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화(柳華) [본경/동의보감]

2022. 4. 1. 07:20[신농본초경]/하경(下經)

유화(柳華) [본경/동의보감]

 

 

수양버들/유백피(柳白皮)

 

 

 

수양버들

 

 

 

이명:[참수양버들]

학명: Salix babylonica L.

분류군: Salicaceae(버드나무과)

일어: シダレヤナギ

영문: Weeping Willow

 

 

 

 

 

잎은 좁은 피침형이고 긴 점첨두이며 길이 3-6cm, 5-15mm로서 예저이고 가장자리는 잔톱니가 있거나 거의 밋밋하며, 잎 양면에 털은 없다. 잎 뒷면은 녹회백색으로 진한 흰빛이 돌고 엽병으니 길이 2-6mm로 짧다.

 

열매

원추형의 삭과로서 씨방에는 털이 없으며 씨앗은 8월에 여문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4월에 잎과 같이 황록색으로 피고 웅화수(雄花穗)는 길이 2-4cm로서 화축에 털이 있으며 포는 긴 난형이고 길이 2-5mm로서 털이 있다. 수술은 두 개이며 수술대에는 털이 있다. 자방은 긴 타원형으로서 털이 없으며 암술대는 약간 길고 암술머리는 2개이며 요두(凹頭)이고 밀선은 1개이다.

 

줄기

가지가 밑으로 길게 처지며 소지가 적갈색이다.(잎의 모양과 수형이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능수버들과 비슷하여 식별하는데 혼동하는 수가 있다.)

 

원산지

중국 원산

 

분포

세계 도처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낙엽 활엽 교목.

크기

높이가 15-20m정도로 자란다.

 

생육환경

내한성이 크고 해변에서도 잘 자라며, 공해에 대한 저항성이 커서 도심지에서도 잘 적응한다. 습기가 풍부한 식질토양에서 잘 자란다.

 

내한성

강함

 

수분

습윤

 

/번식방법

번식은 5월에 종자가 성숙하는 즉시 저습지에 파종하여야 발아하며, 우수한 품종이나 개체를 증식시킬 때에는 1년생 가지로 꺾꽂이한다.

 

결실기

8

 

이용방안

버드나무는 관상용으로 쓰이고, 운치가 있어 가로수로나 뜰에 심기도 한다.

수양버들, 개수양버들의 가지, 뿌리, 靭皮(인피), , , 종자, 穴中(혈중) 부스러기 등을 약용한다.

 

 

柳枝(유지)

 

수양버들의 가지로 연중 수시로 채취한다.

 

성분 : 木部(목부)salicin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祛風(거풍), 消腫(소종), 이뇨,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즘에 의한 痺痛(비통), 淋病(임병), 白濁(백탁), 小便不通(소변불통), 전염성간염, 風腫(풍종), 정창, 丹毒(단독), 충치, 齒莖腫(치경종)을 치료한다.

 

 

 

柳根(유근)

 

뿌리와 수염뿌리로 연중 수시로 채취한다.

 

약효 : 利水(이수), 通淋(통림), 祛風(거풍), 除濕(제습)의 효능이 있다. 淋病(임병), 白濁(백탁), 황달, 류머티성 疼痛(동통), 黃水濕瘡(황수습창-顔面水皰疹(안면수포진)), 齒痛(치통), 화상을 치료한다.

 

 

柳白皮(유백피)

 

樹枝(수지) 또는 뿌리의 靭皮(인피)로서, 연중 수시로 채취하며, 인피만 사용한다.

 

성분 : Salicin tannin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祛風(거풍), 利濕(이습), 消腫(소종),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즘에 의한 深部痛(심부통), 風腫(풍종)瘙癢(소양), 황달, 淋濁(임탁), 乳癰(유옹-급성유선염), 齒痛(치통), 화상을 치료한다.

 

 

柳葉(유엽)

 

, 여름에 채취한다.

