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자(枳椇子)[본초강목]

2018. 11. 4. 00:24[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지구자(枳椇子)[본초강목]

 

 

 

헛개나무

 

 

 

이명:[홋개나무] [호리깨나무] [볼게나무] [고려호리깨나무] [민헛개나무]

학명: Hovenia dulcis Thunb. ex Murray

분류군: Rhamnaceae(갈매나무과)

일어: チョウセンケンボナシ

영문: Japanese Raisin Tree

 

잎은 호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점첨두이고 이그러진 아심장저 또는 원저이며 기부에서 3개의 큰 맥이 발달하고 길이 8-15cm, 나비 6-12cm로서 표면은 털이 없으며 녹색이고 뒷면은 연녹색으로서 맥 위에 털이 있거나 없으며 탁엽이 없다.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열매

열매는 둥글고 갈색이 돌며 지름 8mm로서 3실에 각 1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9~10월에 익는다. 종자는 편평하며 외과피는 윤기가 있고 다갈색이며 과경은 불규칙하게 살이 쪄서 달기 때문에 먹을 수 있고 술을 부패시키는 작용이 있다. 열매가 특이하다.

취산화서는 가지 끝 부근에서 액생 또는 정생하고 털이 없으며 지름 4-6cm로서 소화경이 짧고 열매가 달리면 굵어지며 꽃은 양성으로서 5수이고 지름 7mm정도이며 7월에 녹색으로 핀다. 꽃받침잎은 난형이고 꽃잎은 비틀리며 밑부분이 뾰족하고 화반에 털이 있으며 암술대가 3개로 갈라진다.

줄기

높이가 10m에 달하고 동아는 2개의 아린으로 싸여 있으며 털이 있다. 수피는 보통 검은 갈색이다.

원산지

한국

분포

중부이남의 표고 50~800m, 강원도, 경상북도, 충청남도, 황해도 등에 분포하며 주왕산, 오대산, 태백산, 월악산 등에 자란다.

일본, 중국 등에도 분포한다.

형태

낙엽활엽교목. 수형:원개형

크기

수고 10-15m, 직경 30~40cm.

 

 

 

학명 Hovenia dulcis Thunb.

Nov. Gen. pl. 1 : 8 (1781)

1. Hovenia acerba Lindl.

Bot. Reg. 6 (1820)

1) Bibliography of Cultivated Trees and Shrubs, Hardy in the Cooler Temperate Regions of the Northern Hemisphere (Rehder, 1949)

2. Hovenia dulcis var. glabra Makino

Bot. Mag. (Tokyo) 28 : 155 (1914)

1) Bibliography of Cultivated Trees and Shrubs, Hardy in the Cooler Temperate Regions of the Northern Hemisphere (Rehder, 1949)

3. Hovenia dulcis var. koreana Nakai ex Kimura

Bot. Mag. (Tokyo) 53 : 476 (1939)

1) Bulletin of Forest Experiment Station (T.B.Lee, 1966)

4. Zizyphus esquirolii H.Lev.

Repert. Sp. Nov. Reg. veg. 10:48 (1911)

1) Bibliography of Cultivated Trees and Shrubs, Hardy in the Cooler Temperate Regions of the Northern Hemisphere (Rehder, 1949)

국명 헛개나무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1. 고려호리깨나무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민헛개나무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3. 볼게나무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4. 호리깨나무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5. 홋개나무

영문명 : Japanese Raisin Tree

일본명 : チョウセンケンボナシ

북한명 : 헛개나무

 

 

Hovenia dulcis Thunb.

Nov. Gen. Pl. [Thunberg] 1: 8. 1781 [24 Nov 1781]

1: 8 1781

Original Data:

Notes: Reg. Himal.; China; Japon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북지구(北枳椇)

 

Hovenia dulcis Thunb. 异名

正名Hovenia trichocarpa var. robusta (Nakai et Y. Kimura) Y. L. Chen et P. K. Chou 光叶毛果枳椇

 

 

광엽모과지구(光叶毛果枳椇)

Hovenia trichocarpa var. robusta (Nakai et Y. Kimura) Y. L. Chen et P. K. Chou

 

이명(异名)

 

Hovenia dulcis Thunb.

Hovenia dulcis var. glabra Makino

Hovenia dulcis var. latifolia Nakai ex Y. Kimura

Hovenia robusta Nakai et Y. Kimura

 

Hovenia trichocarpa Chun & Tsiang var. robusta ( Nakai & Y.Kimura ) Y.L.Chen & P.K.Chou

Fl. Reipubl. Popularis Sin. 48(1): 93 (1982):.

