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대엽초(小對葉草)

2022. 1. 10. 03:50백두산 본초 이야기/백두산 본초 도감

소대엽초(小對葉草)

 

 

고추나물/소대엽초(小對葉草)

 

 

 

 

고추나물

 

학명:Hypericum erectum Thunb.

분류군:Guttiferae(물레나물과)

일명:オトギリソウ(Otogiri-so)

영명:Erect St. Johnswort

 

잎은 대생하며 서로 접근하여 원줄기를 얼싸안고 끝이 둔하며 피침형이고 길이 2~6cm, 7-30mm로서 흑색 점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열매

삭과는 길이 5-11mm로서 난형이고 작은 종자가 많이 들어 있으며 종자의 겉에 잔 그물맥이 있으며 길이 1mm 정도이다. 삭과는 가을철에 익어서 터진다.

 

꽃은 7-8월에 피고 당일 쓰러지며 지름 15-20mm로서 황색이고 가지 끝에 많이 달리며 전체가 원추형 비슷한 화서로 된다. 꽃받침잎은 녹색이고 꽃잎과 더불어 각각 5개이며 꽃잎은 길이 8-10mm이고 수술은 많으며 3개로 갈라지고 암술대는 길이 3.5-4mm이며 포엽은 잎모양이지만 작다.

 

줄기

높이 20-60cm이고 원줄기는 둥글며 곧게 서고 녹색이며 가지가 갈라진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및 기타 온대에서 난대에 걸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자생한다.

 

형태

다년초.

크기

높이 20~60cm.

 

 

 

 

생육 환경

약간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번식방법

종자 번식한다.

 

이용방안

 

어린 순은 식용

全草(전초)小連翹(소련교)라 하며 약용한다.

6-8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 전초에는 tannin이 함유되어 있다. 이 외에 hypericin이 함유되어 있어서 빛에 대하여 민감한 작용을 한다. 동물이 이를 먹으면 피부염을 일으킬 염려가 있다.

 

약효 : 活血(활혈), 지혈, 調經(조경), 通乳(통유), 消腫(소종),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토혈, 鼻出血(비출혈), 자궁출혈, 월경불순, 乳汁不通(유즙불통), 癤腫(절종-작은 부스럼),

박상, 創傷出血(창상출혈)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15-30g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유사종

물레나물(H. ascyron),

히페리쿨(H. perforatum),

애기고추나물(H. japonicum)

 

 

학명 Hypericum erectum Thunb.

Fl. jap. 296 (1784)

1. Hypericum dielsii Lev. & Vaniot ex H.Lev.

Bull. Soc. Bot. France 53: 499 (1906)

2. Hypericum erectum for. debile R.Keller

Bull. Herb. Bioss. 5: 640 (1897)

3. Hypericum erectum var. erectum for. angustifolium (Y.Kimura) Y.Kimura

Nova Fl. jap. 10: 150 (Honda, 1951)

4. Hypericum erectum var. wichurae R.Keller

I. C. (1987)

5. Hypericum matsumurae Lev.

I.c. 501 (1906)

6. Hypericum otaruense R.Keller

I.c. (1897)

국명 고추나물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영문명 : Erect St. Johnswort

일본명 : オトギリソウ

북한명 : 고추나물

 

 

Hypericum erectum Thunb.

Fl. Jap. (Thunberg) 296. 1784 [Aug 1784]

296 1784

Original Data:

Notes: Japon

 

Hypericum erectum Thunb.

Syst. Veg., ed. 14 (J. A. Murray). 702. 1784 [May-Jun 1784]

702 1784

Distribution:

Japan (Japan, Eastern Asia, Asia-Temperate)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소련교(小连翘)

Hypericum erectum Thunb. ex Murray

 

 

이명(异名)

 

Hypericum erectum f. angustifolium (Y. Kimura) Y. Kimura

Hypericum erectum var. angustifolium Y. Kimura

Hypericum taisanense Hayata

Hypericum erectum subsp. longisepalum L. H. Wu et D. P. Yang

Hypericum aemulans Koidz.

Hypericum erectum subsp. vaniotii H. Lév.

Hypericum sachalinense H. Lév.

Hypericum vaniotii H. Lév.

