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3. 12. 03:08ㆍ백두산 본초 이야기/백두산 본초 도감
남방로주초(南方露珠草)
털이슬/남방로주초(南方露珠草)
털이슬
이명:[말털이슬]
학명:Circaea mollis Slebold & Zucc.
분류군:Onagraceae(바늘꽃과)
일명:ミズタマソウ(Mizutama-so)
영명:South Circaea
잎
잎은 대생하고 마디사이의 밑부분이 다소 굵으며 홍자색이 돌고 넓은 피침형이며 밑부분이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5-10cm, 폭 2-3cm로서 끝이 뾰족하며 가는 털이 퍼져 나고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4cm로서 잔털이 있다.
열매
열매는 넓은 도란형이며 4개의 홈이 있고 지름 3-4mm로서 끝이 굽은 털이 밀생하며 열매와 길이가 비슷하거나 1.5배 정도의 긴 대가 있다.
꽃
꽃은 8월에 피며 총상화서는 줄기끝이나 엽액에 달리고, 화서는 꽃이 핀 다음 자라서 길이가 15cm정도로 되고 털이 없거나 전털이 있으며 꽃받침잎은 2개로서 녹색이고 꽃잎도 2개로서 백색이며 끝이 2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2개이며 자방은 하위이다.
줄기
높이 40-60cm이고 전체에 밑을 향한 부드러운 털이 있다.
뿌리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는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 각처.
형태
다년초
크기
높이 40-60cm
생육 환경
산의 숲 속에 난다. 어느 정도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꽃/번식방법
뿌리줄기가 뻗으면서 번식한다.
이용방안
▶쇠털이슬, 이슬의 全草(전초)를 牛瀧草(우롱초)라 하며 약용한다.
①7-8월 개화기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생것으로 쓴다.
②약효 : 淸熱(청열), 해독, 生肌(생기)의 효능이 있다. 疥瘡(개창), 膿皰(농포), 外傷(외상)에 짓찧어 붙이거나 粉末(분말)하여 살포하거나 개어서 塗布(도포)한다.
유사종
▶쥐털이슬: 높이 6-15cm, 전체에 털이 없고, 가느다란 흰색 땅속줄기로 뻗는다. 잎은 대생, 심장상 넓은 난형, 꽃은 붉은 빛이 도는 총상화서, 꽃잎은 2장이다.
▶쇠털이슬: 높이 40-50cm, 가지는 없고, 전체에 긴 털과 짧은 털이 있다. 꽃은 흰색, 원줄기 끝에 총상화서로 달린다.
▶말털이슬: 높이 30-40cm. 잎은 대생, 좁은 난형, 난상 긴 타원형, 꽃은 홍백색, 줄기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총상화서로 달린다.
특징
쇠털이슬과 비슷하나 전체에 털이 적고, 잎은 좁은 난형
학명 Circaea mollis Slebold & Zucc.
Abh. Math.-Phys. Cl. Konigl. Bayer. Akad. Wiss. 4(2) : 134 (1845)
1. Circaea coreana Lev.
Repert. Spec. Nov. Regni Veg. 4 : 226 (H.Lev., 1907)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2. Circaea coreana var. sinensis H.Lev.
Repert. Spec. Nov. Regni Veg. 7 : 340 (1909)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3. Circaea lutetiana var. tagueti H.Lev.
Repert. Spec. Nov. Regni Veg. 7 : 340 (190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Circaea quadrisulcata Franch. & Sav.
Enum. Pl. Jap. 1 : 169 (Franch. & Sav., 187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문헌정보
기재문
문헌명 : Abh. Math.-Phys. Cl. Konigl. Bayer. Akad. Wiss. 4(2) : 134
국명 털이슬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말털이슬
1) 식물원색도감 과학백과사전 (김현삼, 리수진, 박형선, 김매근, 1988)
북한명 말털이슬
외국명 영문명
South Circaea
일본명
ミズタマソウ
Circaea mollis Siebold & Zucc.