48(1): 93 (1982): 1982

Links:

basionym:Rhamnaceae Hovenia robusta Nakai & Y.Kimura Bot. Mag. (Tokyo) 1939, liii. 479.

 

Original Data:

Basionym: HOVENIA robusta. (Nakai & Y.Kimura)

 

 

&&&&&&&&&&&&&&&&&&&&&&&&&&&&&&&&&&&&&&&&&&&&&&&

 

 

지구(枳椇)/지구자(枳椇子)

 

 

 

지구(枳椇)

Hovenia acerba Lindl.

异名(이명)

Hovenia inaequalis DC.

Hovenia parviflora Nakai et Y. Kimura

Ziziphus esquirolii H. Lév.

 

 

Hovenia acerba Lindl.

Bot. Reg. 6: t. 501. 1820

6: t. 501 1820

Links:

basionym of:Rhamnaceae Hovenia dulcis Thunb. var. acerba (Lindl.) G.Sen Gupta & B.Safui Bull. Bot. Surv. India 26(12): 55 (1984 publ. 1985):.

 

 

 

 

출처:IPNI

 

&&&&&&&&&&&&&&&&&&&&&&&&&&&&&&&&&&&&&&&&&&&&&&&&&&&&&&&&&&&

 

 

 

모과지구(毛果枳椇)/지구자(枳椇子)

 

 

 

모과지구(毛果枳椇)

Hovenia trichocarpa Chun et Tsiang

이명(异名)

 

Hovenia trichocarpa var. fulvotomentosa (Hu et F. H. Chen) Y. L. Chen et P. K. Chou

Hovenia merrilliana Cheng

Hovenia fulvotomentosa Hu et F. H. Chen

Hovenia tomentosa Cheng

 

 

Hovenia trichocarpa Chun & Tsiang

Sunyatsenia 4: 16. 1939

4: 16 1939

Original Data:

Notes: China austr.-or. Illus

 

 

 

 

출처:IPNI

 

 

 

^^^^^^^^^^^^^^^^^^^^^^^^^^^^^^^^^^^^^^^^^^^^^^^^^^^^^^^^^^^^^^^^^^^^

 


 

枳椇


 

(《唐本草》)

 


 

校正

 


自木部移入此並入拾遺木蜜


 

木部(목부)에서 여기로 移入(이입)한다. 拾遺(습유) 木蜜(목밀) 倂入(병입)하였다.

 

 


釋名


 

蜜枳音止矩蜜屈律(《廣記》)木蜜(《拾遺》)、木餳同上木珊瑚(《廣志》)雞距子蘇文雞爪子俗名木名白石木(《唐注》)金鉤木(《地志》) 枅栱 交加枝

 


時珍曰枳椇 徐鍇注說文䅩䅓 又作枳枸皆屈曲不伸之意此樹多枝而曲其子亦卷曲故以名之曰蜜曰餳因其味也曰珊瑚曰雞距曰雞爪象其形也曰交加曰枅栱言其實之紐屈也枅栱枋梁之名

 


枳椇(지구) () 徐鍇注(서개주) 說文(설문)에는 䅩䅓(지구)이라 썼고, 또한 枳枸(지구)라고 쓰기도 하였다. 모두 屈曲(굴곡)하고 뻗지 않는다는 뜻이다.  () ()가 많으면서 屈曲(굴곡)해 있고,  () 역시 卷曲(권곡)해 있기 때문에 이렇게 이름을 붙인 것이다. ()이라든가 ()이라는 것은 그 () 緣由(연유)한 것이며, 珊瑚(산호)라든가, 鷄距(계거)라든가, 雞爪(계조)라는 것은 그 () 形容(형용)한 것이다. 交加(교가)라든가, 枅栱(계공)이라는 것은 그 ()이 유굴屈曲(굴곡)한 것을 말한 것인데 枅栱(계공)이란 枋梁(방량)의 이름인 것이다.

 

 


︰《雷公炮炙序云弊箅淡鹵如酒霑交注云交加枝即蜜䅩䅓詩話子生枝端橫折歧出狀若枅栱故土人謂之枅栱也


 

雷公炮炙(뇌공포자) () 弊箅(폐비) () ()하게 하는 것은 술이 () ()하게 하는 것과 같다.” 라고 하였으며, ()에는 交加枝(교가지),  蜜䅩䅓(밀지구)이다.” 라고 하였다. 또한 視話(시화) () 枝端(지단)에서 나오고 橫折歧出(횡절기출)한 모양은 枅栱(계공)과 같다. 그래서 그 地方人(지방인)은 이것을 枅栱(계공)이라고 한다.” 라고 하였는데,

 

 