 

성분 : 4.93%tannin(건조된 것의 중량)이 함유되어 있다. 신선한 유엽에는 1kg沃素(옥소) 10mg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것은 보통 음식물의 수천배에 해당한다.

 

약효 : 淸熱(청열), 透疹(투진), 이뇨, 해독의 효능이 있다. 홍역에 發斑(발반)이 잘 안되는 것, 白濁(백탁), 정창癰腫(옹종), 유선염, 甲狀腺腫(갑상선종), 丹毒(단독), 心腹內血(심복내혈-內臟出血(내장출혈)), 화상, 치통을 치료한다.

 

 

柳花(유화)

 

약효 : 祛風(거풍), 利濕(이습), 지혈, 散瘀(산어)의 효능이 있다. 風水(풍수), 황달, 咳血(해혈), 혈변, 血淋(혈림), 부녀의 無月經(무월경), 齒痛(치통)을 치료한다.

 

 

柳絮(유서)

 

약효 : 止血(지혈), 祛濕(거습), 潰癰(궤옹)의 효능이 있다. 토혈, 濕痺四肢攣急(습비사지연급), 膝痛(슬통), 癰疽膿成脹痛不潰(옹저농성창통불궤), 創傷出血(창상출혈)을 치료한다.

 

 

柳屑(유설)

 

수양버들이 蟲害(충해)를 입은 穴中(혈중)에 있는 부스러기이다.

 

약효 : 風搔腫癢(풍소종양), 은진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

 

 

 

유사종

 

매자잎버들(S. berberifolia Pallas): 잎은 원형, 타원형, 뒷면은 녹색, 길이 4-15, 4-12이다.

왕버들(S. chaenomeloides Kimura): 잎이 나올 때 붉은빛을 띠며, 잎은 타원형, 뒷면은 흰색이다.

떡버들(S. hallasanensis Leveille): 잎은 원형,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3-14, 2-7,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버들(S. stipularis Smith): 잎은 좁은 피침형, 길이 5-20, 10,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뒤로 말리며, 뒷면은 융모가 밀생, 은백색이다.

여우버들(S. floderusii Nak.): 잎은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며, 뒷면은 흰색이다.

유가래나무(S. floderusii Nak.var. glabra Nak.): 여우버들에 비해 어린 가지와 잎에 털이 없다.

백산버들 (var. fuscescens Nak.): 잎 뒷면에 갈색 미모가 있고 잎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평남 소백산에서 자란다.

 

특징

속성수로서 아름다운 모습의 나무를 단기간에 만들 수 있고 늘어지는 가지가 아름다운 반면, 5월에는 성숙한 종자가 솜털과 함께 날아다니면서 피해를 준다.

 

 

학명 Salix babylonica L.

Sp. pl. 1017 (1753)

국명 수양버들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참수양버들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영문명 : Weeping Willow

일본명 : シダレヤナギ

 

 

 

Salix babylonica L.

Sp. Pl. 2: 1017. 1753 [1 May 1753]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수류(垂柳)

 

Salix babylonica Linn.

 

 

이명(異名)

 

Salix babylonica var. szechuanica Goerz

Salix chinensis Burm. f.

Salix babylonica f. villosa C. F. Fang

Salix cantoniensis Hance

 

落葉喬木小枝細長下垂無毛有光澤褐色或帶紫色葉矩圓形狹披針形或條狀披針形9-16厘米5-15毫米先端漸尖或長漸尖基部楔形有時歪斜邊緣有細鋸齒兩面無毛下面帶白色側脈15-30葉柄長6-12毫米有短柔毛花序軸有短柔毛雄花序長1.5-2厘米苞片橢圓形外面無毛邊緣有睫毛雄蕊2離生基部有長柔毛2腺體雌花序長達5厘米苞片狹橢圓形腹面有1腺體子房無毛柱頭2蒴果長3-4毫米帶黃褐色分布在全國各地區常栽培樹皮可提取栲膠枝皮纖維可造紙枝和須根祛風除濕治筋骨痛及牙齦腫痛果能治惡瘡等症

