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두령(馬兜鈴), 청목향(靑木香)[동의보감]

2024. 4. 29. 21:25[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마두령(馬兜鈴), 청목향(靑木香)[동의보감]

 

 

 

쥐방울덩굴

 

이명 : [쥐방울] [마도령] [까치오줌요강] [방울풀]

학명 : Aristolochia contorta Bunge

분류군 : Aristolochiaceae(쥐방울덩굴과)

일명 : ウマノスズクサ(Umano-suzukusa)

영명 : Northern Dutchmanspipe

漢名 : 馬兜鈴

 

잎은 호생하며 심장형 또는 넓은 난상 심장형이고 흰빛이 도는 녹색이며 길이 4-10cm, 3.5-8cm로서 예두 또는 둔두이고 심장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1-7cm이다.

열매

과실은 삭과로서 큰 구형이고 6골이 나며 길이 3-5cm 가량이고, 많은 종자가 들어 있다. 밑부분에서 6개로 갈라진 다음 6개로 갈라지는 화경의 가는 실에 매달려서 낙하산같이 된다. 과실을 마두령(馬兜鈴)이라 한다. 종자 둘레에 넓은 날개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엽액에서 꽃자루가 1개씩 나오고 소화경은 길이 1-4cm이며 꽃받침은 통같고 밑부분이 둥글게 커지며 안쪽에 긴 털이 있고 윗부분이 좁아졌다가 나팔처럼 벌어지며 한쪽 열편이 길게 뾰족해지고 그 속에서 6개의 암술대가 합쳐져서 1개처럼 된다. 수술은 6개이며 화주보다 짧고, 화주는 9개로서 합생(合生)하며 다육(多肉)이고 짧으며 씨방은 하위로서 가늘고 길며 화경과 연속된다.

줄기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가늘고 길며 가지가 갈라지고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간다.

뿌리

굵으며, 청목향(靑木香)이라 한다.

원산지

한국,일본,만주,아무르,우수리

분포

일본, 중국 / 한국(전역)

형태

다년생 덩굴식물이다.

크기

길이 1.5m에 달한다.

희귀, 특산식물 정보

[약관심종] 평가내용:약관심종 / 국가단위

 

 

생육환경

 

산야 또는 숲가장자리에 자라는 덩굴성이다.

/번식방법

종자로 번식한다.

 

이용방안

건조한 성숙과실은 馬兜鈴(마두령), 뿌리는 靑木香(청목향), 莖葉(경엽)天仙藤(천선등)이라 하며 약용한다.

 

馬兜鈴(마두령)

9-10월에 과실이 녹색에서 황색으로 변할 때 과병까지 함께 따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 마두령의 종자에는 aristolochic acid와 제4ammonium alkaloid, magnoflorine이 함유되어 있고 뿌리에는 magnoflorine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淸肺(청폐), 降氣(강기), 平喘(평천), 止咳(지해)의 효능이 있다. 肺熱咳喘(폐열해천), 喀血(객혈), 失音(실음-음성이 나오지 않는 증상), 痔漏腫痛(치루종통)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9g을 달여 복용한다.

 

 

靑木香(청목향)

 

10-11월에 줄기와 잎이 마른 다음에 뿌리를 캐어 수염뿌리와 泥土(이토) 등을 떨어내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 : 뿌리에는 精油(정유)가 함유되어 있고 정유에는 유효성분인 aristolochic acid A·C, 7-methoxy aristolochic acid A, 7-hydroxy aristolochic acid aristolene, alantoin, debilic acid, magnoflor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行氣(행기), 해독,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腹部(,복부)脹滿(창만), 사증(腹脹(복창) 또는 發疹(발진)하는 증상), 腸炎(장염)에 의한 下痢(하리), 고혈압, 疝氣(산기), 蛇咬傷(사교상), 癰腫(옹종), 정창, 피부의 瘙痒(소양), 濕爛(습란)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9g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散劑(산제)로 사용한다. <외용> 粉末(분말)을 조합하여 붙이거나 짓찧어 즙을 만들어서 바른다. 虛寒(허한)의 병자는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天仙藤(천선등)

 

서리가 내리기 전후 잎이 떨어지기 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약효 : 行氣(행기), 化濕(화습), 活血(활혈),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胃痛(위통), 疝氣痛(산기통-腸神經痛(장신경통)), 姙娠水腫(임신수종), 産後血氣腹痛(산후혈기복통), 류머티성 疼痛(동통)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4.5-9g을 달여 마시거나 혹은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달인 ()으로 세척하거나 짓찧어서 붙인다. 허약체질자는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보호방안

자생지가 산지 가장자리에 있어 천이의 진행이나 인위적인 훼손에 의해 파괴되기 쉽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특징

겨울철에도 열매가 떨어지지 않고 낙하선처럼 매달려 있다. 꽃 모양이 독특하며, 색소폰처럼 생긴 통꽃이 피고 중간이 공모양으로 부풀어 있다. 작은 벌레가 관 모양의 꽃 속으로 들어가 수정을 시킨다.

