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릉채(委陵菜)[약전]딱지꽃

2024. 3. 15. 22:07[약전등]/약전

위릉채(委陵菜)[약전]

 

 

 

 

딱지꽃/위릉채(委陵菜)

 

 

 

딱지꽃

 

이명:갯딱지, 딱지, 당딱지꽃

학명:Potentilla chinensis Ser. var. chinensis

분류군:Rosaceae(장미과)

일본명:カワラサイコ(Kawarasaiko)

영명:Chinese cinquefoil. Chinese potentilla.

漢名: 委陵菜(맡길 위, 언덕 릉, 나무 채)

 

잎은 우상복엽이며 근생엽이 옆으로 퍼지고 경생엽은 호생하며 소엽은 15-29개로서 밑부분의 것은 점차 작아지고 윗부분의 것은 도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2-5cm, 8-15mm로서 표면은 털이 거의 없으나 뒷면은 백색 면모(綿毛)가 밀생하고 특히 맥위에 긴 견모가 있으며 거의 중륵까지 갈라지고 탁엽은 넓은 타원형이며 우상으로 갈라진다.

열매

수과로서 넓은 난형이고 세로로 주름살이 지며 길이 1.3mm정도이고 뒷면에 능선이 있다.

꽃은 황색으로 6~7월에 피고 지름 1-2cm로서 산방상 취산화서로서 정생한다. 화경은 가늘며, 포는 손바닥모양으로 갈라진다. 꽃받침잎은 좁은 난형이고 예두이며 부악편은 피침형이고 뒷면에 흰 솜털이 있다. 꽃잎은 도란상 요두로서 각각 5개이며 턱엽에 털이 있다.

줄기

높이 30-60cm이고 총생하며 거칠고 크다. 융모(絨毛)가 있다.

뿌리

땅속에 흑갈색의 굵고 긴 원주상 뿌리가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만주, 아무르, 중국, 대만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 전북(덕유산), 경남(금정산), 경북(팔공산), 충남, 충북, 강원(치악산), 경기(광릉), 황해, 평북, 함남에 야생한다.

형태

다년초이다.

크기

높이 30-60cm 가량이다.

 

 

 

생육환경

개울가의 들이나 해변가에 난다.

광선

양생

/번식방법

종자, 분근에 의한다.

이용방안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딱지꽃, 털딱지꽃의 ()全草(전초)萎陵菜(위릉채)라 하며 약용한다.

 

4-10월에 뿌리가 달린 全草(전초)를 채취하여 花枝(화지)果枝(과지)를 제거하여 말리

거나 지상부의 莖葉(경엽)을 모두 제거하고 뿌리만 쓴다.

 

성분 : 신선한 것에는 수분 62.39%, 비타민C 49.4mg%가 함유되어 있고 건조품에는 수

12.12%, 단백질 9.18%, 지방 4.03%, 組纖維(조섬유) 21.89%, 무기성분 7.25% 등이 함

유되어 있다. ()에는 tannin()이 많다.

 

약효 : 祛風濕(거풍습), 해독의 효능이 있다. 이질, 류머티성 筋骨疼痛(근골동통), 사지마

, 癲癎(전간), 瘡疥(창개-피부병)를 치료한다.

 

용법/용량 : 15-30g을 달여 복용하거나 또는 散劑(산제),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전액)으로 씻거나 粉末(분말)로 살포하거나 조합하여 塗布(도포)한다.

유사종

 

솜양지꽃(P. discolor) : 잎 표면에 솜같은 털이 밀생하며 봄철에 손가락만한 뿌리를 먹으면 밤같은 맛이 있다.

 

털딱지꽃 (var.concolor FR.et SAV.): 잎 표면에 털이 많으며 바닷가에서 자란다.

 

 

 

 

학명 Potentilla chinensis Ser. var. chinensis

DC., Prodr. 2 : 581 (1825)

1. Potentilla chinensis subsp. trigonodonta Hand.-Mazz.

Symb. Sin. 7 : 512 (1933)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2. Potentilla chinensis var. latifida Koidz.

J. Coll. Sci. Univ. Tokyo 34(2) : 179 (191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Potentilla chinensis var. littoralis Nakai

Rep. Veg. Diamond Mountains 202 (Nakai, 191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Potentilla chinensis var. pseudochinensis (Nakai) Nakai

Bot. Mag. (Tokyo) (Vol. 1-105, 1887-199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5. Potentilla chinensis var. xerogens Hand.-Mazz.

