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3. 26. 20:59ㆍ백두산 본초 이야기/백두산 본초 도감
활량나물/대산려두(大山黧豆)
활량나물
학명: Lathyrus davidii Hance
분류군: Leguminosae(콩과)
일명: イタチササゲ
영명: David Vetchling
잎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있고 2-4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수우상복엽으로서 엽축 끝이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으로 된다. 소엽은 타원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3~8cm, 나비 2-4cm로서 표면은 녹색, 두시면은 분백색이고 탁엽(托葉)은 잎 같으며 반전형(半箭形)으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길이 2~3cm이다.
열매
열매는 협과(莢果)로서 편평한 선형이고 길이 6~8cm로서 10개 정도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종자는 팥과 모양이 같고 대가 있다.
꽃
꽃은 6-8월에 피고 황색이나 후에 갈색으로 변하며 총상화서는 엽백에서 1-2개가 나오며 길이 5-15cm 로서 길이 5-10cm의 화경이 있고 소화경은 짧으며 많은 길이 약 15mm의 접형화(蝶形花)가 밑을 향해 달린다. 꽃받침은 종형(鐘形)이며 가장자리가 톱니모양으로 얕게 5개로 갈라지고 밑의 것이 가장 길며 꽃잎 끝이 위를 향한다.
줄기
높이 80-120cm이고 약간 비스듬히 서며 전체에 털이 거의 없고 윗부분에 둔한 능선이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만주, 중국, 우수리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 80-120cm이다.
학명 Lathyrus davidii Hance
J. Bot. 9: 130 (1871)
국명 활량나물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영문명 : David Vetchling
일본명 : イタチササゲ
북한명 : 활량나물
Lathyrus davidii Hance
J. Bot. 9: 130. 1871
9: 130 1871
Links:
basionym of:Leguminosae Orobus davidii (Hance) Stank. & Roskov Kew Bull. 53(3): 732 (1998):.
Original Data:
Notes: Manchur
Hance, Henry Fletcher (1827-1886)
Standard Form:
Hance
Area of Interest:
Pteridophytes , Spermatophytes
Information Source:
from Pichi Sermolli 1 March 1991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대산려두(大山黧豆)
Lathyrus davidii Hance
异名(이명)
Orobus davidii (Hance)Stank. & Roskov
Orobus davidii (Grossh.)Sinskaya
多年生高大草本,高80-100厘米,有时可达3米,多分枝。羽状复叶,具卷须;小叶4-8,卵形或椭圆状卵形,长3-10厘米,宽1.8-6厘米,先端急尖,基部圆形,无毛,下面苍白色;叶轴具狭翅;托叶大,半箭头状。总状花序腋生;萼斜钟状,萼齿,,下面3个较长,三角形,急尖,无毛;花冠黄色,长约2厘米;雄蕊(9+1)二组;子房具短柄,无毛,花柱扁平,里面有髯毛。荚果圆筒形,长达11厘米,灰棕色;种子近圆形,棕褐色。 分布于东北、河北、山西、甘肃、陕西、山东;朝鲜,日本,苏联也有。生于林缘草坡或疏林下。嫩茎叶可食。
^^^^^^^^^^^^^^^^^^^^^^^^^^^^^^^^^^^^^^^^^^^^^^^^^^^^^^^^^^^^^^^^^^^^^^^^^^
대산려두(大山黧豆)
Lathyrus davidii Hance
別名(별명)
茳芒山黧豆、大豌豆。
英文名(영문명)
all grass of David vetchling
귀경(歸經)
간경(肝經)
공효(功效)
소간이기(疏肝理氣);조경지통(調經止痛)
고증(考證)
始载于《东北植物检索表》。
주치(主治)
통경(通經);유경불조(有經不調)
生态环境(생태배경)
生于山地林下或林缘、草坡灌丛中。
각가논술(各家論術)
《新华本草纲要》:种子:有镇痛的功能。用于子宫内膜炎及月经痛。
채수와저장(采收和貯藏)
秋季果实成熟后采收,晒干。
植物形态(식물형태)
茳芒香豌豆
多年生草本,高80-100cm。
茎近直立或斜升,圆柱状。叶直生;托叶大,半箭头形,全缘或下缘稍有锯齿;偶数羽状复叶,
小叶6-8片,上部叶轴顶端常具分歧的卷须,下部叶轴多为单一的卷须或成长刺状;小叶片卵形或椭圆形,有时为菱状卵形或长卵形,长4-10cm,宽1.5-6cm,先端钝或圆形,具短刺尖,基部圆形或宽楔形,两面无毛,下面带苍白色;叶脉网状。总状花序腋生,通常有花10余朵;萼钟形,萼齿三角形至锥形,花黄色,长1.6-2cm,雄蕊10,二体,子房无毛。荚果条形,两面膨胀,长6-10cm,宽约5mm,无毛。种子多数,近球形,径约3mm。花期6-7月,果期8-9月。
공효분류(功效分類)
지통약(止痛藥)
성미(性味)
辛;温
약재기원(藥材基源)
为豆科植物茳芒香豌豆的种子。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汤,6-15g。
출처
《중화본초》
'백두산 본초 이야기 > 백두산 본초 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관문(夜關門) (0) | 2019.04.04 |
---|---|
야편두(野扁豆) (0) | 2019.03.26 |
완두 (0) | 2019.03.26 |
자귀풀/합맹(合萌) (0) | 2019.03.20 |
전동싸리/초목서(草木樨) (0) | 2019.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