 

 

학명 Aristolochia contorta Bunge

Enum. Pl. Chin. Bor. 58 (Bunge, 1833)

1. Aristolochia nipponica Makino

Bot. Mag. (Tokyo) 24 : 124 (1910)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Aristolochia nipponica Nakai

Bot. Mag. (Tokyo) (Vol. 1-105, 1887-1992)

1) 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1997, 1998, 2000, 2001)

국명 쥐방울덩굴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까치오줌요강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마도령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3. 방울풀

1) 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1997, 1998, 2000, 2001)

4. 쥐방울

1)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2)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3)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4)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6) 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1997, 1998, 2000, 2001)

영문명 : Northern Dutchmanspipe

일본명 : ウマノスズクサ

북한명 :

 

 

Aristolochia contorta Bunge

Enum. Pl. Chin. Bor. 58. 1833 [Mar 1833]

58. 1833

Original Data:

Notes: China bor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북마두령(北马兜铃)

Aristolochia contorta Bunge

 

 

이명(异名)

Aristolochia nipponica Makino

 

 

多年生攀援草本全株无毛茎长达2米以上叶三角状心形至宽卵状心形3-13厘米3-10厘米顶端短锐尖或钝基部心形下面略带灰白色叶柄长1-7厘米3-10簇生于叶腋花被喇叭状2-3厘米基部急剧膨大呈球状上端逐渐扩大成向一面偏的侧片侧片卵状披针形带暗紫色顶端渐尖而延长成长约1厘米的线形尾尖雄蕊6贴生于花柱体周围柱头6果宽倒卵形至椭圆状倒卵形4-6厘米2-3厘米6瓣裂开

 

分布在东北内蒙古河北山东山西河南陕西和甘肃朝鲜苏联日本也有生于山坡灌丛边及沟旁根和果入药有祛痰发汗之效

 

 

 

&&&&&&&&&&&&&&&&&&&&&&&&&&&&&&&&&&&&&&&&&&&&&&&&&&&&&&&&&&&&

 

 

 

마두령(马兜铃)

Aristolochia debilis Sieb. et Zucc.

 

이명(异名)

 

Aristolochia sinarum Lindl.

Aristolochia recurvilabra Hance

 

 

 

多年生攀援草本全株无毛根长在土下延伸到处生苗初生苗呈暗紫色叶互生三角状矩圆形至卵状披针形或卵形3-8厘米2-4厘米顶端短渐尖或钝基部心形两侧具圆的耳片叶柄长1-2厘米花单生于叶腋花被喇叭状笔直3-4厘米基部急剧膨大呈球状上端逐渐扩大成向一面偏的侧片侧片卵状披针形带暗紫色顶端渐尖雄蕊6贴生于粗而短的花柱体周围柱头6蒴果近球形径约4厘米6瓣裂开分布在黄河以南至长江流域南至广西日本也有果实称马兜铃为清肺镇咳化痰药茎称天仙藤能疏风活血根称青木香有解毒利尿理气止痛之效

 

 

 

Aristolochia debilis Siebold & Zucc.

Abh. Akad. Muench. iv. III. (1846) 197.

iv. III. (1846) 197 0

Original Data:

Notes: Japon

 

 

 

출처:IPNI

^^^^^^^^^^^^^^^^^^^^^^^^^^^^^^^^^^^^^^^^^^^^^^^^^^^^^^^^^^^^^^^^^^^^^^^^^^

 

 

 

馬兜鈴

 

마두령(馬兜鈴)

 

 

쥐방올性寒一云平味苦無毒

 

()은 한()하고 <일운(一云) ()> ()는 고()하며 무독(無毒)하다.

 

 

主肺熱咳嗽喘急淸肺下氣

 

폐열(肺熱), 해수(咳嗽), 천급(喘急), 청폐하기(淸肺下氣)에 주효(主效)하다.

 

 

處處有之藤繞樹而生子狀如鈴作四五瓣葉脫時鈴尙垂如馬項鈴故得名熟則自折八九月間採實暴乾
只取離面子去殼及革膜微炒用本草

 

곳곳에 있는데 덩굴이 나무에 감겨 뻗어 나가며 씨의 생김새는 방울 같다. ()-오판(五瓣)로 갈라졌고 잎이 떨어진 다음에도 방울은 드리워 말의 목에 단 방울과 같기 때문에 마두령이라 한 것이다. 익으면 저절로 터진다. ()-구월(九月) 사이에 채실(採實)하여 폭건(暴乾)한다. 다만 속에 있는 씨만 받고 껍질과 속꺼풀은 버리며 약간 닦아서 쓴다[본초].

 

 

 

 

 

마두령근(馬兜鈴根)

 

 

治血痔瘻瘡

 

혈치누창(血痔瘺瘡)을 치()한다.

 

 

形似木香小指大赤黃色名土靑木香又名獨行根三月採根灸用本草

 

형상(形象)이 목향(木香)과 조금 비슷하며 굵기는 소지(小指) 정도이고, 적황색(赤黃色)이다. ()을 토청목향(土靑木香)이라고 하며 또 독행근(獨行根)이라고도 한다. 삼월(三月)에 채근(採根)하여 자용(炙用)한다.[본초].

 

 

 

 

[東醫寶鑑]

 

'[동의보감] > 탕액편(湯液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지황(生地黃)[동의보감]  (0) 2024.05.22
황정(黃精)[동의보감]  (0) 2024.05.13
청대(靑黛)[동의보감]  (0) 2024.04.20
사매(蛇莓)[동의보감]  (0) 2024.03.15
녹각(鹿角)[동의보감]  (0) 2024.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