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10. 21. 00:40ㆍ[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저백피(楮白皮)[본초강목]
^^^^^^^^^^^^^^^^^^^^^^^^^^^^^^^^^^^^^^^^^^^^^^^^^^^^^^^^^^^^^^^^^^^^^
椿樗
(《唐本草》)
【校正】
並入《嘉祐》椿莢。
【釋名】
香者名椿(《集韻》作櫄,《夏書》作杶,《左傳》作橁),臭者名樗(音丑居切。
亦作木+虖/피나무저=檴),山樗名栲( 虎目樹(拾遺)、大眼桐。
時珍曰︰椿樗易長而多壽考,故有椿、栲之稱。《莊子》言“大椿以八千歲為春秋”是矣。
椿樗(춘저)는 잘 자라며 대개는 壽考(수고)이다. 그래서 椿栲(춘고)라는 名稱(명칭)이 있다. 莊子(장자)에 “大椿(대춘)은 八千歲(팔천세)로써 春秋(춘추)로 한다.”고 하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椿香而樗臭,故椿字又作 ,其氣熏也。木+虖字從 ,其氣臭,人呵嘑之也。樗亦椿音之轉爾。
椿(춘)은 香氣(향기)롭고, 樗(저)는 惡臭(악취)가 난다. 그래서 椿字(춘자)는 또한 櫄(춘)이라고 쓴다. 그 氣(기)가 熏(훈)하기 때문이다. 저자(木+虖字)가 虖(호)에 따르는 것은 그 氣(기)가 臭(취)하고, ㅅ람이 呵嘑(가호)하기 때문이다. 樗(저)란 역시 椿字(춘자)가 轉化(전화)한 것이다.
陳藏器曰;俗呼椿爲豬椿北人呼樗爲山椿江東呼爲虎目樹亦名虎眼。謂葉脫出有痕如虎之眼目。又如樗蒲子,故得此名
俗稱(속칭) 椿(춘)을 猪椿(저춘)이라 하는데 北方地方(북방지방)에서는 樗(저)를 山椿(산춘)이라고 하고, 江東(강동)에서는 虎目樹(호목수)라 하며 또한 虎眼(호안)이라고 한다. 그것은 잎이 떨어진 곳에 痕(혼)이 있는데 그것이 虎眼(호안)과 같다는 것이다. 또한 樗蒲子(저포자)와 같다. 그래서 그 이름이 붙은 것이다.
【集解】
恭曰︰椿、樗二樹形相似,但樗木疏、椿木實為別也。
頌曰︰二木南北皆有之。形幹大抵相類,但椿木實而葉香可啖,樗木疏而氣臭,膳夫亦能熬去其氣,並采無時。樗木最為無用,《莊子》所謂“吾有大木,人謂之樗,其本擁腫不中繩墨,小枝曲拳不中規矩”者。《爾雅》云︰栲山樗。郭璞注云︰栲,似樗,色小白,生山中,因名。亦類漆樹。俗語云︰櫄、樗、栲、漆,相似田樗無異,葉差狹爾。吳人以葉為茗。
宗奭曰︰椿、樗皆臭,但一種有花結子,一種無花不實。世以無花而木身大,其幹端直者為椿,椿木用葉。其有花、莢而木身小,幹多迂矮者為樗,樗用根及莢、葉。又蟲部有樗雞,不言椿雞,以顯有雞者為樗,無雞者為椿。古人命名其義甚明。
禹錫曰︰樗之有花者無莢,有莢者無花。其莢夏月常生臭樗上,未見椿上有莢者。然世俗不辨椿、樗之異,故呼樗莢為椿莢爾。
時珍曰︰椿、樗、栲,乃一木三種也。椿木皮細肌實而赤,嫩葉香甘可茹。樗木皮粗肌虛而白,其葉臭惡,歉年人或采食。栲木即樗之生山中者,木亦虛大,梓人亦或用之。然爪之如腐朽,故古人以為不材之木,不似椿木堅實,可入棟梁也。
葉
【氣味】
苦,溫,有小毒。
詵曰︰椿芽多食動風,熏十二經脈、五臟六腑,令人神昏血氣微。若和豬肉、熱面頻食則中滿,蓋壅經絡也。[故不可過量食之。식료본초에서 추가]
椿芽(춘아)을 多食(다식)하면 動風(동풍)하여 十二經脈(십이경맥), 五臟六腑(오장육부)를 熏(훈)하고, 사람으로 하여금 神昏(신혼)하며, 血氣(혈기)를 微(미)하게 한다. 만약, 豬肉(저육), 熱麵(열면)에 調和(조화)하여 자주 먹으면 中滿(중만)하게 된다. 經絡(경락)을 擁(옹)하는 것이다.
