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8. 2. 18:00ㆍ백두산 환&단&약이야기/환& 단[동의보감등]
공진단(拱辰丹)
凡男子方當壯年而眞氣猶怯此乃稟賦素弱非虛而然瑸燥之藥尤宜速戒滋益之方塋品稍衆藥力細微難見功效但固天元一氣使水升火降則五藏自和百病不生 此方主之
대체로 남자(男子)가 장년(壯年)에 진기(眞氣)가 몹시 약한 것은 타고날 때부터 약하고 허한 것이 아니므로 성질이 조(燥)한 약재를 쓰지 말아야 한다. 음혈(陰血)을 보한다고 하는 처방들에 약품은 많으나 약효가 매우 약하여 효력을 보기 어렵다. 다만 타고난 원기를 든든히 하여 신수와 심화가 잘 오르내리게 되면 오장(五臟)이 스스로 조화되고 백병(百病)이 생기지 않을 것이다. 이에 방(方)이 주효(主效)하다.
鹿茸曧灸當歸山茱萸各四兩麝香五錢嶽硏右爲末酒恪糊和丸梧子大溫酒或鹽湯下七十丸至百丸《得效》
녹용(鹿茸)/(소자(酥炙/졸인 젖을 발라 구운 것), 당귀(當歸), 산수유(山茱萸) 각각 네냥, 사향(麝香)別研/따로 간 것)오전(五錢).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술을 두고 쑨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오자대(梧子大)만하게 환(丸)을 만든다. 칠십(七十)~백환(百丸)을 온주(溫酒)나 염탕(鹽湯)으로 복용(服用)한다.[득효].
○ 肝虛藥
간허약(肝虛藥)
治虛勞肝損面無血色筋緩目暗宜用四物湯雙和湯(方見上)補肝丸(方見五藏)黑元歸茸元拱辰丹滋補養榮丸
허로(虛勞)로 간이 상해서 얼굴에 핏기가 없으며 힘줄이 늘어지고 눈이 어두워지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사물탕(四物湯), 쌍화탕(雙和湯, 처방은 위에 있다), 보간환(補肝丸, 처방은 오장(五臟)문에 있다), 흑원(黑元), 귀용원(歸茸元), 공진단(拱辰丹), 자보양영환(滋補養榮丸)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공진단(拱辰丹)
명칭(名稱)
拱辰丹
조성(組成)
녹용(鹿茸)(酥炙,去皮毛用)4兩,산수유(山茱萸)(新好有肉紅潤者)4兩,당귀(當歸)(洗去土)4兩,사향(麝香)半兩(別研)。
주치(主治)
方壯年而真氣猶怯,乃稟氣素弱,非虛衰而然。
용법용량(用法用量)
每服100丸,或50丸,溫酒、鹽湯送下。
제비방법(制備方法)
上爲末,入麝香拌勻,酒煮面糊爲丸,如梧桐子大。
출처(出處)
《百一》卷十八引孫琳方。
○《百一》卷十八引孫琳方:拱辰丹
【處方】
鹿茸(酥炙,去皮毛用)4兩,山茱萸(新好有肉紅潤者)4兩,當歸(洗去土)4兩,麝香半兩(別研)。
【制法】 上爲末,入麝香拌勻,酒煮面糊爲丸,如梧桐子大。
【功能主治】 方壯年而真氣猶怯,乃稟氣素弱,非虛衰而然。
【用法用量】 每服100丸,或50丸,溫酒、鹽湯送下。
【摘錄】 《百一》卷十八引孫琳方
^^^^^^^^^^^^^^^^^^^^^^^^^^^^^^^^^^^^^^^^^^^^^^^^^^^^^^^^^^^^^^^
○ 공진단(拱辰丹)
처방(處方)
鹿茸(爁去毛,酥炙)1兩,當歸(去蘆,酒浸)1兩,山茱萸(去核)1兩,附子(炮,去皮臍)1兩,沉香2錢(不見火)。
제법(制法)
上爲細末,酒面糊爲丸,如梧桐子大。
공능(功能)주치(主治)
溫暖子宮,久服能令有孕。主
용법용량(用法用量)
每服50丸,空心溫酒、鹽湯任下。
【적록】 《魏氏家藏方》卷十
○《魏氏家藏方》,書名。十卷。宋·魏峴撰。刊於1227年。本書收作者家傳及其親自試用有效的驗方共1051首。歸納爲中風、一切氣、心氣、頭風頭痛、傷寒、伏暑、瘧疾、腎氣、痰飲、補益等41門,每門列敘若幹方劑,均有方而無論。現存日抄本。
'백두산 환&단&약이야기 > 환& 단[동의보감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감공진단(加減拱辰丹) (0) | 2014.08.02 |
---|---|
가미오약순기산(加味烏藥順氣散) (0) | 2014.08.02 |
대오약순기산(大烏藥順氣散) (0) | 2014.08.02 |
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0) | 2014.08.02 |
반룡환(斑龍丸) (0) | 2014.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