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과(木瓜)[본초강목]

2023. 2. 2. 02:07[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모과(木瓜)[본초강목]

 

 

 

 

^^^^^^^^^^^^^^^^^^^^^^^^^^^^^^^^^^^^^^^^^^^^^^^^^^^^^^^^^^^^^^^^^^^^^^^^^^

木瓜

 

(《別錄中品

 

 

 

釋名

 

 

時珍曰︰《爾雅木瓜郭璞注云木實如小瓜酢而可食則木瓜之名取此義也

 

爾雅(이아)()木瓜(모과)이다.” 라고 하였으며, 郭璞(곽박)()나무의 ()이다. 작은 ()와 같고, ()하며, 먹을 수 있는 것이다.” 라고 하였는데 木瓜(모과)라는 名稱(명칭)은 이 뜻을 ()한 것이다.

 

 

或云木瓜味酸得木之正氣故名亦通楙從林諧聲也

 

혹은 木瓜(모과)()()하고 나무의 正氣(정기)를 얻은 것이기 때문에 命名(명명)한 것이다.“라고도 하였는데 역시 ()한다. 楙字(무자)(), ()에 따르는 諧聲(해성)인 것이다.

 

 

集解

 

弘景曰木瓜山陰蘭亭尤多彼人以為良果又有 楂大而黃有楂子小而澀。《梨鑽之古亦以楂為果今則不也

 

保升曰其樹枝狀如柰花作房生子形似栝蔞火乾甚香楂子似梨而酢江外常為果食

 

頌曰木瓜處處有之而宣城者為佳木狀如柰春末開花深紅色其實大者如瓜小者如拳上黃似著粉宣人種蒔尤謹遍滿山谷始實成則鏃紙花粘於上夜露日烘漸變紅花文如生本州以充土貢故有宣城花木瓜之稱楂酷類木瓜但看蒂間別有重蒂如乳者為木瓜無者為 楂也

 

雷斅曰真木瓜皮薄色赤黃香而甘酸不澀其向裡子頭尖一面方食之益人有和圓子色微黃蒂粗其子小圓味澀微鹹能傷人氣有蔓子顆小味絕澀不堪用有土伏子味絕苦澀不堪子如大樣油麻餌之令人目澀目赤筋痛也

 

宗奭曰西洛大木瓜其味和美至熟只青白色入藥絕有功勝宣州者味淡

 

時珍曰木瓜可種可接可以枝壓其葉光而濃其實如小瓜而有鼻津潤味不木者為木瓜圓小於木瓜味木而酢澀者為木桃似木瓜而無鼻大於木桃味澀者為木李亦曰木梨即 楂及和圓子也鼻乃花脫處非臍蒂也木瓜性脆可蜜漬之為果去子蒸爛搗泥入蜜與薑作煎冬月飲尤佳木桃木李性堅可蜜煎及作糕食之木瓜燒灰散池中可以毒魚說出淮南萬畢術》。廣志木瓜枝一尺有百二十節可為杖

 

 

 

 

 

修治

 

雷斅曰凡使木瓜,,勿令犯鐵,,用銅刀削去硬皮並子,,薄切,於日中曬,,卻用黃牛乳汁拌蒸, 從巳至未其木瓜如膏煎卻於日中薄攤曬幹用也

 

 

대개 木瓜(목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鐵器(철기)를 닿게 해서는 안 된다. 銅刀(동도)硬皮(경피) ()削去(삭거)하고, 切片(절편) 曬乾(쇄건)한 다음 黃牛乳汁(황우유즙)()하여 오전 열시부터 오후 두시까지 ()하여 膏煎(고전)과 같이 되는 것을 기다려 그것을 曬用(쇄용)한다.

 

 

時珍曰今人但切片晒乾入藥爾︰《大明會典》︰宣州歲貢烏爛蟲蛀木瓜入御藥局亦取其陳久無木氣如栗子去木氣之義爾

 

지금은 단지 切片晒乾(절편쇄건)하여 ()에 넣을 뿐이다. 大明會典(대명회전)宣州(선주), 烏爛蟲蛀木瓜(오란충주목과)歲貢(세공)하고, 御藥局(어약국)에 넣는다.” 라고 하였다. 역시 陳久(진구)하고 木氣(목기)가 없어진 것을 ()하기 때문에 栗子(율자)木氣(목기)除去(제거)하는 것 같은 뜻인 것이다.

