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4. 17. 01:29ㆍ백두산 본초 이야기/백두산 약초
추자(楸子)
꽃사과/추자(楸子)
꽃사과
장미과(薔薇科 Rosaceae) 사과나무속(一屬 Malus)에 속하는 소교목인 산사나무의 열매.
'산사'라고도 한다. 아시아와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흔히 심는 사과나무보다는 딱딱하고 훨씬 작으며 가시도 더 많다. 맛은 시큼하지만 색깔이 선명하고 적당한 단맛도 가지고 있어 젤리, 통조림, 사과차(산사자차), 사과주(산사자주)로 만들어 먹었으며, 한방에서는 생약을 위장약 등으로 이용하였다.
꽃사과는 과당, 포도당, 주석산, 비타민 C가 풍부하여 건강유지, 피로회복, 변비 등에 좋다. 꽃사과 열매 말린 것은 한방에서 건위와 소화불량, 식욕부진, 위산결핍증 또는 위산과다증에 사용하며, 설사와 생리통, 동상, 건위, 요통, 장출혈 등에 약으로 쓴다. 민간에서는 육류를 요리할 때 고기를 부드럽고 연하게 하기 위한 연육제로도 사용하였으며, 과즙은 숙취해소에 사용하였다. 꽃사과로 술을 담가 먹으면 피로회복, 식욕증진, 신경과민, 불면증, 변비 등을 치유하는 효과가 있어 약술로 마시기도 하였다. 배상면주가에서 생산하는 '산사춘'이라는 술의 원료가 바로 꽃사과이다.
최근 한 연구에서 꽃사과 잎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각각 73.0mg/g와 86.5mg/g으로 후지 품종보다 2배 이상 높다고 하였으며,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이 혈압과 콜레스테롤 상승을 억제하고, 플라노이드의 경우 혈전 및 뇌졸중 예방, 골밀도 유지에 큰 효과를 보였다고 한다. 또한 꽃사과 잎에서는 기미나 갈색 색소의 피부 침착을 억제하는 성분의 함유량이 높게 나타나 천연 화장품 제조 원료로도 이용 가능성을 보고하였다.
네이버백과
추자(楸子)
Malus prunifolia (Willd.) Borkh.
이명(異名)
Malus domestica subsp. prunifolia (Willd.) Likhonos
Pyrus prunifolia Willd.
小喬木,高3-10米;小枝粗壯,幼時密生短柔毛,老枝灰紫色或灰褐色,無毛。葉片卵形或橢圓形,長5-9厘米,寬4—5厘米,先端漸尖或急尖,基部寬楔形,邊緣有細銳鋸齒;葉柄長1-5厘米,疏生白色柔毛。傘形花序,有花4-10朵,花梗長2-3.5厘米,有短柔毛;萼筒外面有長柔毛,萼裂片披針形,兩面均生白色柔毛;花瓣倒卵伏橢圓形,白色或帶粉紅色;雄蕊約20;花柱4(5),基部密生白色柔毛。梨果卵形,直徑2-2.5厘米,紅色,萼裂片宿存,果梗細長。
分布在河北、山東、山西、河南、陝西、甘肅、遼寧、內蒙古。
生於海拔50-1300米的山坡、平地或山穀梯田邊。果食用及加工;是蘋果的優良砧木。
Malus prunifolia ( Willd. ) Borkh.
Theor. Prakt. Handb. Forstbot. 2: 1278. 1803
2: 1278 1803
출처:IPNI
^^^^^^^^^^^^^^^^^^^^^^^^^^^^^^^^^^^^^^^^^^^^^^^^^^^^^^^^^^^^^^^^^^^^^^^
추자(楸子)
Malus prunifolia(Willd.)Borkh.[Pyrus prunifolia Willd.]
공효(功效)
생진(生津);소식(消食)
과속분류(科屬分類)
薔薇科
주치(主治)
구갈(口渴);식적(食積)
생태배경(生態環境)
生於海參拔50-1300m的山坡、平地或山穀梯田邊。
채수와저장(采收和貯藏)
8-9月果熟時采摘,鮮用。
공효분류(功效分類)
生津藥;消食藥
식물형태(植物形態)
楸子,小喬木,高3-8m。
小枝粗壯,嫩時密短柔毛,老枝灰紫色或灰褐色,無毛。葉互生;葉柄長1-5cm,嫩果密被柔毛;葉片卵形或橢圓形,長5-9cm,寬4-5cm,先端漸尖或急尖,基部寬楔形,邊緣有細銳鋸齒。花兩性;傘形或近傘形花序,具花4-10朵;花梗長2-3.5cm,被短柔毛;萼筒外面有長柔毛;萼裂片5,披針形,兩面均被柔毛;花白色或帶粉紅色,花瓣5,倒卵狀橢圓形,長約2.5-3cm,寬約1.5cm,基部有短爪;雄蕊20,花絲和短不齊,約等於花瓣三分之一;化柱4(5),基部有長絨毛,較雄蕊長。梨果卵形,直徑2-2.5cm,紅色,萼裂片宿存,肥厚,果梗細長。花期4-5月,果期8-9月。
성미(性味)
味酸、甘、性平
생약재감정(生藥材鑑定)
性狀鑒別,果實卵形,直徑2-2.5cm,果皮紅色,無灰白斑點,果肉黃白色,成熟後有2-5室,每室含種子1-2顆,種子扁卵圓形,淺紫紅色至紅紫色。有宿存花萼,略突出,萼片兩面被毛,萼筒外邊被毛。氣微香,味甘、微酸。
顯微鑒別,粉末特征:紅棕色。1.中果皮細胞含色素。2.含草酸鈣結晶,放晶如梅花狀。3.中果皮細胞中不含石細胞。
약재기원(藥材基源)
爲薔薇科植物揪子的果實。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湯,15-30g。
출처
《중화본초》
'백두산 본초 이야기 > 백두산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산근근(高山芹根) (0) | 2023.05.19 |
---|---|
독근근(毒芹根) (1) | 2023.04.26 |
평과(蘋果) (1) | 2023.02.02 |
자말리(紫茉莉) (0) | 2022.12.12 |
백두산 야생오미자 (0) | 2022.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