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2014. 8. 2. 17:55백두산 환&단&약이야기/환& 단[동의보감등]

 

 

 

 

 

 

 

 

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明目壯水丸

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治肝腎不足眼目昏暗常見黑花多下冷淚此壯水之主以鎭陽光補腎養肝生血明目

간(肝), 신(腎)의 기(氣)가 부족(不足)하여 안목(眼目)이 혼암(昏暗)하고 늘 검은 꽃 같은 것이 나타나며, 찬 눈물이 많이 나오는 것을 치(治)한다. 이 약은 주로 신수를 보충하여 양기를 억누르고 신과 간을 보하며 피가 생기게 하고 눈이 밝아지게 한다.

黃栢知母拄乳汁拌望乾炒各二兩半熟地黃生乾地黃酒洗天門冬麥門冬山茱萸酒蒸甘菊各二兩枸杞子酒洗一兩六錢牛膝酒洗一兩三錢人參當歸酒洗五味子砵絲子白茯神山藥栢子仁炒澤瀉牧丹皮酒洗各一兩白豆埼三錢

황백(黃柏), 지모(知母)(유즙(乳汁)망건(望乾)초(炒)) 각(各) 이량(二兩)반(半), 숙지황(熟地黃), 생건지황(生乾地黃/주선(酒洗), 천문동(天門冬), 맥문동(麥門冬), 산수유(山茱萸/주증(酒蒸), 감국(甘菊) 각(各)이량(二兩), 구기자(枸杞子/주선(酒洗) 일량(一兩)육전(六錢), 우슬(牛膝/주선(酒洗) 일량(一兩)삼전(三錢), 인삼(人參), 당귀(當歸/주선(酒洗), 오미자(五味子), 토사자(菟絲子), 백복신(白茯神), 산약(山藥), 백자인(柏子仁/초(炒), 택사(澤瀉), 모단피(牡丹皮/주선(酒洗)각(各) 일량(一兩), 백두구(白荳蔲) 삼전(三錢).

右爲末蜜丸梧子大空心鹽湯下百丸《醫鑑》

위를 연말(硏末)하여 연밀(煉蜜)로 오자대(梧子大)크기의 환(丸)을 만들어 백환(百丸)씩 공심(空心)에 염탕(鹽湯)으로 복용(服用)한다. [의감].

[동의보감(東醫寶鑑)]

^^^^^^^^^^^^^^^^^^^^^^^^^^^^^^^^^^^^^^^^^^^^^^^^^^^^^^^^^^^^^^^^^^^^^^^^^

☯ 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처방(處方)

간인삼(揀人參)30克 당귀(當歸)(酒洗)30克 숙지황(熟地黃)(酒蒸)60克 생지황(生地黃)(酒洗)60克 천문동(天門冬)(去心)60克 맥문동(麥門冬)(去心)60克 석조(石棗)(酒蒸,去核)60克 구기자(枸杞子)(酒洗)48克 오미자(五味子)30克 토사(吐瀉)子(酒制)30克 백복신(白茯神)(去皮、木)60克 건산약(乾山藥)30克 천우슬(川牛膝)(去蘆,酒洗)39克 백자인(柏子仁)(去殼,炒)30克 택사(澤瀉)30克 모단피(牡丹皮)(酒洗)30克 가국화(家菊花)(去梗)90克 황백(黃柏)45克 (乳汁拌勻,炒)지모(知母)75克(乳汁拌勻,曬幹,炒)백두구(白荳蔲)(去殼淨)9克

제법(制法)

上藥爲末,煉蜜爲丸,如梧桐子大。

공능(功能)

보신자간(補腎滋肝),양혈명목(凉血明目)。

주치(主治)

간신부족(肝腎不足),안목혼암(眼目昏暗),상견흑화(常見黑花),다유랭루(多有冷淚)。

용법용량(用法用量)

每服100丸,空腹時用淡鹽湯送下。

주의(注意)

服藥期間,忌食生冷、萊菔。

적록(摘錄)

《고금의감(古今醫鑑)》卷九

'백두산 환&단&약이야기 > 환& 단[동의보감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진단(拱辰丹)   (0) 2014.08.02
대오약순기산(大烏藥順氣散)  (0) 2014.08.02
반룡환(斑龍丸)  (0) 2014.08.02
별갑환(鱉甲丸)  (0) 2014.08.02
신기환(腎氣丸)  (0) 2014.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