 

 

 

 

氣味

 

無毒

思邈曰

 

詵曰不可多食損齒及骨

 

多識(다식)해서는 안된다. ()()損傷(손상)한다.

 

 

 

 

主治

 

濕痺邪氣霍亂大吐下轉筋不止(《別錄》)。

 

濕痺脚氣(습비각기), 癨亂(곽란)을 크게 吐下(토하)하는 경우 轉筋(전근)이 멎지 않는 경우

 

 

治腳氣衝心取嫩者一顆去子煎服強筋骨下冷氣止嘔逆心膈痰唾消食止水利後渴不止作飲服之(《藏器》)。

 

脚氣衝心(각기충심)()하는 경우에는 嫩實(눈실) 一個(일개)()하여 去子(거자)하고 煎服(전복)하는 것이 좋다. 筋骨(근골)()하게 하고, 冷氣(냉기)()하며, 嘔逆(구역), 心胸(심흉)痰唾(담타)를 멎게 하고, 消食(소식)하며 止水(지수)한다. 利後(이후)()하고 멎지 않는 경우에는 飮服(음복)한다.

 

 

止吐瀉奔豚及水腫冷熱痢心腹痛大明)。

 

吐瀉(토사), 奔豚(분돈) 水腫(수종), 冷熱痢(냉열리), 心腹痛(심복통)을 멎게 한다.

 

 

調營衛助穀氣雷斅)。

 

榮衛(영위)調和(조화)하고, 穀氣(곡기)()한다.

 

 

去濕和胃滋脾益肺治腹脹善噫心下煩痞好古)。

 

()()하고 和胃(화위)하며, 滋脾益肺(자비익폐)하며 腹脹善噫(복창선희)하는 경우 心下(심하)煩痞(번비)()한다.

 

 

 

 

 

 

發明

 

杲曰木瓜入手足太陰血分氣脫能收氣滯能和

 

木瓜(모과)手足太陰血分(수족태음혈분)에 들어가며 氣脫(기탈)에는 곧잘 ()하고, 氣滯(기체)에는 곧잘 ()한다.

 

 

弘景曰木瓜最療轉筋如轉筋時但呼其名及書上作木瓜字皆愈此理亦不可解

俗人拄木瓜杖云利筋脛也

 

木瓜(모과)는 가장 잘 轉筋(전근)()하는 것인데 轉筋(전근)했을 경우 다만 그 이름을 부르거나 또는 ()木瓜(모과) ()를 쓰더라도 모두 ()하게 마련이지만, 그 까닭은 전혀 알수 없다. 俗間(속간)에서는 木瓜(모과)()를 만들어 짚는 것으로 筋脈(근맥)()하는 것이라 한다고 하였다.

 

宗奭曰木瓜得木之正酸能入肝故益筋與血病腰腎腳膝無力皆不可缺也人以鉛霜或胡粉塗之則失酢味且無渣蓋受金之製也

 

木瓜(모과)()()()한 것으로 ()은 곧잘 ()에 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하는 것이다. 腰腎(요신), 脚膝(각슬), 無力者(무력자)에게 모두 不可缺(불가결)한 것이다. 俗間(속간)에서는 鉛霜(연상), 혹은 胡粉(호분)()하고, 그것을 酢味(초미)를 없애고, 또한 ()를 없애는 것인데 미상불 ()()를 받는 것이다.

 

 

 

時珍曰木瓜所主霍亂吐利轉筋腳氣皆脾胃病非肝病也肝雖主筋而轉筋則由濕熱寒濕之邪襲傷脾胃所致故筋轉必起於足腓腓及宗筋皆屬陽明

 

木瓜(모과)()하는 霍乱吐利(곽란토리), 轉筋(전근), 脚氣(각기)는 모두 脾胃(비위)()으로 ()()이 아니다. ()()主管(주관)하는 것이기는 하나 轉筋(전근)의 경우에는 濕熱(습열), 寒熱(한열)()侵襲(침습)하여 脾胃(비위)損傷(손상)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다. 따라서 ()()하는 것은 반드시 足腓(족비)에서 일어나는 것이며 () 宗筋(종근)은 모두 陽明(양명)()한다.