時珍:椿葉無毒, 樗葉有小毒
椿葉(춘엽)은 無毒(무독)하고, 樗葉(저엽)은 小毒(소독)이 있다.
【主治】
煮水,洗瘡疥風疽。樗木根、葉尤良(《唐本》)。
煮水(자수)하여 瘡疥(창개), 風疽(풍저)를 씻는다. 樗木(저목)의 뿌리 잎이 가장 좋다.
白禿不生發,取椿、桃、楸葉心搗汁,頻塗之即可。
白禿(백독)으로서 毛髮(모발)이 없는 것에는 椿(춘), 桃(도), 楸(추)의 葉心(엽심)을 取搗(취도)하여 汁(즙)을 자주 바른다.
時珍: 嫩芽瀹食, 消風祛毒。
嫩芽(눈아)를 瀹食(약식)하면 消風祛毒(소풍거독)한다.
白皮及根皮
【修治】
雷斅曰︰凡使椿根,不近西頭者為上。采出拌生蔥蒸半日,銼細,以袋盛掛屋南畔,陰乾用。
대개 이것을 使用(사용)할때는 椿根(춘근)이 西頭(서두)에 近接(근접)하지 않는 것을 上品(상품)으로 친다. 採掘(채굴)하여 生蔥(생총)을 섞어 半日(반일)간 蒸(증)하고, 剉細(좌세)하여 袋(대)에 넣어 지붕의 南畔(남반)에다 걸어 陰乾(음건)한 다음 사용한다.
時珍曰︰椿、樗木皮、根皮,並刮去粗皮,陰乾,臨時切焙入用。
椿(춘), 樗木皮(저목피), 根皮(근피)는 모두 粗皮(조피)를 刮去(괄거)해서 陰乾(음건)한 후 使用時(사용시) 切焙(절배)하여 加用(가용)한다.
【氣味】
苦,溫,無毒。
權曰︰微熱。
震亨曰︰涼而燥。
藏器曰︰樗根有小毒。
時珍曰︰樗根制硫黃、砒石、黃金。
樗根(저근)은 硫黃(유황), 砒石(비석), 黃芩(황금)을 制(제)한다.
【主治】
疳䘌,樗根尤良(《唐本》)。
疳䘌(감닉)에는 樗根(저근)이 가장 좋다.
去口鼻疳蟲,殺蛔蟲疥䘌,鬼疰傳尸,蠱毒下血,及赤白久痢(藏器)。
口鼻(구비)의 疳蟲(감충)을 除去(제거)하고, 蚘蟲(회충), 疥䘌(개닉), 鬼疰(귀주), 傳尸蠱毒(부시고독)을 殺(살)한다. 下血(하혈), 및 赤白久痢(적백구리)
地榆,止疳痢(蕭炳)。
地楡(지유)와 配合(배합)하면 疳痢(감리)를 멎게 한다.
止女子血崩 ,產後血不止 ,赤 帶 ,腸風瀉血得不住,腸滑瀉,縮小便。蜜炙用(大明)。
女子(여자)의 血崩(혈붕), 産後血(산후혈)이 멎지 않는 경우, 赤帶(적대), 腸風瀉血(장풍사혈)이 멎지 않는 경우, 腸滑瀉(장활사)를 멎게 한다. 小便(소변)을 縮(축)하는 것은 蜜炙(밀자)하여 使用(사용)한다.
利溺澀(雷斅)。
溺澀(요삽)을 通利(통리)한다.