珍謂枅栱及俗稱雞矩蜀人之稱桔枸棘枸滇人之稱雞橘子巴人之稱金鉤廣人之稱結留子散見書記者皆枳椇雞距之字方音轉異爾俗又訛雞爪為曹公爪或謂之梨棗樹或謂之癩漢指頭崔豹古今注一名樹蜜一名木石皆一物也

 


내가(時珍)가 생각하기에 枅栱(계공)이라는 名稱(명칭)  俗稱(속칭) 雞矩(계구), 蜀地方(촉지방)에서 일컫는 桔枸(길구), 棘枸(극구), 滇地方(전지방)에서 일컫는 雞橘子(계귤자), 巴地方(파지방)에서 말하는 金鉤(금구), 廣地方(광지방)에서 일컫는 結留子(결류자)  書籍(서적) 記載(기재) 散見(산견)하는것은 모두 枳椇(지구), 鷄距(계거) () 地方音(지방음)으로 轉訛(전와)한 데서 다른 것으로 생각된다. 俗間(속간)에서는 또한 雞爪(계조) ()하여 曹公爪(조공조)라 하고 혹은 이것을 梨棗樹(이조수)라 하며, 또는 癩漢指頭(나한지두)라고 한다. 崔豹(최표) 古今注(고금주) 一名(일명) 水蜜(수밀), 一名(일명) 木石(목석)이 라고 한 것은 모두 同一物(동일물)인 것이다.

 

 


 

集解

 


恭曰枳 子其樹徑尺木名白石葉如桑柘其子作房似珊瑚核在其端人皆食之

 

頌曰小雅所謂南山有枸也陸機疏義枳枸樹高碩如白楊所在皆有枝柯不直子著枝端啖之甘美如飴九月熟江南特美之謂之木蜜能敗酒味若以其木為

 

詵曰昔有南人修舍用此木誤落一片入酒瓮中酒化為水也


 

藏器曰木蜜樹生南方人呼白石木葉俱甜嫩葉可生啖味如蜜老枝細破煎汁成蜜倍甜止渴解煩也


 

時珍曰枳 木高三四丈葉圓大如桑柘夏月開花枝頭結實如雞爪形長寸許紐曲開作二三歧儼若雞之足距嫩時青色經霜乃黃嚼之味甘如蜜每開歧盡處結一二小子狀如蔓荊子內有扁核赤色如酸棗仁形飛鳥喜巢其上故宋玉賦云枳枸來巢。《曲禮婦人之贄, 、脯攸-/即此也鹽藏荷裹可以備冬儲

 

 

 



 

氣味

 

無毒

 


詵曰多食發蛔蟲


 

多食(다식)하면 蛔蟲(회충) ()한다.

 


 

主治


 


頭風小腹拘急(《唐本》)。


 

頭風(두풍), 小腹拘急(소복구급)


 

止渴除煩去膈上熱潤五臟利大小便功用同蜂蜜葉煎膏亦同藏器)。


 

止渴(지갈)除煩(제번), 膈上(격상) () 除去(제거)하고, 潤腸(윤장)하며, 大小便(대소변) 通利(통리)하는 功用(공용) 蜂蜜(봉밀)과 같다. 枝葉(지엽) 煎膏(전고) 또한 같다.

 

 


止嘔逆解酒毒 辟蟲毒時珍


 

嘔逆(구역)을 멎게 하고, 酒毒(주독) 解消(해소)하며, 蟲毒(충독) ()할 수 있다.

 

 



發明

 


震亨曰一男子年三十餘因飲酒發熱又兼房勞虛乏乃服補氣血之藥加葛根以解酒毒微汗出人反懈怠熱如故此乃氣血虛不禁葛根之散也必須雞距子解其毒遂煎藥中加而服之乃愈

 


어떤 男子(남자)는 나이 三十餘歲(삼십여세) 飮酒(음주) 原因(원인)으로 發熱(발열)하였고, 또한 房勞虛乏(방노허핍)을 겸하였다. 거기에 氣血(기혈) ()하는 ()에다 葛根(갈근) ()하여 服用(복용)하였다. 酒毒(주독) 解消(해소)하자. 微汗(미한) 出入(출입)하여 도리어 倦怠(권태)를 느꼈고, ()은 그대로였다. 이것은 氣血(기혈) ()하여 葛根(갈근) ()에 견딜 수 없게 때문이었던 것이다. 반드시 鷄距子(계거자)를 사용하여 그 () 解消(해소)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煎藥中(전약중) ()하여 服用(복용)시켰던 바 그것으로 治癒(치유)하였다.

