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양매(地楊梅)

2020. 11. 27. 18:57백두산 본초 이야기/백두산 본초 도감

지양매(地楊梅)

 

산꿩의밥/지양매(地楊梅)

 

 

 

 

산꿩의밥

 

이명 : [산꿩의밥풀]

학명 : Luzula multiflora Lej.

분류군 : Juncaceae(골풀과)

일명 : ヤマスズメノヒエ(Yama-suzumeno-hie)

영명 : Flowery Woodrush

 

근생엽은 길이 6-15, 나비 2-5mm로서 가장자리에 긴 백색 털이 있고 끝이 굳다.

 

열매

열매는 짙은 갈색이고 길이 2.5-3mm로서 화피보다 길며 종자는 길이1.3mm로서 넓은 타원형이고 종침은 짧으며 뚜렷하지 안다.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꽃은 5월에 피며 화경(花莖)은 높이 20-40cm로서 화서 밑에 긴 포가 있고 작은 두상화서는 5-10개이며 지름 6mm로서 15개 정도의 꽃이 들어있다. 화피열편은 6개이고 넓은 피침형으로 적갈색이며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6개이고 꽃밥은 수술대보다 길거나 같다

 

줄기

총생하고 전체에 털이 많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다년초

크기

화경(花莖)은 높이 20-40cm이다.

 

 

 

 

생육 환경

산록에서 자란다.

 

이용방안

 

全草 또는 과실을 地楊梅(지양매)라 하며 약용한다.

5-6월에 채취한다.

성분 : 本 屬의 여러 식물에는 luteolin-7-glucoside가 함유되어 있다. 灰分 중에는 규소, , mangan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다. 종자의 지방유 중에는 linoltks28-48%, linolen0-0.6% 함유되어 있다.

약효 : 赤痢, 白痢를 치료하며 3-9g을 달여서 복용한다. , 종자를 달여 복용한다.

특징

꿩의밥과 비슷하지만 1개의 큰 두상화서 대신 여러개의 작은 두상화서가 달린다.

 

 

 

 

학명 Luzula multiflora Lej.

Fl. Spa. 1: 169

 

 

1. Juncus intermedius Thuill.

Fl. Par. ed. 2: 178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2. Juncus multiflorus Retz.

Prodr. Fl. Scand. ed. 2: 82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3. Luzula campestris var. multiflora Celak.

Prodr. Fl. Bohmen 85 (186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Luzula intermedia (Thuill.) Spenn.

Fl. Friburg. 1: 177; Schult. f. Syst. 7:. 261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국명 산꿩의밥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초본류) (정태현, 1965)

4)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6) 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1997, 1998, 2000, 2001)

1. 산꿩의밥풀

북한명 산꿩의밥(산꿩밥)

외국명 영문명

Flowery Woodrush

일본명

ヤマスズメノヒエ

 

Luzula multiflora Lej.

Fl. Spa i. 169.

i. 169 0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다화지양매(多花地杨梅)

 

Luzula multiflora (Retz.) Lej.

 

 

이명(异名)

 

Luzula multiflora subsp. occidentalis V. I. Krecz.

Juncus campestris var. multiflorus Ehrh.

Luzula campestris var. multiflora (Ehrh.) Celak.

Gymnodes multiflora (Ehrh.) Fourr.

Juncoides multiflora (Ehrh.) Druce

Luzula campestris subsp. carpetana Rivas Mart.

Luzula intermedia var. multiflora (Ehrh.) Spenn.

Juncoides campestris var. multiflora (Ehrh.) E.Sheld.

Luzula multiflora var. intermedia Koidz.