 

 

 

木瓜治轉筋非益筋也理脾而伐肝也土病則金衰而木盛故用酸溫以收脾肺之耗散而借其走筋以平肝邪乃土中瀉木以助金也木平則土得令而金受蔭矣

 

木瓜(모과)轉筋(전근)()하는 것은 ()()하는 것이 아니고, ()()하여 ()()하는 것이다. 土病(토병)()()하고 ()()하기 때문에 (), ()을 사용하여 脾肺(비폐)耗散(모산)()하고, ()走行(주행)하여 ()()()하게 하는 作用(작용)利用(이용)하므로 土中(토중)()()하여 ()()하는 것인데 ()()하면 ()()을 얻어 ()()을 받는 것이다.

 

 

素問酸走筋筋病無多食酸孟詵云多食木瓜損齒及骨皆伐肝之明驗而木瓜入手足太陰為脾肺藥非肝藥益可征矣

 

素問(소문)<()()으로 走行(주행)한다. 筋病(근병)에는 ()多食(다식)해서는 안 된다.>라고 하였으며 孟詵(맹선)<木瓜(모과)多食(다식)하면 () ()損傷(손상)한다.>라고 하였다. 모두 ()()한다는 明驗(명험)이다. 木瓜(모과)手足太陰(수족태음)에 들어가고 脾肺(비폐)()으로 ()()이 아니라는 것은 더욱 뚜렷하다.

 

 

針經多食酸令人癃酸入於胃其氣澀以收上之兩焦出入流入胃中下去膀胱胞薄以軟得酸則縮卷約而不通故水道不利而癃澀也

 

또한 針經(침경)<()多食(다식)하면 사람을 ()하게 한다.>라고 하였는데 ()()에 들어가면 그 ()濇收(색수)하여 兩焦(양초)()出入不能(출입불능)이 되고, 胃中(위중)으로 流入(유입)하여 膀胱(방광)으로 下注(하주)한다. ()는 얇고 ()하기 때문에 得酸(득산)하면 ()하고, 券約(권약)하여 不通(불통)이 된다. 그래서 水道(수도)不利(불리)하고 癃濇(융색)하는 것이다.

 

 

 

羅天益寶鑒太保劉仲海日食蜜煎木瓜三五枚同伴數人皆病淋疾以問天益天益曰此食酸所致也但奪食則已陰之所生本在五味陰之所營傷在五味五味太過皆能傷人不獨酸也

 

羅天益(나천익)寶鑑(보감)<太保劉仲海(태보류중해)蜜煎(밀전)木瓜(모과) ()~五個(오개)를 매일 먹고 있었는데 이와 마찬가지로 하고 있던 數人(수인)이 모두 淋疾(임질)을 앓게 되어 羅天益(나천익)에게 相談(상담)을 하였다. 羅天益(나천익)이것은 ()을 먹은 데서 일어난 것이다. 다만 奪食(탈식)하면 멎는다. ()發生(발생)하는 것에는 根源(근원)五味(오미)에 있고, ()營爲(영위)하는 것이 ()하는 것도 五味(오미)에 있다. 五味(오미)를 매우 過食(과식)하면 모두 사람을 곧잘 損傷(손상)하는 것이기 때문에 唯獨(유독) ()만이 아니다.”라고 하였다.>라고 되어 있다.

