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환단(草還丹)

2017. 2. 2. 18:35백두산 환&단&약이야기/환& 단[동의보감등]

초환단(草還丹)






^^^^^^^^^^^^^^^^^^^^^^^^^^^^^^^^^^^^^^^^^^^^^^^^^^^^^^^^^^^^^^^^^^^^^^^^^^^^^^

草還丹︰益元陽,補元氣,固元精,壯元神,乃延年續嗣之至藥也。

元陽(원양)과 元氣(원기)를 補益(보익)하고, 元精(원정)을 固(고)하고, 元神(원신)을 壯(장)하게 한다. 그래서 天壽(천수)를 延長(연장)하고 續嗣(속사)의 至藥(지약)인 것이다.

山茱萸(酒浸,取肉)一斤,破故紙(酒浸,焙乾)半斤,當歸四兩,麝香一錢,為末,煉蜜丸梧桐子大。

每服八十一丸,臨臥鹽酒下。(吳旻 《扶壽方》)


^^^^^^^^^^^^^^^^^^^^^^^^^^^^^^^^^^^^^^^^^^^^^^^^^^^^^^^^^^^^^^^^^^^^^^^^^^^

초환단(草還丹)


비위를 강하게 하고 음식을 소화시키며, 정수(精水)를 더하고, 신경(腎經)을 보하며, 원양(元陽)을 튼튼히 하고, 허리와 다리를 가볍게 하며,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고, 구규(九竅)를 통하게 하며, 눈과 귀를 밝게 하고 안색을 밝게 하는 처방임.


비위(脾胃)에 음식이 들어와서 정수(精膸)를 더하고 신경(腎經)을 보하고 원양(元陽)을 더해주어 허리와 다리를 가볍게하고 오장을 편안하게 하고 구규(九竅)를 열고 눈과 귀를 맑게 하는 처방임


^^^^^^^^^^^^^^^^^^^^^^^^^^^^^^^^^^^^^^^^^^^^^^^^^^^^^^^^^^^^^^^^^^^^^^^^^^^

초환단(草還丹)


산수유(山茱萸: 술에 씻은 것) 600g, 보골지(補骨脂: 술에 하루 정도 담갔다가 말린 것) 300g, 당귀(當歸) 160g, 사향(麝香) 4g. [《동의로년보양처방집(東醫老年補養處方集)》] 간(肝) · 신(腎)이 허하여 생긴 음위증(陰痿症)과 요통 그리고 허리와 무릎이 시린 데, 유정, 유뇨(遺尿)가 있으면서 음부가 항상 습하고 찬 데, 어지럽고 귀에서 소리가 나며 잘 들리지 않는 데, 월경량이 많은 데 등에 쓴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꿀로 환약을 만든다. 한 번에 4~6g씩 잠자기 전에 연한 소금물로 먹는다.


부수정방(扶壽精方)


明·吴旻辑。刊于1530年。书中选辑汇编各科验方(包括些成方)。分为诸虚、药酒、痰、眼目等共30门。选方以实用简便为原则。现有《珍本医书集成》本。

중국 명나라 오민(吳旻)이 1530년에 간행한 방서(方書) 전 1권 각 과(科)의 경험방(一部 기성 처방을 포괄)을 제허(諸虛), 약주(藥酒), 담(痰), 안목(眼目) 등 모두 30문(門)으로 나누었는데, 선방(選方)은 실용적이고 간편한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현재 『진본의서집성(珍本醫書集成)』 중에 들어 있는 책임.

^^^^^^^^^^^^^^^^^^^^^^^^^^^^^^^^^^^^^^^^^^^^^^^^^^^^^^^^^^^^^^^^^^^^^^^^^^^

草还丹

《扶寿精方》

별명(別名)

草还益元丹

조성(組成)

山茱萸(酒浸,取肉)1斤,破故纸(酒浸1日,焙干)半斤,当归4两,麝1钱。

공효(功效)

익무양(益无阳),보원기(補元氣),고원정(固元精),장원신(壮元神),연년속사(延年续嗣)。

용법용량(用法用量)

每服81丸,临卧酒、盐汤送下。

제비방법(制備方法)

上为细末,炼蜜为丸,如梧桐子大。

부주(附注)

草还益元丹(《便览》卷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