Luzula multiflora var. tenuis Satake

 

 

多年生草本密簇生15-50厘米叶条形边缘有白色长柔毛5-10厘米宽约4毫米花序常由5-12个小头状花序集成聚伞状小头状花序梗长短不等多花苞片披针形3毫米先出叶宽卵形边缘有小齿和稀缘毛花被片6披针形黑褐色或黄褐色边缘稍淡2.5-3毫米雄蕊6花药约长于花丝2柱头3刷状而旋卷蒴果近卵状长近等于花被片3枚种子种子的种阜淡黄色长约为种子的1/2-1/3

 

南北普遍分布亚洲其它地区欧洲北美也有常生于草丛中

 

&&&&&&&&&&&&&&&&&&&&&&&&&&&&&&&

 

꿩의밥/지양매(地杨梅)

 

꿩의밥

 

이명 : [꿩의밥풀] [꿩밥]

학명 : Luzula capitata (Miq.) Miq.

분류군 : Juncaceae(골풀과)

일명 : スズメノヤリ(Suzumeno-yari)

 

근생엽은 길이 7~15cm, 2~6mm로서 선형이고 가장자리에 긴 흰털이 있으며 끝이 굳다. 줄기에서 2~4개의 잎이 호생하나, 대부분의 잎은 뿌리에서 난다.

 

열매

삭과는 길이 2.5mm정도로서 모난 난형이며 종자는 둥글거나 넓은 난형이고 길이 1.2mm정도로서 흑갈색으로 익는다. 종침은 종자 길이의 1/2정도이다.

 

꽃은 4~5월에 화경9花莖) 끝에 모여 달려 두상화서를 이루고 화경은 길이 10-30cm로서 2-3개의 잎이 달린다. 가장 밑부분의 포는 화서보다 길며 화피열편은 6개이고 적갈색 또는 흑갈색이며 길이 2.5-3mm로서 가장자리가 백색이고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6개이고 화피 길이의 2/3정도이며 꽃밥은 긴 타원형이고 수술대는 매우 짧으며 꽃밥은 노란색이다.

 

줄기

총생한다.

 

뿌리

덩어리같은 지하경이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화경花莖은 높이 10~30cm이다.

 

 

 

 

생육 환경

각처의 산록이나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흔하게 자란다.

이용방안

全草 또는 과실을 地楊梅(지양매)라 하며 약용한다.

5-6월에 채취한다.

성분 : 本 屬의 여러 식물에는 luteolin-7-glucoside가 함유되어 있다. 灰分 중에는 규소, , mangan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다. 종자의 지방유 중에는 linoltks28-48%, linolen0-0.6% 함유되어 있다.

약효 : 赤痢, 白痢를 치료하며 3-9g을 달여서 복용한다. , 종자를 달여 복용한다.

 

 

 

학명 Luzula capitata (Miq.) Miq.

Fl. Kamtsch. 1: 288

 

 

1. Luzula campestris var. capitata Miq.

Ann. Mus. Bot. Lugduno-Batavi. 3: 165 (186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Luzula capitata (Miq.) Nakai

Rep. veg. Apoi 76 (1930)

1) Flora of Japn (Ohwi, 1965)

 

국명 꿩의밥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4)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초본류) (정태현, 1965)

1. 꿩밥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꿩의밥풀

북한명 꿩의밥(꿩밥)

외국명 영문명

 

일본명

スズメノヤリ

 

 

 

Luzula capitata ( Miq. ) Nakai

Veg. Mt. Apoi 76; cf. Miyabe & Kudo in Journ. Fac. Agric., Sapporo, xxvi. 295(1932).

76; cf. Miyabe & Kudo in Journ. Fac. Agric., Sapporo, xxvi. 295(1932) 0

Original Data:

Notes: L. campestris var. capitata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1.

 

Luzula capitata (Miq. ex Franch. & Sav.) Kom.

 

이명(异名)

 

Luzula campestris var. capitata Miq. ex Franch. & Sav.

