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3. 13. 03:17ㆍ[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와거(萵苣)[동의보감]
상추 /와거(莴苣)
상추
이명 : [상치] [생치] [부루] [생추]
학명 : Lactuca sativa L.
분류군 : Compositae(국화과)
일명 : チシャ·チサ(Chishiya. Chisa)
영명 : Garden Lecttuce
잎
근생엽은 타원형으로서 크지만 경생엽은 점차 작아지며 윗부분의 것은 밑부분이 화살 밑처럼 되어 원줄기를 감싸고 양면에 주름이 많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열매
수과는 끝에 긴 부리가 있고 능선이 있으며 그 끝에 백색 관모가 낙하산처럼 퍼져 있다.
꽃
꽃은 6-7월에 피고 황색이며 두화는 가지에 총상으로 달리고 밑부분에 많은 포엽이 달려서 전체가 큰 산방상으로 된다. 총포는 원통형이며 포편은 복와상으로 달리고 밖에서 안으로 갈수록 점차 길어지며 털이 없다.
줄기
높이가 1m에 달하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전체에 털이 없다.
원산지
유럽 원산.
분포
채소로 널리 재배하고 있다.
형태
이년초.
크기
높이가 1m에 달한다.
이용방안
▶莖葉(경엽)은 (와거), 종자는 (와거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와거(萵苣)
①봄에 새 줄기가 비대해질 무렵에 채취한다.
②성분 : 상추는 quercetin-3-β-d-glucuronide, quercetin-3-β-d-glucoside, luteolin-7-β-d-glucuronide, quercetin-3-o-malonyl-β-d-glucoside를 함유한다.
③약효 : 小便不利(소변불리), 尿血(요혈), 乳汁不通(유즙불통) 등을 치료하고 利五臟(이오장), 經脈疏通(경맥소통)의 효능이 있다. 筋骨(근골)을 補(보)한다.
④용법/용량 :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으깨서 바른다.
⑵(와거자)
①가을에 과실이 익었을 무렵 지상부분을 햇볕에 말리고 종자를 두드려 떨어내고 체를 쳐서 건조시켜서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저장한다.
②약효 : 乳汁(유즙)을 내리게 하고 소변을 疏通(소통)게 하며 淫縱(음종), 痔漏(치루), 下血(하혈), 損傷(손상)으로 인한 痛症(통증)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죽으로 끓이던가 달이던가 혹은 곱게 갈아서 술로 調服(조복)한다. <외용> 분말을 만들어 塗布(도포)한다.
특징
많은 품종이 있고 잎을 식용으로 하며 화경(花莖)의 잎은 쓴맛이 강하다.
학명 Lactuca sativa L.
Sp. pl.: 759 (1753)
문헌정보
기재문
국명 상추
1. 부루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상치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생추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4. 생치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북한명 상치
외국명 영문명
Garden Lecttuce
일본명
チシャ·チサ
Lactuca sativa L.
Sp. Pl. 2: 795. 1753 [1 May 1753]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와거(莴苣)
Lactuca sativa Linn.
이명(异名)
Lactuca scariola var. sativa Moris
Lactuca palmata Willd.
Lactuca crispa (L.) Roth
Lactuca sativa subsp. secalina
Lactuca sativa subsp. asparagina
Lactuca sativa subsp. capitata (L.) Schübl. & G.Martens
Lactuca sativa subsp. crispa (L.) Schübl. & G.Martens
Lactuca sativa subsp. longifolia
Lactuca sativa subsp. romana Schübl. & G.Martens
Lactuca sativa var. crispa Hort.
^^^^^^^^^^^^^^^^^^^^^^^^^^^^^^^^^^^^^^^^^^^^^^^^^^^^^^^^^^^^^^^^^^^^^
毟呮
와거(萵苣)
부루性冷(一云寒)味苦微毒
성(性)은 냉(冷)하고<일운(一云) 한(寒)> 미(味)느 고(苦)하며 미독(微毒)이 있다.
主補筋骨利五藏開胸膈壅氣通經怴今人齒白聰明少睡療蛇咬
근골(筋骨)을 보(補)하고, 오장(五臟)을 이(利)하고 흉격(胸膈)의 옹기(壅氣)를 개(開)하며, 경맥(經脈)을 통(通)하게 하는데 주효(主效)하다. 치아(齒牙)를 하얗게 하며, 총명(聰明), 소수(少睡)하며, 사교(蛇咬)를 치료(治療)한다.
今人菜中常食者患冷人食則腹冷然不至苦損人《入門》
요즘 보통 먹는 채소를 말하는데 냉환자(冷患者)가 먹으면 복냉(腹冷)을 일으키나, 역시 사람을 고통(苦痛)스럽게 하거나 손상(損傷)을 줄 정도는 아니다.[입문].
@毟呮子
와거자(萵苣子)
主打落折傷
타락절상(打落折傷)에 주효(主效)하다.
取子微炒爲末酒服二三錢能接續筋骨名接骨散《回春》
와거자(萵苣子)를 미초(微炒)하고 연말(硏末)하여 이(二)~삼전(三錢)을 주복(主服)하면 근골(筋骨)이 접속(接續)된다. 접골산(接骨散)이라 명칭(名稱)한다.[회춘].
[동의보감(東醫寶鑑)]
'[동의보감] > 탕액편(湯液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릉향(零陵香)[동의보감] (0) | 2021.03.28 |
---|---|
백거(白苣)[동의보감] (0) | 2021.03.13 |
서곡초(鼠曲草)[동의보감] (0) | 2021.02.25 |
고거(苦苣)[동의보감] (0) | 2021.02.11 |
묵한련(墨旱蓮)[동의보감] (0) | 2021.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