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싸리/초목서(草木樨)

2019. 3. 20. 00:32백두산 본초 이야기/백두산 본초 도감

전동싸리/초목서(草木樨)

 

 

 

전동싸리

 

이명:노랑풀싸리

학명:Melilotus suaveolens Ledeb.

분류군:Leguminosae(콩과)

일본명:シナガワハギ(Shinagawa-hagi)

영명:Melilot

 

잎은 호생하며 3출우상복엽이고 소엽은 긴 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둔두 또는 원두이고 예저이며 측소엽은 엽병이 거의 없고 길이 1.5-3cm로서 밝은 녹색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중륵 끝이 뾰족하며 앞뒷면에 털이 없고 탁엽은 선형이다.

열매

협과는 길이 3.5mm가량으로 난형이거나 둥글며 털이 없고 7-9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총상화서는 가지 끝이나 엽액에서 발달하고 길이 3-5cm이며 화경은 길이 2-4cm이고 꽃은 7-8월에 피며 길이 3-4mm로서 황색의 접형화이고 포는 선형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소화경 보다 길다. 꽃받침은 잔털이 있고 종형의 5가닥으로 길이 1.5mm가량이다. 기판은 가장 길고 타원형이며 용골판이 가장 짧다.

줄기

줄기는 곧게서며 털이 없고 분백색을 띠며 향내를 뿜는다.

원산지

중국 원산.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몽골, 러시아, 유럽,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형태

이년생 초본.

크기

높이가 60-90cm 정도로 자란다.

 

 

 

생육환경

집주위나 밭머리 등 잡초지에서 자란다.

결실기

7,8,9

이용방안

목초, 녹비식물, 향료식물로 이용한다.

전동싸리, 흰전동싸리의 전초(全草)酸汗草(벽한초), ()(취목숙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酸汗草(벽한초)

 

개화기에 채집하여 그늘에 말린다.

 

성분 : 전동사리에는 精油(정유), coumarin이 함유되어 있고 또 脂肪油(지방유)

3.5-6.3%, pectin 7.1%, lignin 3.16%가 함유되어 있다. 흰전동싸리에는 coumarin(),

o-coumar(), p-coumar(), umbelliferone, scopoletin, melilotoside(o-coumaric

acid-β-d-glucoside), coumar()-β-d-glucoside, melilotic acid glucoside(o-hydroxy

hydro 계피산 glucoside) glycine, serine, leucine, iso leucine, proline,

phenylalanine, cystine, cystein, methionine, arginine, histidine, alanine, baline, riein,

glutamic acid, threonine, asparagic acid, tyrosine이 함유되어 있다. (), ()에는

p-coumar(), o-coumar(), chlorogen() caffein()이 함유되었다. 잎과 새싹

에는 melilotic acid, melilotic acid glucoside, o-coumar()-β-d-glucoside,

melilotoside, esculetin이 함유되어 있다. 신선한 꽃에는 robinoside 등의 flavonoid 배당

체가 함유되었다. 종자에는 melilotoside4종류의 terpenoid 배당체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淸熱(청열), 해독, 化濕(화습), 살충의 효능이 있다. 暑熱胸悶(서열흉민), 말라리아, 이질, 淋病(임병), 皮膚瘡瘍(피부창양)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9-15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태워서 연기로 ()한다.

 

(취목숙근)

늦여름에서 초가을에 캐어 씻은 후 햇볕에 말린다.

성분 : Chlorogen(), caffein(), p-coumar(), o-coumar()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淋巴腺節結核(임파선절결핵)에 취목숙근 30-60g白酒(백주) 500g에 담갔다가 1주일 후에 11잔씩, 13회씩 복용한다.

유사종

흰전동싸리 M.alba DESR. : 꽃이 백색이고 길이가 2mm정도이며 단양에서 자란다.

 

 

학명 Melilotus suaveolens Ledeb.