精滑夢遺,燥下濕,去肺胃陳積之痰(震亨)。
赤白濁, 赤白帶(적백대), 濕氣下痢(습기하리), 精滑夢遺(정활몽유)를 治(치)하고, 下濕(하습)을 燥(조)하며, 肺胃(폐위)의 陳積痰(진적담)을 除去(제거)한다.
【發明】
詵曰︰女子血崩,及產後血不止,月信來多,並赤帶下。宜取東引細椿根一大握洗淨,以水一大升煮汁,分服便斷。小兒疳痢,亦宜多服。仍取白皮一握,粳米五十粒,蔥白一握,炙甘草三寸,豉兩合,水一升,煮半升,以意服之。枝葉功用皆同。
女子(여자)의 血崩(혈붕) 및 産後血(산후혈)이 멎지 않는 경우, 月信(월신)이 多來(다래)하는 것과 赤帶下(적대하)에는 東(동)쪽으로 뻗은 細椿根(세춘근) 一大握(일대악)을 洗淨(세정)하고, 물 一大升(일대승)으로 煮(자)하여 汁(즙)을 分服(분복)하는 것이 좋다. 이것을 斷切(단절)된다. 小兒(소아)의 疳痢(감리)에도 多服(다복)하는 것이 좋다. 白皮(백피) 一握(일악), 粳米(갱미) 五十粒(오십립), 蔥白(총백) 一握(일악), 炙甘草(자감초) 三寸(삼촌), 豉(시) 二合(이합), 물 一升(일승)으로 半升(반승)에 煮(자)하여, 適當(적당)히 服用(복용)한다. 枝(지), 葉(엽)의 功用(공용)도 모두 같다.
朱震亨曰; 椿根白皮,性涼而能澀血。凡濕熱為病,瀉痢濁帶,精滑夢遺諸症,無不用之肺胃陳痰之功。治泄瀉,有除濕實腸之力。但痢疾滯氣未盡者,不可遽用。宜入丸散,亦可煎服,不見有害。予每用炒研糊丸,看病作湯使,名固腸丸也。
椿根白皮(춘근백피)는 性(성)이 涼(양)하여 곧잘 澁血(삽혈)한다. 대개 濕熱(습열)로 病(병)이 된 瀉痢(사리), 濁滯(탁체), 精滑(정활), 夢精(몽정)의 諸証(제증)에는 이것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없다. 下濕(하습)을 燥(조)하고, 肺胃(폐위)의 陳痰(진담)을 除去(제거)하는 功(공)이 있으며, 泄瀉(설사)를 治(치)하고, 除濕實腸(제습실장)하는 힘이 있다. 단, 痢疾滯氣(이질체기)가 未盡(미진)한 경우에는 갑자기 服用(복용)해서는 안 된다. 丸(환), 散(산)에 넣는 것이 좋고 또한 煎服(전복)하는 것도 좋은데 그것으로 害(해)는 없다. 나는 恒常(항상) 炒硏(초연)하여 糊(호)로 丸(환)을 만들어, 病(병)에 따라 湯(탕)으로 만들어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을 固腸丸(고장환)이라 命名(명명)하고 있다.
時珍曰;椿皮色赤而香,樗皮色白而臭,多服微利人。蓋椿皮入血分而性澀,樗皮入氣功雖同,而澀利之效則異,正如茯苓、芍藥,赤、白頗殊也。凡血分受病不足者,宜用椿皮;氣分受病有郁者,宜用樗皮,此心得之微也。
椿皮(춘피)는 赤色(적색)이면서 香氣(향기)롭고, 樗皮(저피)는 白皮(백피)이면서 臭氣(취기)
가 있는데 多服(다복)하면 微利(미리)한다. 椿皮(춘피)는 血分(혈분)에 들어가 性濇(성색)하고, 樗皮(저피)는 氣分(기분)에 들어 性利(성리)한다. 注意(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主治(주치)의 功(공)은 같으나 濇(색)과 利(이)의 效(효)는 다르다. 그야말로 茯苓(복령), 芍藥(작약)의 赤(적)과 白(백)이 매우 다른 것과 같은 것이다. 대개 血分(혈분)에 病(병)이 發生(발생)하여 不足(부족)한 경우에는 椿皮(춘피)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氣分(기분)에 病(병)이 생겨 鬱(울)이 있는 경우에는 樗皮(저피)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이것은 心得(심득)이 微(미)한 것이다.