 

 

又陸佃埤雅俗言梨百損一益楙百益一損投我以木瓜取其有益也

 

 

 

또한 陸田(육전)埤雅(비아)에는 <俗言(속언)()百損一益(백손일익), ()百益一損(백익일손)이라고 한다. 그래서 나에게 ()하기를 木瓜(목과)로 한다.”라고 한 것은 그 ()이 있는 것을 ()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附方

 

舊二新十

 

項強筋急不可轉側腎二臟受風也用宣州木瓜二個取蓋去瓤),沒藥二兩乳香二錢半二味入木瓜內縛定飯上蒸三四次爛研成膏每用三錢入生地黃汁半盞無灰酒二盞暖化溫服許叔微云有人患此自午後發黃昏時定予謂此必先從足起足少陰之筋自足至項筋者肝之合今日中至黃昏陽中之陰肺也自離至兌陰旺陽弱之時靈寶畢法離至乾腎氣絕而肝氣弱腎二臟受邪故發於此時予授此及都梁丸服之而愈。(《本事方》)

腳氣腫急用木瓜切片囊盛踏之廣德顧安中患腳氣筋急腿腫因附舟以足閣一袋醫錄》)

腳筋攣痛用木瓜數枚以酒水各半煮爛搗膏乘熱貼於痛處以帛裹之冷即換日三五度。(《食療本草》)

臍下絞痛木瓜三片桑葉七片大棗三枚水三升煮半升頓服即愈。(《食療》)

小兒洞痢木瓜搗汁服之。(《千金方》)

霍亂轉筋木瓜一兩酒一升煎服不飲酒者煎湯服仍煎湯浸青布裹其足。(《聖惠》)

霍亂腹痛木瓜五錢桑葉三片棗肉一枚水煎服。(《聖惠方》)

四蒸木瓜丸治肝脾三經氣虛為風寒暑濕相搏流注經絡凡遇六氣更變七情不和必至發動或腫滿或頑痺憎寒壯熱嘔吐自汗霍亂吐利用宣州大木瓜四個切蓋剜空聽用一個入黃 續斷末各半兩於內一個入蒼朮橘皮末各半兩於內一個入烏藥黃松節末各半兩於內黃松節即茯神中心木也);一個入威靈仙苦葶藶末各半兩於內

以原蓋簪定用酒浸透入甑內蒸熟三浸三蒸三晒搗末以榆皮末水和糊丸如梧桐子大每服五十丸溫酒鹽湯任下。(《御藥院方》)

腎臟虛冷氣攻腹脅脹滿疼痛用大木瓜三十枚去皮剜空以甘菊花末青鹽末各一斤填滿置籠內蒸熟搗成膏入新艾茸二斤搜和丸如梧桐子大每米飲下三十丸日二。(《聖濟總錄》)

發槁不澤木瓜浸油梳頭。(《聖惠方》)

反花痔瘡木瓜為末以鱔魚身上涎調貼之以紙護住。(《醫林集要》)

辟除壁虱以木瓜切片鋪於席下。( 神隱》)

 

 

 

 

木瓜核

 

 

主治

 

霍亂煩躁氣急每嚼七粒溫水咽之時珍聖惠》)。

 

癨亂(곽란)煩燥(번조), 氣急(기급)에는 七粒(칠립)씩을 ()하여 溫水(온수)()한다.

 

 

 

 

 

氣味

 

並酸無毒

 

主治

 

煮汁飲並止霍亂吐下轉筋療腳氣(《別錄》)。

 

煮汁(자즙)을 마신다. 모두 霍亂(곽란)吐下(토하), 轉筋(전근)을 멎게 하고, 脚氣(각기)()한다.

 

 

作杖利筋脈

 

()()으로 하면 根脈筋脈(근맥)通利(통리)한다.

 

 

煮湯淋足可以已蹷木材作桶濯足甚益人蘇頌)。

 

根葉(근엽)煮湯(자탕)()()하면 ()이 멎는 것이다. ()材料(재료)로 하여 만든 ()()()하면 매우 사람ㅇ르 ()한다.

 

 

葉煮汁飲治熱痢時珍千金》)。

 

枝葉(지엽)煮汁(자즙)을 마시면 熱痢(열리)()한다. 記載(기재)千金(천금)에 있다.

 

 

 

 

 

主治

 

面黑粉滓方見李花)。

 

面黑粉滓(면흑분재) ()李花(이화)()參照(참조)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파(枇杷)[본초강목]  (0) 2023.02.13
청상자(青葙子)[본초강목]  (0) 2023.02.13
계관화(鷄冠花)[본초강목]  (0) 2023.02.02
산사(山楂)[본초강목]  (1) 2023.01.21
사간(射幹)[본초강목]  (2) 2022.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