Symb. Sin. 7 : 512 (1933)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6. Potentilla exaltata Bunge

Enum. Pl. Chin. Bor. 24 (Bunge, 1833)

1) Fl. U.S.S.R. - use Fl. URSS (1963-x)

2)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7. Potentilla pseudochinensis Nakai

Rep. Veg. Diamond Mountains 202 (Nakai, 191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딱지꽃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갯딱지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당딱지꽃

1)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딱지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영문명 :

일본명 : カワラサイコ

북한명 : 딱지꽃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

 

 

 

委陵菜(原變種)

 

Potentilla chinensis var. chinensis

 

 

 

^^^^^^^^^^^^^^^^^^^^^^^^^^^^^^^^^^^^^^^^^^^^^^^^^^^^^^^^^^^^^^^^^^^^^^^^^^^

 

 

 

 

翻白菜

 

위릉채(委陵菜)

 

Potentilla chinensis Ser.

 

 

이명(異名)

 

Potentilla chinensis subsp. trigonodonta Hand.-Mazz.

Potentilla chinensis var. xerogenes Hand.-Mazz.

Potentilla exaltata Bunge

Potentilla xerogens Hand.-Mazz.

 

多年生草本30-60厘米根肥大木質化莖叢生直立或斜上有白色柔毛羽狀複葉基生葉有小葉15-31,小葉矩圓狀倒卵形或矩圓形3-5厘米寬約1.5厘米羽狀深裂裂片三角狀披針形下面密生白色綿毛葉柄長約1.5厘米托葉和葉柄基部合生葉軸有長柔毛莖生葉與基生葉相似聚傘花序頂生總花梗和花梗有白色絨毛或柔毛花黃色直徑約1厘米瘦果卵形有肋紋多數聚生於有綿毛的花托上

 

分布於東北華北西北西南朝鮮日本也有生於山坡路旁或溝邊根提制栲膠根及全草入藥能清熱解毒收斂止血

 

 

Potentilla chinensis Ser.

Prodr. (DC.) 2: 581. 1825 [mid Nov 1825]

2: 581 1825

Links:

hybridparent of:Rosaceae Potentilla × recensita Soják Willdenowia 33(2): 421 (22 Dec. 2003).

 

Original Data:

Notes: China

 

 

^^^^^^^^^^^^^^^^^^^^^^^^^^^^^^^^^^^^^^^^^^^^^^^^^^^^^^^^^^^^^^^^^^^^^^^^^

 

 

위릉채(委陵菜)

 

Potentillae Herba

 

근두채(根頭菜)

 

이 약은 딱지꽃 Potentilla chinensis Seringe (장미과 Rosaceae)의 전초이다.

 

성 상

 

이 약은 뿌리가 있는 전초로 원기둥모양 또는 원뿔모양이고 약간비틀렸으며 가지가 갈린 것도 있다. 길이 5 17 cm, 지름 5 10 mm이다. 바깥면은 어두운 갈색 어두운 적자색이고 불규칙하게 세로로 갈라진 골이 있다. 바깥 껍질은 조각이 되어 잘 떨어지고 뿌리의 머리 부분은지름 3 5 cm로 비교적 굵다. 질은 단단하고 쉽게 꺾어진다. 이 약의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볼 때 뿌리의 코르크 조직은 발달되었고 낙피층이 있다. 사부는 비교적 넓고 바깥쪽 사부사이에는 1기 수선이 있으며 옥살산칼슘 집정 및 가늘고 작은 단정이 들어 있다. 형성층은 고리를 이룬다. 목부는 수선이 불규칙하고 옥살산칼슘 집정이 들어 있으며 도관 주위에는 섬유속이 있다.

 

이 약은 특유한 냄새가 약간 있고 맛은 떫고 약간 쓰다.

 

확인시험

 

1) 이 약의 가루 1.0 g에 에탄올 5 mL를 넣고 수욕에서 5 분간가온한 다음 여과한다. 여액 1 mL에 마그네슘가루 0.1 g을 넣고 염산을 약간씩 조심하여 넣을 때 붉은색을 나타낸다.

