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5. 7. 19:54ㆍ백두산 본초 이야기/백두산 본초 도감
세향총(細香蔥)
쪽파
학명 : Allium ascalonicum L.
분류군 : Lilicaceae(백합과)
일명 : わけねぎ (Wake-negi)
영명 : shallot
파와 분구형 양파를 교잡친(交雜親)으로 하는 잡종 기원의 재배식물로, 잎을 채소로 이용한다. 중국에서는 기원전부터 재배되었고, 일본에는 약 1,500년 전에 전파된 것으로 보이는데,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기는 일본보다 앞선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과 한국, 일본 등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재배하기 쉬워 우리나라에서는 옛부터 일반 농가에서 널리 재배되어 왔다.
뿌리로 번식하기 때문에 따로 모판을 만들지 않아도 된다. 가을과 봄에 왕성하게 자라고, 봄에 인경을 형성한다. 인경은 땅 속의 짧은 줄기의 둘레에 양분을 저장하여 두꺼워진 잎이 많이 붙어서 둥근 공 모양을 이룬 것을 가리킨다. 지상부의 모양은 잎파와 비슷하지만 잎은 파보다 가늘고 부드럽다. 뿌리쪽의 흰 부분이 많고 윤기가 돌면서 부드러운 것이 우량품이다. 또 전체 길이가 짧고 굵기가 고르며 마르지 않은 것이 좋다.
영양 성분은 철분, 비타민A와 C 등이 풍부하다. 파나 마늘과 같은 독특한 향기가 살균력을 지니고 있어 건위제나 강장제, 이뇨제로도 이용된다. 또 고지혈증과 고혈압을 억제하고 각종 암과 뇌혈관계 질환 등 성인병을 예방하는 항산화 활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 조기 수확된 것은 김장용으로 쓰이고, 파의 단경기인 2~4월에 수확된 것은 파의 대용으로 쓰인다. 쪽파는 오래 끓이는 국물 요리 이외의 모든 요리에 밑양념으로 사용될 만큼 쓰임새가 많다. 쪽파를 이용한 요리로는 파전, 고춧가루와 젖국만 넣어서 만드는 파김치, 데쳐서 댕기처럼 묶어 초고추장에 찍어 먹는 파강회, 달인 간장에 담가 먹는 쪽파장아찌 등이 있다.
네이버백과
파의 일종으로서 생육적온은 15∼20℃ 이며, 저온에 강하여 0℃ 부근에서도 피해를 받지 않음. 여름의 고온과 장일기간에는 엽초 밑부분이 비대하고 인경을 형성하여 휴면에 들어감.
네이버 용어사전
Allium ascalonicum L.
Fl. Palaest. 17. 1756 [10 Mar 1756]
17 1756
Distribution:
Western Asia (Asia-Temperate)
출처:IPNI
화총(火蔥)
Allium ascalonicum L.
이명(異名)
Cepa ascalonica (L.) Garsault
Porrum ascalonicum (L.) Rchb.
Allium fissile Gray
Allium hierochuntinum Boiss.
植株高30—44厘米。鱗莖聚生,矩圓狀卵形、狹卵形或卵狀圓柱形;鱗莖外皮紅褐色、紫紅色、黃紅色至黃白色,膜質或薄革質,不破裂。葉爲中空的圓筒狀,向頂端漸尖,深綠色,常略帶白粉。栽培條件下不抽草開花,用鱗莖分株繁殖。但在野生條件下是能夠開花結實的。
^^^^^^^^^^^^^^^^^^^^^^^^^^^^^^^^^^^^^^^^^^^^^^^^^^^^^^^^^^^^^^^^^^^^^^^^
세향총(細香蔥)
【出處】 《重慶草藥》
별명(別名)
綿蔥(《本草正義》),火蔥(《重慶草藥》)。
래원(來源)
爲百合科植物細香蔥的全草或根頭部。3~4月采。
원형태(原形態)
多年生草本,簇生。根堅韌,鱗莖不明顯,外包皮膜。葉基生,線狀,中空而細,長15~60厘米。花葶自葉叢抽出;與葉等長或稍短於葉;頭狀花序頂生,花多數,粉紅至紫色;花被6,裂片長尖;雄蕊6,花絲伸出;雌蕊1,子房3室。花期6月。