《乾坤生意》治瘡腫下藥,用樗皮水研,服汁,服二、三碗,取利數行,是其驗矣。故陳藏器言樗皮有小毒,蓋有所試也。
乾坤生意(건곤생의)의 瘡腫(창종)을 治(치)하는 下藥(하약)에는 樗皮(저피)를 사용하여 無根水(무근수)로 硏(연)한 汁(즙) 二(이)~三琬(삼완)을 服用(복용)하고, 數行(수행)의 利(이)를 取(취)하는 것이 그 驗証(험증)인 것이다. 그래서 陳藏器(진장기)가 “樗皮(저피)는 小毒(소독)이 있다.” 고 한 것은 試行(시행)해 본 바가 있었던 것이다.
寇宗奭曰;洛陽一女人,年四十六、七,耽飲無度,多食魚蟹,畜毒在臟,日夜二、三十雜下,大腸連肛門痛不堪任。醫以止血痢藥不效,又以腸風藥則益甚,蓋腸風則有血無膿。
洛陽(낙양)의 한 婦人(부인)은 나아가 四十六(사십육)~七勢(칠세)로서 飮酒(음주)를 眈(탐)하는데 限度(한도)가 없었고, 魚蟹(어해)를 즐겨 먹었는데 畜毒(축독)이 臟(장)에 있으면서 晝夜(주야)로 二十(이십)~三十回(삼십회) 瀉(사)하고, 大便(대변)에 膿血(농혈)이 섞여 下(하)하였으면, 大腸(대장)과 肛門(항문)이 連病(연병)하여 견딜 수 없었다. 醫師(의사)는 血痢(혈리)를 멎게 하는 藥(약)을 사용했으나 無效(무효)하였고, 腸風藥(장풍약)을 사용하자 더욱 甚(심)해졌다. 事實(사실) 腸風(장풍)이라면 血(혈)이 있고 膿(농)은 없는 것이다.
如此半年余,氣血漸弱,食減肌瘦。服熱藥則腹愈痛,血愈下;服冷藥即注泄食減,服溫平藥則病不知。如此期年,垂命待盡。或人教服人參散,一服知,二服減,三服膿血皆定,遂常服之而愈。
이렇게 해서 半年(반년)이 지나자 氣血(기혈)이 衰弱(쇠약)해졌으며, 食慾(식욕)은 減退(감퇴)하고, 肌(기)는 瘦(수)하였는데 熱藥(열약)을 服用(복용)하면 腹痛(복통)이 더욱 甚(심)하고, 血(혈)이 더욱 많이 下(하)하였으며, 冷藥(냉약)을 服用(복용)함녀 注泄(주설)하고 食減(식감)하였다. 溫平(온평)한 藥(약)을 服用(복용)하면 病(병)에 아무런 反應(반응)이 없었다. 이런 狀態(상태)였기 때문에 다만 命(명)이 盡(진)하는 것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는데 或者(혹자)의 가르침으로 人參散(인삼산)을 服用(복용)하였던 바 一服(일복)하자 反應(반응)이 있었고, 二服(이복)으로 減(감)했으며, 三服(삼복)으로 膿(농)과 血(혈)이 모두 安定(안정)되고 그래서 常服(상복)함으로써 마침내 治癒(치유)되었다.
其方治大腸風虛,飲酒過度,挾熱下痢膿血痛甚,多日不瘥。用樗根白皮一兩,人參一兩。為末。每服二錢,空心溫酒調服,米飲亦可。忌油膩、濕面、青菜、果子、甜物、雞、豬、魚、羊、蒜、薤等。
이 方(방)은 大腸風虛(대장풍허), 饮酒过度(음주과도)로 熱(열)이 끼어서 膿(농), 血(혈)을 下痢(하리)하고, 痛症(통증)이 甚(심)해지며, 長期間不瘥(장기간불채)하는 것을 治(치)한다. 樗根白皮(저근백피) 一兩(일량), 人參(인삼) 一兩(일량)을 作末(작말)하여 每服(매복) 二錢(이전)을 空腹(공복)에 溫酒(온주)로 調服(조복)한다.米飮(미음)도 좋다. 油膩(유니), 濕面(습면), 靑菜(청채), 果子(과자), 甜物(첨물), 雞(계), 猪(저), 魚(어), 羊(양), 蒜(산), 薤(해)등을 忌(기)한다.