 

 

 

多年生草本全株无毛30-60厘米茎绿色圆柱形2条隆起线叶对生无柄半抱茎长椭圆形倒卵形或卵状长椭圆形1.5-4.5厘米0.5-2.2厘米花顶生或腋生聚伞花序萼片卵形花瓣深黄色有黑色点线雄蕊多数成三束花柱3分离蒴果卵形长约7毫米花果期6-9

 

分布于四川贵州江西湖南湖北安徽朝鲜苏联西伯利亚地区及日本也有生于山坡路旁全草入药有收敛止血镇痛之效

 

 

^^^^^^^^^^^^^^^^^^^^^^^^^^^^^^^^^^^^^^^^^^^^^^^^^^^^^^^^^^^^^^^^^^^^^^^^^^^^^^^^^^^^^^

소대엽초(小對葉草)

 

別名(별명)

小连翘对月草

 

來源(래원)

金丝桃科金丝桃属植物小连翘Hypericum erectum Thunb.以全草入药

 

秋季采集晒干入药

 

性味(성미)歸經(귀경)

 

功能(공능)

 

調經止血(조경지혈)解毒消腫(해독소종)

 

主治(주치)

 

月經不調(월경불조)消化道出血(소화도출혈)吐血(토혈)衄血(뉵혈)

 

外用治

外傷出血(외상출혈)疔瘡腫毒(정창종독)毒蛇咬傷(독사교상)

 

用法用量(용법용량)

36

 

摘录】《全国中草药汇编

 

^^^^^^^^^^^^^^^^^^^^^^^^^^^^^^^^^^^^^^^^^^^^^^^^^^^^^^^^^^^^^^^^^^^^^^^^^

 

 

소련교(小连翘)

 

 

出处】《纲目

 

 

 

별명(別名)

 

小翘(《唐本草》),七层兰瑞香草(《质问本草》),奶浆草(《峨嵋药植》),大田基小瞿麦(《南宁市药物志》),排草排香草(《江西民间草药》),小对叶草(《四川中药志》),小对月草(《重庆草药》)、小元宝草(《浙江民间常用草药》)。

 

래원(來源)

为蘑黄科植物小连翘的全草68月采收

 

식물형태(植物形态)

 

多年生草本高达3060厘米光滑无毛茎圆柱形叶对生无柄狭长椭圆形倒卵形或卵状椭圆形520毫米28毫米先端钝全缘基部钝形半抱茎上面散布黑色油点聚伞花序顶生或腋生萼片5绿色卵形锐尖头4毫米有黑点散布花瓣5椭圆形810毫米与萼片互生浓黄色有黑色点线稍旋扭雄蕊多数3黄色花药小顶端有1黑点子房3黄色花柱3柱头乳头状蒴果卵形3室间歼裂长约7毫米.种子细小具细网纹花期8果期10

 

 

 

 

성미(性味)

 

①《南宁市药物志》:"无毒"

 

②《四川中药志》:"性平味苦无毒"

 

 

 

공능(功能)주치(主治)

 

활혈(活血)지혈(止血)조경(兆京)통유(通乳)소종(消腫)지통(止痛)

 

토혈(吐血)뉵혈(衄血)자궁출혈(子宫出血)월경불조(月經不調)유즙불통(乳汁不通)절종(疖肿)질타손상(跌打損傷)창상출혈(創傷出血)

 

①《峨嵋药植》:"叶及花枝煮肉服产妇有发奶之效"

 

②《现代实用中药》:"止血治吐血咯血衄血子宫出血等又用于刀伤创伤作洗涤料兼为咽喉之含漱剂风湿性疾患之湿布剂生草打汁外用于创伤跌打损伤等"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汤0.51

외용捣敷

 

 

부방(附方)

 

治咯血鼻出血便血小连翘一至二两水煎服或加龙芽草一两鳢肠一两水煎服。(《浙江民间常用草药》)

 

治月经不调小连翘月月红益母草水煎服。(《四川中药志》)

 

通乳汁小连翘山甲珠水煎服。(《四川中药志》)

 

治疖肿小连翘五钱至一两水煎服另取鲜全草捣烂外敷。(《浙江民间常用草药》)

 

治跌打扭伤痛小连翘全草四钱水各半煎服。(《江西民间草药》)

 

治外伤出血小连翘鲜叶捣烂外敷。(《浙江民间常用草药》)

 

적록】《중약대사전

 

 

'백두산 본초 이야기 > 백두산 본초 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제초(驢蹄草)  (0) 2022.01.29
흑대구(黑大艽)  (0) 2022.01.10
홍한련(紅旱蓮)  (0) 2022.01.10
전기황(田基黃)  (0) 2022.01.10
자오가(刺五加)[약전]  (0) 2022.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