Ind. Sem. Hort. Dorp. Suppl. 2: (1824)

국명 전동싸리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1. 노랑풀싸리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영문명 : Melilot

일본명 : シナガワハギ

북한명 : 전동싸리

 

 

Melilotus suaveolens Ledeb.

Ind. Sem. Hort. Dorpat. Suppl. (1824) 5.

(1824) 5. 0

Links:

basionym of:Leguminosae Melilotus officinalis Lam. f. suaveolens (Ledeb.) H.Ohashi & Tateishi Sci. Rep. Tohoku Univ. Ser. 4, 38(4): 320 (1984):.

 

basionym of:Leguminosae Melilotus officinalis Lam. subsp. suaveolens (Ledeb.) H.Ohashi Fl. Japan 2b: 236 (2001).

 

Original Data:

Notes: Dahuria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僻汉草 Melilotus suaveolens Ledeb. 异名

正名Melilotus officinalis (L.) Lam. 黄香草木犀

 

 

황향초목서(黄香草木犀)

 

Melilotus officinalis (L.) Lam.

이명(异名)

 

Melilotus graveolens Bunge

Melilotus officinalis f. suaveolens (Ledeb.) H. Ohashi et Tateishi

Melilotus suaveolens Ledeb.

Trifolium medium var. officinale L.

Sertula suaveolens (Ledeb.) Kuntze

Melilotus arvensis Wallr.

Sertula arvensis (Wallr.) Kuntze

Medicago officinalis (L.)E.H.L.Krause

Melilotus arenarius Grecescu

Melilotus neglectus Ten.

Melilotus pallidus Ser.

Trifolium melilotus-officinalis L.

Trifolium officinale L.

Melilotus petitpierreanus Willd.

Trifolium melilotus officinalis L.

Brachylobus officinalis (L.) Dulac

Sertula officinalis (L.) Kuntze

 

 

 

 

草本茎高可达3全草有香气叶具3小叶小叶椭圆形1.5-2.5厘米0.3-0.6厘米先端圆具短尖头边缘具锯齿托叶三角形基部宽有时分裂花排列成总状花序腋生花萼钟状1萼齿三角形花冠黄色旗瓣与翼瓣近等长荚果卵圆形稍有毛网脉明显有种子1种子矩形褐色

 

在四川及长江以南野生

东北华北西北及西藏有栽培欧洲各国也有栽培宜种于半干燥温湿地区土壤不拘抗碱性及抗早性均较强可作牧草绿肥用

 

 

 

 

Melilotus officinalis Lam.

Fl. Franç. (Lamarck) 2: 594. 1779 [1778 publ. after 21 Mar 1779] ; Desr. in Lam. Encyc. 4: 63

2: 594 1779

Original Data:

Notes: Europ.; As. bor

 

^^^^^^^^^^^^^^^^^^^^^^^^^^^^^^^^^^^^^^^^^^^^^^^^^^^^^^^^^^^^^^^^^^^^^^^^^^^^^

 

 

초목서(草木樨)

 

 

별명(別名)

铁扫把省头草辟汗草野苜蓿

 

래원(來源)

豆科草木樨属植物草木樨Melilotus suaveolens Ledeb.以全草入药夏秋采收洗净切碎晒干

 

성미(性味)

 

공능주치(功能主治)

방향화탁(芳香化浊)절학(截瘧)

 

用于

서습흉민(暑湿胸闷)구취(口臭)두창(頭瘡)두통(頭痛)학질(瘧疾)리질(痢疾)

 

용법용량(用法用量)

1.53

 

摘录】《전국중초약휘편(全国中草药汇编)

'백두산 본초 이야기 > 백두산 본초 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두  (0) 2019.03.26
자귀풀/합맹(合萌)  (0) 2019.03.20
흰전동싸리/벽한초(辟汗草)  (0) 2019.03.20
달구지풀/야화구(野火球)  (0) 2019.03.19
붉은토끼풀/홍차축초(红车轴草)  (0) 2019.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