【附方】
舊六,新十一。
去鬼氣︰樗根皮一握細切,以童兒小便二升,豉一合,浸一宿,絞汁煎一沸。三、五日一度,服之。(陳藏器《本草》)
小兒疳疾︰椿白皮(晒乾)二兩為末,以粟米淘淨研濃汁和,丸梧桐子大。十歲三、四丸,米飲下,量人加小兒疳痢困重者︰用樗白皮搗粉,以水和棗作大餛飩子。日晒少時,又搗,如此三遍,以水煮熟,空肚吞七枚。重者不過七服。忌油膩、熱面、毒物。又方︰用樗根濃汁一蜆殼,和粟米泔等分,灌下部。再度即瘥,其驗如神。
大人亦宜。(《外台秘要》)
休息痢疾,日夜無度,腥臭不可近,臍腹撮痛︰東垣《脾胃論》︰用椿根白皮、訶黎勒各半兩,母丁香三十個,為末,醋糊丸梧桐子大。每服五十丸,米飲下。唐瑤《兩加木香二錢,粳,兼腰痛︰取樗根一大兩搗篩,以好面捻作餛飩如皂子大,水煮熟。每日空心服十枚。並無禁忌,神良。(劉禹錫《傳信方》)
大。每空心米飲下三、四十丸。一加蒼朮、枳殼減半。(《經驗方》)
洗刮取皮,晒乾為末。飲下一錢,立效。(《經驗方》)。
粗皮,酒浸晒研,棗肉和,丸梧桐子大。每淡酒服五十丸,或酒糊丸亦可。(《儒門事親》)
下血經年︰樗根三錢。水一盞,煎七分,入酒半盞服。或作丸服。虛者加人參等分。即虎眼樹。(《仁存方》)
陰乾為末。每二兩入寒食面一兩,新汲水丸梧水送下。忌見日,則無效。名如神丸。(《普濟氣乘之,血滲腸間,故大便下血。用臭椿根(刮去粗皮,焙乾)四兩,蒼朮(米泔浸焙)、枳殼(產後腸脫升,去滓傾盆內。乘熱熏洗,冷則再熱,一服可作五次用,洗後睡少時。忌鹽、毒物,及用心勞力等事。年深者亦治之。(《婦人良方》)
婦人白帶: 樗根白皮,滑石為等分,爲末,粥丸梧桐子大。每空腹白湯下一百丸。又方︰椿根白皮一兩半,乾薑(炒黑)、白芍藥(炒黑)、黃柏(炒黑)各二錢,為末。如上法丸服。(丹溪方)[男子白濁]方同上
莢
【釋名】
鳳眼草(象形)。
【主治】
大便下血(《嘉祐 》)。
大便下血(대변하혈)
【附方】
新四。腸風瀉血∶椿莢半生半燒,爲末。每服二錢,米飲下。(《普濟方》)誤吞魚刺∶《生生編》∶用椿樹子燒研,酒服二錢。《保壽堂方》∶用香椿樹子(陰幹)半碗,擂碎,熱酒沖服,良久連骨吐出。水洗頭,經一年眼如童子。加六月四日、七月七日、八月三日、九月二十日、十月二十三日、十一月二十九日、十二月十四日洗之。(《衛生易簡方》)
[本草綱目]
'[동의보감] > 탕액편(湯液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도(胡桃)[동의보감] (0) | 2018.10.22 |
---|---|
풍류(楓柳)[본초강목] (0) | 2018.10.22 |
저백피(樗白皮)[동의보감] (0) | 2018.10.21 |
아불식초(鵝不食草)[본초강목] (0) | 2018.10.10 |
홍화(紅花)[본초] (0) | 2018.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