생경분포(生境分布)
我國各地都有栽植。
화학성분(化學成分)
鱗莖中含揮發成分巴豆醛、2-甲基戊烯-2-醛甲基丙基二硫化物、丙烯基丙基二硫化物等;種子含有數種γ-穀氨酰肽。
성미(性味)
《重慶草藥》:"味辛,性溫,無毒。"
공능주치(功能主治)
《重慶草藥》:"通氣發汗,除寒解表,
治
풍한감모(風寒感冒)두통(頭痛)。
외부한습(外敷寒濕),홍종(紅腫),통풍(痛風),창양(瘡瘍)。"
용법용량(用法用量)
內服:煎湯。外用:搗敷。
부방(附方)
①治感冒頭痛流涕,咳嗽:細香蔥頭二兩,僵蠶一兩。泡酒備用。
②治小孩感冒風寒:細香蔥二至三根,老薑一片,五匹風(嫩尖)三至七個。煎水熱服。
③治關節炎,扭傷:細香蔥頭四兩,老薑一兩。搗爛外敷(紅腫加酒炒,夏天不炒)。
④治無名腫毒:細香蔥頭三兩。和蜂蜜共搗絨,包敷。
⑤治扭傷腫痛不消:細香蔥頭七個,面粉四兩,黃梔子三錢,土地榆二兩,小血藤二兩。混合搗絨,用酒熏七次,退火後,用黃表紙貼敷。(選方出《重慶草藥》)。
【적록】 《중약사전(中藥辭典)》
^^^^^^^^^^^^^^^^^^^^^^^^^^^^^^^^^^^^^^^^^^^^^^^^^^^^^^^^^^^^^^^^^^^^^^^^^^^
세향총(細香蔥)
Allium ascalonicum L.
별명(別名)
凍蔥、冬蔥、慈蔥、太官蔥、綿蔥、四季蔥、香蔥、分蔥、科蔥、蔥花兒、小蔥
영문명(英文名)
Chive
귀경(歸經)
肺;胃經
약화학성분(藥化學成分)
含γ-穀氨酰基-S-烷基半胱氨酸(γ-giutamyl-S-alkylcysteine),穀氨酰基-S-反-1柄烯基-半胱氨酸(γ-glutamyl-S-trans-1-propenylcysteine),胡蘿蔔素類(carotenoids),還含揮發油,油中主要成分有二甲基三硫醚(dimethyl trisulfide),甲基丙基三硫醚(methyl puopyl trisulfide),二丙基三硫醚(dipropyl trisulfide),丙基丙烯基三硫醚(propel propenyl trisulfide),1-甲基硫丙基乙基二硫醚(1-methylthiopropyl ethyldisulfide),烷基噻吩(alkyl thiophene),還含槲素(quercein),繡線菊甙(spiraeoside),槲皮素-3,4'-二葡萄糖甙(quercetin-3,4'-diglucoside),槲皮素-7,4'-二葡萄糖甙(quercetin-7,4'-diglucoside),愈向球莖中心,黃酮類含量愈少。
공효(功效)
해표(解表);통양(通陽);해독(解毒)
고증(考證)
出自《重慶草藥》
주치(主治)
감모풍한(感冒風寒);음한복통(陰寒腹痛);소변불통(小便不通);옹저종독(癰疽腫毒);질타종통(叱吒腫痛)
각가논술(各家論術)
《重慶草藥》:通氣發汗,除寒解表,治風寒感冒頭痛。外敷寒濕,紅腫,痛風,瘡瘍。
채수와저장(采收和貯藏)
四季均可采收,鮮用。
공효분류(功效分類)
해표약(解表藥)
식물형태(植物形態)
細香蔥,多年生草本,高30-40cm。鱗莖聚生,長圓狀卵形、狹卵形或卵狀圓柱形,外皮紅褐色、紫紅色、黃紅色至黃白色,膜質或薄革質,不破裂。葉爲中空的圓筒狀,向先端漸尖,深綠色,常略帶白粉。栽培條件下不抽葶開花,用鱗莖分株繁殖。但在野生條件下是能夠開花結實的。
성미(性味)
味辛;性溫
약재기원(藥材基源)
爲百合科植物細香蔥的全草。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湯,5-10g。
외용:適量,搗敷;或炒熨。
출처
《중화본초》
'백두산 본초 이야기 > 백두산 본초 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천제(上天梯) (0) | 2022.06.09 |
---|---|
영란(鈴蘭) (0) | 2022.05.16 |
두정일과주(頭頂一顆珠) (0) | 2022.05.07 |
토맥동(土麥冬) (0) | 2022.05.07 |
고수피(苦樹皮) (0) | 2022.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