 

 

 

^^^^^^^^^^^^^^^^^^^^^^^^^^^^^^^^^^^^^^^^^^^^^^^^^^^^^^^^^^^^^^^^^^^^^^^^^^^^

지양매(地楊梅)

 

出处】《本草抬遗

 

 

 

래원(來源)

 

为灯芯草科植物地杨梅的全草或果实

 

 

원형태(原形态)

 

多年生草本地下有小块根叶丛生细长而尖边缘有白色长毛叶鞘闭合包于茎上花轴自叶丛抽出高约20厘米密生小花排列成头状的穗状花序花赤褐色带黑花被6广披针形先端尖雄蕊6子房1蒴果开裂具种子3花果期春

 

 

생경분부(生境分部)

 

生长于平地山坡或草原分布我国东北等地

 

 

화학성분(化学成分)

 

本属多种植物含有木犀草素-7-葡萄糖甙灰分中含硅锰较多种子的脂肪油中含亚油酸2848%,亚麻酸00.6%。

 

 

성미(性味)

 

本草拾遗》:"味辛无毒"

 

 

공능주치(功能主治)

 

本草拾遗》:"主赤白痢取茎子煎服"

 

 

용법용량(用法用量)

 

内服煎汤13

 

 

비주(备注)

 

此外尚有多花地杨梅其花序伞状由多个头状小花序构成生于山坡林下或原野分布我国东部西南及东北等地它的全草或果实亦同等入药

 

 

적록】《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

 

지양매(地楊梅)

 

1.Luzula capitata (Miq.)Miq.ex Kom.[L.campestris(L.)DC.var.capitata Miq.]

 

2.Luzula multiflora(Retz.)Lej.[Juncusmultiflora Retz.

L.campestris(L.)DC.var.multiflora(Retz.)C.B.Clarke].

 

 

고증(考证)

 

出处出自本草纲目拾遗

 

 

 

영문명(英文名)

 

Herb or fruit of Flowery Woodrush

 

 

 

 

채수화저장(采收和貯藏)

 

夏季采割全草剪取果实分别晒干

 

식물형태(植物形态)

 

 

1.茎丛生地下有小块根叶鞘闭合叶线形7-15cm2-6mm边缘具缘毛花序自叶丛中抽出排成1个头状花序花被片6白绿色至赤褐色2.5-3mm雄蕊6长约为花被片的2/3花药狭长椭圆形花丝较短蒴果淡绿色至淡褐色长约等于花被片种子3暗褐色种阜淡黄色长约为种子1/2果期4-6

 

2.多花地杨梅 多年生草本12-50cm叶鞘闭合叶线形5-10cm宽约4mm花序常由5-12个小头状花序集生成聚伞花序小头状花序梗长短不等多花先出叶宽卵形边缘有小齿和缘毛花被片黄褐色或黑褐色2.5-3mm雄蕊6花药长约为花丝2柱头刷状而旋卷蒴果近卵形淡绿色到淡褐色长约等于花被片种子卵形1.5mm暗褐色种阜淡黄色长约为种子的1/2-1/3果期7-8

 

생태배경(生态环境)

 

1. 2.多花地杨梅生于山坡草丛路旁潮湿处

 

 

 

약용식물재배(药用植物栽培)

 

生物学特性 喜温暖气候耐严寒对土壤条件要求严一般土壤均可栽培但宜选择肥沃疏松的坡地或林下地栽培栽培技术 用种子每殖直播法夏季采收成熟种子晒干贮藏待播翌年春季按行距20cm开浅沟条播上覆细土1-2cm田间管理 播后注意适当浇水保持土壤湿润出苗后定期清除杂草松土生长期施肥1-2

 

성미(性味)

 

귀경(归经)

 

肠经

 

공능(功能)

청열지리(淸熱止痢)

 

주치(主治)

적백리(赤白痢)

 

 

각가론술(各家論術)

 

本草拾遗》:主赤白痢取茎子煎服

 

약재기원(藥材基源)

 

为灯芯草科植物地杨梅和多花地杨梅的全草或果实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汤3-9g

 

 

적록】《중화본초

 

'백두산 본초 이야기 > 백두산 본초 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엽동전초(三葉銅錢草)  (0) 2020.12.15
뉴근초(扭筋草)  (0) 2020.12.15
번가(番茄)  (0) 2020.11.19
용주(龍珠)  (0) 2020.11.19
동랑탕(東莨菪)  (0) 2020.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