 

 

 

 

^^^^^^^^^^^^^^^^^^^^^^^^^^^^^^^^^^^^^^^^^^^^^^^^^^^^^^^^^^^^^^^^^^^^^

 

柳華

 

味苦寒

 

主風水黃疸面熱黑一名柳絮葉主馬疥痂創實主潰癰逐膿血子汁療渴生川澤

 

名醫生琅邪

說文小楊也河柳也楊木也。《爾雅河柳郭璞雲今河旁赤莖小楊又旄澤柳郭璞雲生澤中者又楊蒲柳郭璞雲可以為箭左傳所謂董澤之蒲。《毛詩無折我樹杞。《杞木名也陸璣雲柳屬也

 

 

[本經/下經]

 

^^^^^^^^^^^^^^^^^^^^^^^^^^^^^^^^^^^^^^^^^^^^^^^^^^^^^^^^^^^^^^^^^^^^^^^^

 

 

柳花

 

유화(柳華)

 

 

버들가야지性寒味苦無毒

 

()은 한()하고 미()는 고()하며 무독(無毒)하다.

 

 

 

主風水黃疸面熱黑痂疥惡瘡金瘡止血治濕痺

 

풍수황달(風水黃疸), 면열흑(面熱黑). 가개(痂疥), 악창(惡瘡), 지혈(止血)에 주효(主效)하고, 습비(濕痺)를 치()한다.

 


柳花卽初發時黃蘂也及其花乾絮方出謂之柳絮收之貼灸瘡及爲漨褥子乃飛絮絮之下連小黑子因風而起其子極細入池塘化爲浮萍本草

 

 

유화(柳花)는 처음 필 때의 황예(黃蕊)이다. 그 꽃이 말라야 솜 같은 것이 나오는데 이것을 유서(柳絮)라고 한다. 이것을 모아 뜸자리 헌데에도 바르고 포단도 만든다. 이것은 날아다니는 솜인데 그 속에 잘고 검은 씨가 달려 있다. 바람에 날려 다닌다. 그 씨는 아주 잔데 못에 떨어지면 부평(浮萍)이 된다[본초].

 


楊與柳不相似楊葉圓闊而赤枝條短硬柳葉狹長靑綠枝條長軟本草

 

()과 유()는 다르다. ()은 잎이 둥글고 넓으며 붉고 가지가 짧고 단단하다. ()는 잎이 좁고 길며 연한 풀빛이고 가지가 길며 부드럽다[본초].

 

 

 

@

 

유지(柳枝)

 

主齒痛風熱腫癢可作浴湯膏藥牙齒病爲最要之藥本草

 

치통(齒痛), 풍열(風熱)로 종양(腫癢)할 때에는 욕탕(浴湯), 고약(苦藥)을 만들어 쓴다. 아치병(牙齒病)에 최요약(最要藥)이다.[본초].

 

 

 

@木中盤屑

 

목중충설(木中蟲屑)

 

 

主風瘙癢溫疹本草

 

풍소양(風瘙癢), 습진(濕疹)에 주효(主效)하다.[본초].

 

 

 

@

 

유엽(柳葉)

 

 

主丁瘡湯火瘡毒入腹熱悶治傳屍骨蒸勞下水氣

 

정창(丁瘡), 탕화창(湯火瘡)으로 독()이 복내(腹內)에 들어가서 열민(熱悶)하는 것에 주효(主效)하다. 전시(傳屍), 골증로(骨蒸勞)를 치()하며, 수기(水氣)를 하()한다.

 

 

煎膏續筋骨長肉止牙痛本草

 

전고(煎膏)하면 근골(筋骨)을 잇고 골장육(骨長肉)하고 아통(牙痛)을 멎게 한다[본초].

 

 

 

 

[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