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2. 13. 02:38ㆍ[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비파(枇杷)[동의보감]
비파나무/비파(枇杷)
비파나무
학명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영명Liquat, Japanese Medlar
잎
잎은 호생하고 타원상 긴 난형이며 첨두 예저이고 길이 15-25cm, 폭 3-5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윤채가 있고 뒷면은 연갈색 밀모로 덮여 있으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드문드문 있고 엽병은 길이 0-10mm이다.
열매
열매는 구형 또는 타원형이며 지름 3-4cm로서 가지끝마다 몇 개씩 모여 달리며 이듬해 6월에 황색으로 익으며 먹을 수 있고, 종자는 1-5개이며 흑갈색이고 심으면 바로 발아한다.
꽃
꽃은 백색으로 10~11월에 피며 지름 1cm이고 원추화서는 가지끝에 정생하며 연한 갈색털로 덮이고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 5개이다. 향기가 있다.
줄기
높이가 10m에 달하고 어린가지는 굵으며 연한 갈색 밀모로 덮여 있다.
원산지
일본과 중국 원산
분포
▶한국, 일본, 중국에서 재배한다.
▶제주도 및 남해안 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상록 활엽 소교목이다.
크기
높이 10m
학명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Trans. Linn. Soc. London 13: 102
1. Crataegus bibas Lour.
Fl. cochinch. 319 (1790)
1) Bibliography of Cultivated Trees and Shrubs, Hardy in the Cooler Temperate Regions of the Northern Hemisphere (Rehder, 1949)
2. Mespilus japonica Thunb.
Fl. jap. 206 (1784)
1) Bibliography of Cultivated Trees and Shrubs, Hardy in the Cooler Temperate Regions of the Northern Hemisphere (Rehder, 1949)
3. Photinia japonica (Thunb.) Franch. & Sav.
Enum. Pl. Jap. 1 : 142 (Franch. & Sav., 187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문헌정보
기재문
문헌명 : Trans. Linn. Soc. London 13: 102
국명 비파나무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북한명
외국명 영문명
Liquat, Japanese Medlar
일본명
ビワ
Eriobotrya japonica ( Thunb. ) Lindl.
Trans. Linn. Soc. London 13: 102. 1821 [23 May-21 Jun 1821]
13: 102 1821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비파(枇杷)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이명(異名)
Crataegus bibas Lour.
Mespilus japonica Thunb.
常綠小喬木,高約10米;小枝粗壯,黃褐色,密生鏽色或灰棕色絨毛。葉革質,披針形、倒披針形、倒卵形或橢圓狀矩圓形,長12-30厘米,寬3-9厘米,先端急尖或漸尖,基部楔形或漸狹成葉柄,邊緣上部有疏鋸齒,上面多皺,下面及葉柄密生灰棕色絨毛,側脈11-21對;葉柄長6-10毫米。圓錐花序頂生,總花梗、花梗及萼筒外面皆密生鏽色絨毛;花白色,直徑1.2-2厘米;花柱5,離生。梨果球形或矩圓形,直徑2-5厘米,黃色或桔黃色。
分布在甘肅、陝西、河南、長江流域;越南,緬甸,印度,印度尼西亞,日本也有。
多爲栽培或野生。果生食或釀酒;葉藥用,能利尿、清熱、止渴,枇杷仁及葉有鎮咳作用。
^^^^^^^^^^^^^^^^^^^^^^^^^^^^^^^^^^^^^^^^^^^^^^^^^^^^^^^^^^^^^^^^^^^^^^^^^^^^^^
枇杷葉
性平味苦(一雲甘)無毒
성(性)은 평(平)하고 미(味)는 고(苦)하며 무독(無毒)하다.
主咳逆不下食胃冷嘔籖治肺氣主渴疾
해역(咳逆), 음식이 내리지 않고 위랭(胃冷)하여 구역하고 딸꾹질하는 것에 주효(主效)하며, 폐기(肺氣)를 치(治)하고, 渴症(갈증)에 주효(主效)하다.
生南方木高丈餘葉大如驢耳背有毛四月採葉暴乾
남방(南方)에서 생(生)하며, 나무의 높이는 일장여(一丈餘), 엽(燁)은 려(驢)의 이(耳)와 같으며 잎의 등쪽에 솜털이 있다. 사월(四月)에 채(採)하여 폭건(暴乾)한다.
須火灸以布拭去上黃毛令盡不爾毛射入肺令人咳不已《本草》
반드시 불에 구워 천으로 황모(黃毛)를 제거(除去)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사폐(射肺)하여 해(欬)가 멎지 않게 된다. [본초].
@實
비파실(枇杷實)
性寒味甘無毒
성(性)은 한(寒)하고 미(味)는 감(甘)하며 무독(無毒)하다.
治肺潤五藏下氣《入門》
폐(肺)를 치(治)하며, 윤오장(潤五臟)하며 하기(下氣)한다. [입문].
[동의보감(東醫寶鑑)]
'[동의보감] > 탕액편(湯液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군자(使君子)[동의보감] (0) | 2023.02.20 |
---|---|
복분자(覆盆子) (0) | 2023.02.20 |
모과(木瓜)[동의보감] (2) | 2023.02.02 |
계관화(鷄冠花)[동의보감] (0) | 2023.02.02 |
산사(山楂)[동의보감] (0) | 2023.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