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생(養生).

2019. 3. 7. 11:03백두산 본초 이야기/본초의 기본적 이론

양생(養生).

 

 

 


禮部郎中孔志約序曰天地之大德曰生運陰陽以播物含靈之所保曰命資亭育以盡年蟄穴棲巢感物之情蓋寡范金揉木逐欲之道方滋

 


 

천지(天地)의 대덕(大德)은 생()이라 하며 음양(陰陽)을 운행(運行)하게 함으로써 물()

파식(播植)한다. 함령(含靈)을 보유하는 것을 명()이라 하고 정육자품(亭育資稟)하여 자연수명을 다한다. 칩혈서소(蟄穴棲巢)하는 것은 사물(事物)에 대한 욕심이 적은 것이고, 범금유목(范金揉木)하는 것은 욕심을 몰아내는 도()가 바야흐로 길러진 것이다.

 

 


而五味或爽時昧甘辛之節六氣斯 易愆寒燠之宜中外交侵形神分戰

 


오미(五味)가 맛있어 때로는 감신(甘辛)을 욕심내고 이에 육기(六氣)가 침상(侵傷)하여 한오(寒懊)의 적의(敵意)를 그르치기 쉽다. 중외교침(中外交侵)하며 형신(形神)이 나누어 싸운다.

 

 


飲食伺舋成腸胃之眚風濕候隙構手足之災機纏膚腠莫知救止漸固膏肓期於夭折

 


음식(飮食)이 기회(機會)를 엿보다가 장위(腸胃)에 질환(疾患)을 일으키고 풍습(風濕)은 틈만

있으면 수족(手足)의 재환(災患)을 마련한다. 기부(肌膚)가 주()를 전()해도 구지(救止)

수 없으며, 점차(漸次) 고황(膏肓)에 고착하여 요절(夭折)하게 된다.

 

 

 

                           황극경세서에서...

'백두산 본초 이야기 > 본초의 기본적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命)  (0) 2019.03.07
체(體)와 용(用)  (0) 2019.03.07
기해년(己亥年)  (0) 2019.03.07
기원당귀  (0) 2018.12.21
무술년(戊戌年) 오운육기(五運六氣)  (0) 2018.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