 

2) 이 약의 가루 1.0 g에 물 10 mL를 넣고 수욕에서 5 분간 가온한 다음여과한다. 여액 1 mL3 % 염화철()용액을 1 2 방울 넣을 때 흑청색을 나타낸다.

 

순도시험

 

1) 중금속 가) 5 ppm 이하.

) 비소 3 ppm 이하.

) 수은 0.2 ppm 이하.

) 카드뮴 0.3 ppm 이하.

2) 잔류농약 가) 총 디디티(p,p'-DDD, p,p'-DDE, o,p'-DDT

p,p'-DDT의 합계) 0.1 ppm 이하.

) 디엘드린 0.01 ppm 이하.

) 총 비에이치씨(α,β,γ δ-BHC의 합계) 0.2 ppm 이하.

) 알드린 0.01 ppm 이하.

) 엔드린 0.01 ppm 이하.

저 장 법 밀폐용기.

 

 

[대한민국약전]

 

^^^^^^^^^^^^^^^^^^^^^^^^^^^^^^^^^^^^^^^^^^^^^^^^^^^^^^^^^^^^^^^^^^^^^^^^^

위릉채(委陵菜)

 

 

영문명(英文名)

 

HERBA POTENTILLAE CHINENSIS

 

 

별명(別名)

 

毛雞腿子野雞膀子蛤蟆草山蘿蔔翻白草[山東]白頭翁[湖北]

 

 

래원(來源)

 

本品爲薔薇科植物委陵菜Potentilla chinensis Ser. 的幹燥全草春季未抽莖時采挖除去泥沙曬幹

 

 

 

성상(性狀)

 

本品根呈圓柱形或類圓錐形略扭曲有的有分枝517cm直徑0.51cm表面暗棕色或暗紫紅色有縱紋粗皮易成片狀剝落根頭部稍膨大質硬易折斷斷面皮部薄暗棕色常與木部分離射線呈放射狀排列葉基生單數羽狀複葉有柄小葉狹長橢圓形邊緣羽狀深裂下表面及葉柄均密被灰白色柔毛氣微味澀微苦

 

 

 

감별(鑑別)

 

1本品粉末灰褐色非腺毛極多單細胞平直或彎曲有的纏結成團細長直徑737μm長約至4000μm壁厚草酸鈣簇晶存在於葉肉組織中直徑665μm偶有小方晶木纖維長梭形直徑714μm壁稍厚孔溝明顯木栓細胞類多角形或扁長方形內含黃棕色物

 

2取本品粉末1g加石油醚6090℃)10ml,溫浸3 小時濾過濾液揮幹加乙醇10ml使溶解濾過濾液濃縮至約1ml,作爲供試品溶液另取委陵菜對照藥材1g同法制成對照藥材溶液照薄層色譜法附錄B試驗吸取上述兩種溶液各6μl分別點於同一以羧甲基纖維素鈉爲黏合劑的矽膠薄層板上以甲苯甲酸乙酯甲酸5:4:1爲展開劑展開取出晾幹噴以2三氯化鐵溶液與鐵氰化鉀試液的等量混合溶液供試品色譜中在與對照藥材色譜相應的位置上顯相同的藍色斑點

 

 

포제(炮制)

 

除去雜質洗淨潤透切段曬幹

 

 

 

성미(性味)

 

 

 

 

귀경(歸經)

 

歸肝大腸經

 

 

 

공능(功能)

 

청열해독(淸熱解毒)량혈지리(涼血止痢)

 

 

주치(主治)

 

적리복통(赤痢腹痛)구리불지(久痢不止)치창출혈(痔瘡出血)옹종창독(癰腫瘡毒)

 

 

 

용법용량(用法用量)

 

915g外用鮮品適量煎水洗或搗爛敷患處

 

 

 

저장(貯藏)

 

置通風幹燥處

 

 

 

비주(備注)

 

1同屬植物粘委陵菜Potentilla viscosa Donn西藏以全草作委陵菜入藥功效類似

 

 

적록】《중국약전(中國藥典)

'[약전등] > 약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향[약전]  (0) 2024.03.29
자화지정(紫花地丁)[약전]  (1) 2024.03.28
녹용[약전]  (4) 2024.03.07
녹각교[약전]  (1) 2024.03.07
녹각[약전]  (0) 2024.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