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곽고[1]

2023. 11. 23. 23:43백두산 약술&효소이야기/효소& 고(膏)자료

음양곽고[1]

 

 

 

^^^^^^^^^^^^^^^^^^^^^^^^^^^^^^^^^^^^^^^^^^^^^^^^^^^^^^^^^^^^^^^^^^^^^^^^^^^

 

 

일체(一切)의 냉풍(冷風), 노기(勞氣), 요슬(腰膝)을 보()하고 남자(男子)의 절양불기(絶陽不起), 여인(女人)의 절음(絶陰)으로 무자(無子), 노인(老人)의 혼모(昏耄), 중년(中年)의 건망(健忘)에 주효(主效)하다.

 

음위(陰痿), 경중통(莖中痛)을 치()하고 기력(氣力)을 익()하며, 근골(筋骨)을 견()하고 남자(男子)가 구복(久服)하면 유자(有子)한다.

 

나력(癩癧)을 소()하고, 하부(下部)의 창()을 세()하면 충()이 출()한다.

 

사람이 이것을 복용(服用)하면 음양(陰陽)이 호()하다.

 

음양(陰羊)이 일일(一日) 백회(百回) 교합(交合)하는 것은 이것을 먹기 때문이므로 음양곽(淫羊藿)이라고 하였다. 주선(酒洗)하여 세절(細切)해서 배용(焙用)한다.[본초].

 

 

 

[동의보감]

 

^^^^^^^^^^^^^^^^^^^^^^^^^^^^^^^^^^^^^^^^^^^^^^^^^^^^^^^^^^^^^^^^^^^^^^^^^^^

 

 

사람이 이것을 服用(복용)하면 陰陽(음양)()하다.

 

西川(서천)北部(북부)陰羊(음양)이라는 動物(동물)이 있는데 一日(일일)百回(백회)交合(교합)한다. 그것들이 ()을 먹기 때문이라고 한다. 따라서 淫羊藿(음양곽)이라 이름 지어졌다.

 

 

 

근엽

 

 

 

주치

 

음위(陰痿), 절양(絕陽), 경중통(莖中痛), 소변(小便)을 통리(通利)하고 기력(氣力)을 익장(益壯)하고, ()를 강()하게 한다. [본경(本經)]

 

 

근골(筋骨)을 견실(堅實)하게 해주며, 나력(瘰癧), 적옹(赤癰)을 없앤다. 하부(下部)에 창()이 있는 것을 치료하고, ()을 씻어낸다. 남자(男子)가 구복(九服)하면 무자(無子)하게 된다. [別錄(별록)]

 

 

진장기(陳藏器) 무자(無子)는 잘못 기입한 것으로서 유자(有子)자라 써야 한다. 남자의 절양(絕陽)으로 무자(無子)한 것, 노인의 혼모(昏耗), 중년의 건망(健忘), 일체(一切)의 냉풍(冷風), 노기(勞氣), 근골(筋骨)의 연급(攣急), 사지(四肢)의 불인(不仁), 요슬(腰膝)을 보()하고, 심력(心力)을 강화(強化)한다. [대명(大明)]

 

 

음양곽(淫羊藿)은 미감(味甘)하며, 향기(香氣)롭고 성()이 온()하고 한()하지 않으며 능히 정기(精氣)를 익()하므로 수족(手足)의 양명(陽明), 삼초(三焦), 명문(命門)의 약()을서 진양부족(真陽不足)인 사람에게는 매우 적합(適合)하다.

 

 

 

 

선령비주(仙靈脾酒)

 

남성을 익()하고, ()을 흥()하게 하고, 요슬(腰膝)의 냉()을 치유(治癒)한다. 음양곽(淫羊藿)한근을 술 일두(一鬥)에 삼일간 재워서 때에 맞추어 마신다. [식의심경(食醫心鏡)]

 

 

 

편풍불수(偏風不遂)

 

피부(皮膚)의 불인(不仁)에는 선령비주(仙靈脾酒)를 복용(服用)하는 것이 좋다. 선령비(仙靈脾) 한근을 잘게 다져서 생견대(生絹袋)에 가득히 담고 불진기(不津器)에 넣어서, 무회주(無灰酒) 이승(二升)에 적시고 몇 중()으로 봉()하여 춘하(春夏)는 삼일 추동(秋冬)은 오일, 후에 매일 따뜻하게 해서 마신다. 그동안은 얼큰하게 취한 상태를 유지한다. 너무 과음하면 안 된다. 술을 모두 마시게 되면 다시 만들어 음용(飮用)한다. 틀림없이 효험을 본다. [성제록(聖濟錄)]

 

 

병후청맹(病後青盲)

 

발병(發病)이 초기(初起)이면 치료할수 있다. 선령비(仙靈脾) 일량(一兩), 담두시(淡豆豉) 일백립(一百粒), 물 일완반(一碗半)을 일완(一碗)으로 달여서 돈복(頓服)하면 치유(治癒)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本草綱目]

