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장(釣樟)[본초강목]

2018. 12. 3. 23:12[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조장(釣樟)[본초강목]

 

 

 

비목나무/조장근피(釣樟根皮)

 

 

 


비목나무

 

이명:[보얀목] [윤여리나무]

학명:Lindera erythrocarpa Makino

분류군:Lauraceae(녹나무과)

일명:カナクギノキ(Kanakugino-ki)

영명:Redfruit Spicebush

 

잎은 호생하며 3출맥과 우상맥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한 도피침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6~13cm, 넓이 1.5-2.5로서 잎표면은 윤태가 나고 뒷면은 녹백색이고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엽병은 길이 4-8로서 붉은빛이 돈다. 노란색 단풍이 돈다.

열매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지름 8mm정도이고 9-10월에 3~10개씩 모여서 적색으로 익는다.

꽃은 이가화로서 4~5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연한 황색이며 햇가지 밑의 엽액에서 나온 산형화서에 많이 달리고 화경은 길이 6-8이다. 수꽃은 6개로 갈라진 화피와 9개의 수술로 되어 있으며 수술은 밖에서 6, 안에서 3개가 2줄로 배열되고 안쪽의 것은 선체(腺體) 2개씩 있으며 암꽃은 1개의 암술과 끝부분이 약간 굵어진 암술대가 있다. 소화경은 길이 12mm정도로서 잔털이 있다.

줄기

수피는 황백색이며 노목의 수피는 작은 조각으로 떨어지며 가지에 털이 없으며 소지는 담황색이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과 중국, 대만에도 분포한다.

황해도 이남의 표고 150~1,200m에서 자라며 경기도 수리산, 강화도 전등사, 문경새재, 남부 골짜기의 전지역 및 가야산, 거문도에 자생한다.

형태

낙엽활엽교목 수형:타원형

크기

수고 15m 내외, 직경 40cm

 

 

 

생육 환경

주로 적습지에서 잘 자란다. 내한성과 내건성, 내공해성은 약하나 내조성이 강하다.

광선

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수분

보통

/번식방법

종자를 채취하여 2년간 노천매장한 후 이듬해 3월말에서 4월초에 파종하며 파종시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발아 후에 타죽으로 차광을 해주어야 한다. 파종 5~6년 후 착화가 시작되며, 3개월 저온후 파종하면 84.6~89%의 발아율을 나타내며 건조된 종자는 발아되지 않는다.

파종기

3, 4

이식기

3, 4, 10, 11

결실기

9, 10

이용방안

목재는 재질이 치밀하고 갈라지지 않아 기구재나 조각재, 나무못으로 사용된다.

열매와 잎이 아름다와 정원수로 심을 만하다.

보호방안

조경수로의 개발을 위한 많은 번식이 필요하다.

유사종

감태나무: 황해도 및 강원도 이남의 산록 양지에 자라며 잎은 호생, 두껍고, 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황색이다.

특징

봄에 피는 황색꽃이 아름다우며,가을에 익는 진홍색의 열매는 정열적인 느낌을 준다.

 

 

 

 

 

 

학명 Lindera erythrocarpa Makino

Bot. Mag. (Tokyo) 11 : 219

1. Benzoin erythrocarpum (Makino) Rehder

J. Arnold Arbor. 1: 144 (1919)

1) Bibliography of the Illustrated Woody Plants of Korea (T.B.Lee, 1966)

 

2. Benzoin thunbergii Siebold & Zucc.

Abh. Math.-Phys. Cl. Konigl. Bayer. Akad. Wiss. 4(3) : 204 (1846)

1) Bibliography of the Illustrated Woody Plants of Korea (T.B.Lee, 1966)

 

3. Benzoin thunbergii var. macrophyllum Hatus.

Exp. Forest. Kyushu Imp. Univ. 5: 10 (1934)

1) Bibliography of the Illustrated Woody Plants of Korea (T.B.Lee, 1966)

 

4. Lindera thunbergii (Siebold & Zucc.) Makino

Fl. jap. 3: 1095 (192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5. Lindera umbellata Blume

Mus. Bot. 1 : 324 (Blume, 1851)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국명 비목나무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1. 보얀목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윤여리나무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북한명 비목나무

외국명 영문명

Redfruit Spicebush

일본명

カナクギノキ

 

 

Lindera erythrocarpa Makino

Bot. Mag. (Tokyo) 1897, 219.

