 더부룩하고 아프며 얼굴이 누렇게 되고 몸이 여위는 것과 여러 가지 몰리고 막히는 병을 치료한다.

 



蒼朮炒烏藥香附子各二兩三稜蓬朮拄醋煮焙靑皮陳皮乾薑礐良薑礐茴香炒神麴炒麥芽炒各一兩

 


창출(蒼朮/()), 오약(烏藥), 향부자(香附子) () 이량(二兩), 삼릉(三棱), 봉출(蓬朮/주초자배(拄醋煮焙)), 청피(青皮), 진피(陳皮) 건강(乾薑/싸서 구운 것), 양강(良薑/싸서 구운 것), 회향(回向/(), 신국(神麯/(), 맥아(麥芽/() () 일량(一兩).

 

 


右爲末醋糊和丸梧子大薑湯下五十丸類聚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식초에 쑨 풀에 반죽하여 오자대(梧子大)만한 환()을 만든다. 한번에 오십환(五十丸)씩 강탕(薑湯)으로 먹는다[유취].

 

 

 

 

 

[동의보감(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