 

 

^^^^^^^^^^^^^^^^^^^^^^^^^^^^^^^^^^^^^^^^^^^^^^^^^^^^^^^^^^^^^^^^^^^^^^^^^^^

 

 

성미(性味)

 

 

 

귀경(歸經)

 

歸肝腎經

 

 

공능(功能)

 

보신양(補腎陽)강근골(強筋骨)거풍습(祛風濕)

 

 

주치(主治)

 

양위유정(陽痿遺精)근골위연(筋骨痿軟)풍습비통(風濕痹痛)마목구련(麻木拘攣)갱년기고혈압(更年期高血壓)

 

 

적록】《중국약전

 

^^^^^^^^^^^^^^^^^^^^^^^^^^^^^^^^^^^^^^^^^^^^^^^^^^^^^^^^^^^^^^^^^^^^^^^^^^^

 

공능주치(功能主治)

 

보신장양(補腎壯陽)거풍제습(祛風除濕)

 

 

양위불거(陽痿不舉)소변림력(小便淋瀝)근골련급(筋骨攣急)반신불수(半身不遂)요슬무력(腰膝無力)풍습비통(風濕痹痛)사지불인(四肢不仁)

 

 

적록】《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

 

 

 

귀경(歸經)

신경(腎經)

 

공효(功效)

보신장양(補腎壯陽)거풍제습(祛風除濕)강근건골(強筋鍵骨)

 

주치(主治)

 

양위유정(陽痿遺精)허랭불육(虛冷不育)뇨빈실초(尿頻失楚)신허천해(腎虛喘咳)요슬산연(腰膝酸軟)풍습비통(風濕痹痛)반신불수(半身不遂)사지불인(四肢不仁)

 

용약금기(用藥禁忌)

陰虛而相火易動者木禁服

 

공효분류(功效分類)

보신약(補腎藥)거풍약(祛風藥)

 

 

성미(性味)

味辛性溫

 

임상운용(臨床運用)

  

1.소아마비증(小兒麻痹症)

2신경쇠약(神經衰弱)

3만성기관염(慢性氣管炎)

 

중화본초

 

 

 

^^^^^^^^^^^^^^^^^^^^^^^^^^^^^^^^^^^^^^^^^^^^^^^^^^^^^^^^^^^^^^^^^^^^^^^^^^^

 

공효(功效)

 

보신장양(補腎壯陽)거풍제습(祛風除濕)
      

응용(應用)
      

1신양허쇠(腎陽虛衰)양위뇨빈(陽痿尿頻)요슬무력(腰膝無力)

2풍한습비(風寒濕痺)지체마목(肢體痲木)

       

3임상연구(臨床硏究):

淫羊藿西洋參口服防治早衰有顯著療效遼寧中醫雜志19921910):26);

淫羊藿菟絲子研末服治療陽痿有效雲南中醫雜志1989106):13);

淫羊藿浸膏片治療病毒性心肌炎獲良好療效中西醫結合雜志19849523;

以淫羊藿爲主組成的二仙腎氣湯可用老年胸腰椎骨質疏松症中國骨傷199475):9);

自擬健骨湯治療糖尿病性骨代謝紊亂有效黑龍江中醫藥2000,(1):46)。

淫羊藿配伍麻杏石甘湯或玉屏風散用語治療小兒喘息性支氣管炎有良效 吉林中醫藥2002121)。

 

^^^^^^^^^^^^^^^^^^^^^^^^^^^^^^^^^^^^^^^^^^^^^^^^^^^^^^^^^^^^^^^^^^^^^^^^^^^

 

 

 

귀경(歸經)

 

入肝腎經

 

 

공능(功能)

 

보신장양(補腎壯陽)거풍제습(祛風除濕)

 

 

주치(主治)

 

양위불거(陽痿不舉)소변림력(小便淋瀝)근골련급(筋骨攣急)반신불수(半身不遂)요슬무력(腰膝無力)풍습비통(風濕痹痛)사지불인(四肢不仁)

 

 

 

[임상운용(臨床運用)]

 

 

@임상보도(臨床報道)@

 

 

1. 병독성(病毒性)(viral)心肌炎(myocarditis) 

 

2. 백세포감소증(白細胞減少症) 

 

3. 양위(陽痿)

4. 외음백반(外陰白斑) 

5. 공능성자궁출혈(功能性子宮出血) 

6. 소인마비증(小兒痲痺症)

7골괴경사식관(骨塊梗死食管) 

'백두산 약술&효소이야기 > 효소& 고(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댕댕이나무 열매고  (0) 2024.06.26
음양곽고[완성]  (1) 2023.11.23
산삼잎고 완성  (2) 2023.11.23
위령선고[완성]  (0) 2022.11.19
오미자고[2]  (0) 2022.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