Abh. Math.-Phys. Cl. Königl. Bayer. Akad. Wiss. 4: 134. 1845
4: 134 1845
Distribution:
Japan (Eastern Asia, Asia-Temperate)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남방로주초(南方露珠草)
Circaea mollis Sieb. et Zucc.
이명(異名)
Circaea coreana H. Lév.
Circaea coreana var. sinensis H. Lév.
Circaea lutetiana var. taquetii H. Lév.
多年生草本,高30-60厘米;莖密被曲柔毛。葉對生,狹卵形至橢圓狀披針形,長5-11厘米,寬2-4厘米,被短柔毛,邊緣有疏鋸齒,具長約1-2厘米的柄。總狀花序頂生與腋生,花序軸被曲柔毛或近無毛;苞片小;花兩性;萼筒卵形,裂片2,綠白色,長約1.5-2毫米;花瓣2,倒卵形,長約爲花萼裂片的一半,頂端凹缺,雄蕊2;子房下位,2室。果實堅果狀,倒卵狀球形,長3-3.5毫米,直徑約3毫米,具4縱溝,外被鉤狀毛;果柄被短柔毛或近無毛,稍長於果實或近等長。 分布於浙江、江西、福建、廣東、廣西、雲南、貴州、四川、湖北與湖南;朝鮮,日本也有。生於林下。
^^^^^^^^^^^^^^^^^^^^^^^^^^^^^^^^^^^^^^^^^^^^^^^^^^^^^^^^^^^^^^^^^^^^^^^^
남방로주초(南方露珠草)
Circaea mollis sieb et Zucc[C. coreana Levl.]
별명(別名)
拐子菜、辣椒七、白辣蓼草、假蛇床子、白洋漆藥、野牛夕、紅節草
漢語拼音
nan fang lu zhu cao
영문명(英文名)
all-grass of South Circaea
공효(功效)
거풍제습(祛風除濕);활혈소종(活血消腫);청열해독(淸熱解毒)
고증(考證)
始載於《中國高等植物圖鑒》。
과속분류(科屬分類)
柳葉菜科
拉丁文名
Herba Circaeae mollis
주치(主治)
풍습비통(風濕痹痛);질타어종(叱吒瘀腫);유옹(乳癰);라력(瘰鬁);창종(瘡腫);무명종독(無名腫毒);독사교상(毒蛇咬傷)
생태배경(生態環境)
生於海拔1000-2400m的山坡林下陰濕處。
각가론술(各家論術)
《新華本草綱要》:全草:有祛風濕,止痛功能。外敷無名腫毒。
채수화저장(采收和貯藏)
夏、秋季采收全草,鮮用或暗無天日幹。秋季挖根,除去地上部分,洗淨泥土,鮮用或曬幹。
식물형태(植物形態)
多年生草本,高40-60cm。莖密被彎曲短柔毛。葉對生;葉柄長1-2cm,具短彎曲柔毛;葉片狹卵形至橢圓狀披針形,長4-12cm,寬2-4.5cm,被疏短曲柔毛,先端漸尖,基部楔形,稀爲圓形,邊緣有疏鋸齒,被短彎曲柔毛。總狀藥序頂生或腋生,花序軸被彎曲柔毛或近無毛;苞片小;藥兩性;萼筒卵形,先端裂片2;花瓣2,倒卵形,長約花萼裂片的一半,先端凹缺;雄蕊2;子房下位,2室。果實堅果狀,倒卵狀球形,長3-3.5mm,直徑約3mm,具4縱溝,外被鉤狀毛;果柄被短柔毛或近無毛,稍長於果實或近等長。花期7-9月,果期9-11月。
공효분류(功效分類)
거풍습약(祛風濕藥)
성미(性味)
味辛;苦;性平
약재기원(藥材基源)
爲柳葉菜科植物南方露珠草的全草或根。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湯,3-9g;或絞汁。
외용:適量,搗敷。
출처
《중화본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