 

 


 

時珍曰枳椇本草只言木能敗酒而丹溪朱氏治酒病往往用其實其功當亦同也

 


枳椇(지구) 本草(본초)에는 다만 나무가 능히 술을 ()하는 것을 말할 것뿐이지만 丹溪朱氏(단계주씨) 酒病(주병) ()하는데 흔히 그 ()을 사용하였다.  ()은 역시 같아야 할 것이다.

 

 


︰《蘇東坡集眉山揭穎臣病消渴日飲水數斗飯亦倍常小便頻數服消渴藥逾年疾日甚自度必死予令延蜀醫張肱診之

 


蘇東坡集(소동파집) 眉山(미산) 揭穎臣(게영신) 消渴病(소갈병)으로 하루에 물 마시기를 水斗(수두), () 恒常(항상) ()로 하였고, 小便(소변) 頻數(빈삭)으로 消渴藥(소갈약) 服用(복용)하기를 해를 넘겼으나 ()은 더욱 ()해졌기 때문에 스스로 到底(도저)히 살수 없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때 그 子息(자식) 蜀醫張肱(촉의장굉)을 맞아 診察(진찰) ()하자

 


 

笑曰君幾誤死乃取麝香當門子以酒濡濕作十許丸用棘枸子煎湯吞之遂愈問其故肱曰消渴消中皆脾弱腎敗土不製水而成疾

 


()은 웃고는 당신은 자칫 誤死(오사)할 뻔했다라고 하고는 麝香(사향), 當門子(당문자) ()하여 술로 濡濕(유습)한 다음 十丸(십환)정도를 만들어 棘枸子(극구자) 煎湯(전탕)으로 그것을 服用(복용)하게 하였다. 그러자 그것으로 ()한 것이다. 그래서 그 까닭을 묻자 () 消渴(소갈), 消中(소중)은 모두 脾弱(비약), 腎敗(신패) ()가 물을 ()할 수 없게 된 데서 ()이 되는 것이다.

 

 


今穎臣脾脈極熱而腎氣不衰當由果實酒物過度積熱在脾所以食多而飲水水飲既多溺不得不多非消非渴也麝香能製酒果花木棘枸亦勝酒屋外有此木屋內釀酒多不佳)。

 


지금 穎臣(영신)의 경우에는 脾脈(비맥) 極熱(극열)하고 腎氣(신기) ()하지 않는다. 이것은 果實(과실), 酒物(주물) 過度(과도) 原因(원인)으로 積熱(적열) ()에 있는 것으로 推定(추정)된다. 그래서 多食(다식)하고 물을 ()한다. 물을 多飮(다음)하니 多尿(다뇨)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 ()도 아닌 것이다. 麝香(사향) () (), (), 花木(화목) ()하고, 棘枸(극구)도 또한 술을 ()하는 것으로 屋外(옥외)에 이 나무가 있으면 屋內(옥내)에서 빚은 술은 대개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故以此二物為藥以去其酒果之毒也棘枸實如雞距故俗謂之雞距亦曰癩漢指頭食之如牛乳本草名枳 小兒喜食之古人重格物若肱蓋得此理矣醫云乎哉

 


따라서 二物(이물) ()을 하면 그 (), () () 除去(제거)하는 것이다. “라고 하였다. 棘枸(극구) () 鷄距(계거)와 같은 것이기 때문에 俗稱(속칭) 鷄距(계거)라고 한다. 도한 癩漢指頭(나한지두)라고도 한다. 이것을 먹으면 牛乳(우유)와 같은 것이다. 本草(본초)에서는 枳椇(지구)라고 하였다. 小兒(소아)가 즐겨 먹는 것이다. ! 古人(고인) 格物(격물) 智識(지식) 重視(중시)한 것이나 ()과 같은 사람은 그 理致(이치)를 얻은 것이다. ()라고 한마디로 할 수 있는 것일까.”라고 하였다.

 

 



木汁

 


氣味

 

同枳 

 



附方

 

新一


 

腋下狐氣用桔枸樹鑿孔取汁一二碗用青木香東桃西柳七姓婦人乳一處煎一二沸就熱於五月五日雞叫時洗了將水放在十字路口速回勿顧即愈只是他人先遇者必帶去也桔枸樹即

 

 



木皮


 

氣味


 

無毒



 

主治


 

五痔和五臟(《唐本》)。


 

五痔(오치), 五臟(오장) ()한다.

 


[本草綱目]

'[동의보감] > 탕액편(湯液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회목(不灰木)[동의보감]  (0) 2018.11.05
전자조(滇刺棗)/면조(緬棗)  (0) 2018.11.04
해인다(孩儿茶)[동의보감]  (0) 2018.11.02
호도(胡桃)[약전]  (0) 2018.10.22
호도(胡桃)[본초강목]  (0) 2018.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