1897, 219. 0

Original Data:

Notes: Japon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홍과산호초(红果山胡椒)

 

Lindera erythrocarpa Makino

이명(异名)

 

Benzoin erythrocarpum (Makino) Rehder

Lindera henanensis H. P. Tsui

Lindera thunbergii (Siebold et Zucc.) Makino

Lindera funiushanensis C. S. Zhu

Lindera erythrocarpa var. longipes S. B. Liang

 

落叶小乔木5树皮黄白色枝灰棕色叶互生纸质披针状倒卵形7.514.5厘米2.5-4厘米基部长下延上面绿色有稀疏贴伏短柔毛或近无毛下面带绿苍白色疏有贴伏短柔毛在叶脉上较密具羽状脉侧脉4-5叶柄短长约1厘米红色雌雄异株伞形??序腋生总苞片早落具总花梗3-8毫米花梗长12毫米疏生短柔毛花被片6,椭圆形长约2毫米淡黄色能育雄蕊9花药2皆内向瓣裂第三轮雄蕊基部具2腺体果实球形直径7-8毫米熟时红色果梗长1.5-1.8厘米

 

分布于台湾福建广东广西湖南湖北江西安徽浙江和江苏朝鲜日本也有

 

 

^^^^^^^^^^^^^^^^^^^^^^^^^^^^^^^^^^^^^^^^^^^^^^^^^^^^^^^^^^^^^^^^

釣樟

 

(《別錄下品


 

 

校正

 

並入拾遺枕材


 

 

 

釋名

 

烏樟弘景)、棆 枕 豫綱目

 


時珍曰樟有大小二種淡二色此即樟之小者鄭樵通志釣樟亦樟之類爾雅所謂無疵是也


 

()에는 大小(대소) 二種(이종), (), () 二色(이색)이 있는데, 이것은 ()의 작은 것이다. 鄭樵(정초) 通志(통지)에는 釣樟(조장)은 역시 () ()로서 爾雅(이아) <() 無疵(무비)하다>고 했던 바로 그것이다.” 라고 하였다.

 


 

又相如賦云顏師古注云豫即枕木章即樟木二木生至七年乃可分別觀此則豫即別錄所謂釣樟者也根似烏藥香故又名烏樟

 


 

또 한 相如(상여) ()에는 (),  이라 하였고, 顏師古(안사고) ()에는 ()  枕木(침목), ()  樟木(장목), 二木(이목)은 아온 지 七年(칠년)이 되어서야 區別(구별)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것을 보면 () 別錄(별록)에서 말한 釣樟(조장) 바로 그것인 것이다. () 烏藥(오약)과 같은데, 香氣(향기)가 있다. 그래서 또한 烏樟(오장)이라고도 한다.

 

 


集解

 

弘景曰釣樟出桂陽邵陵諸處亦呼作烏樟恭曰生郴州山谷樹高丈餘葉似楠葉而尖長背有赤毛若枇杷葉上毛八月九月採根皮晒乾

炳曰根似烏藥香

 

藏器曰枕生南海山谷KT 次於樟木

 

 

 


根皮

 

氣味

 

無毒


 

主治


 

金瘡止血刮屑敷之甚驗(《別錄》)。


 

金瘡(금창)에는 止血(지혈)하고, ()하여 ()로 하여 ()하면 著效(저효)가 있다.

 

 


磨服治霍亂蕭炳)。


 

磨服(마복)하면 霍亂(곽란) ()한다.

 


 

治奔豚腳氣水腫煎湯服亦可浴瘡痍疥癬風瘙並研末敷之大明)。


 

奔豚(분돈), 脚氣(각기), 水腫(수종)에는 煎服(전복)한다. 또한 瘡痍(창이), 疥癬(개선) 風瘙(풍소) () 것이 좋다. ()하여 硏末(연말)하여 ()한다.

 

 

 

莖葉


 

主治

 


置門上辟天行時氣蕭炳)。


 

門上(문상)에 놓아두면 天行時疾(천행시질) ()한다.

 

 


 

[本草綱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