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6. 12. 02:58ㆍ백두산 환&단&약이야기/본초의 법제
보골지(補骨脂)의 포제(炮制)
补骨脂又名破故纸。载《雷公炮炙论》。
系豆科植物补骨脂Psoralea corylifolia L.的干燥成熟果实。秋季果实成熟时采收果序,晒干,搓出果实,除去杂质。
포제방법(炮制方法)
1.补骨脂《奇效良方》:“拣,洗净。”现行,取原药材,去净杂质,用时捣碎。
2.炒补骨脂《雷公炮炙论》:“凡使,性本人燥毒,用洒浸一宿后,漉出,却用东流水浸三日夜,却蒸,从巳至申出,日干用。”《太平圣惠方》微炒。现行,取净补骨脂,置锅内,有用文火炒至颜色加深,爆鸣声减弱时取出放凉。
3.盐补骨脂《局方》:“以盐同炒令盐香,去盐用。”现行,取净补骨脂,加入盐水拌匀,润透,用文火炒至鼓起,颜色加深,有香气逸出时,取出放凉。补骨脂每100kg,用食盐2kg。
^^^^^^^^^^^^^^^^^^^^^^^^^^^^^^^^^^^^^^^^^^^^^^^^^^^^^^^^^^^^^^^^^^^^^^^^^^^^^
補骨脂
보골지(補骨脂)
性大溫味辛(一云苦)無毒
성(性)은 대온(大溫)하며 미(味)는 신(辛)하고<일운(一云)고(苦)> 무독(無毒)하다.
主勞傷骨髓傷敗腎冷精流腰疼膝冷囊濕止小便利治腹中冷能興陽事
노상(勞傷), 골수(骨髓)의 상패(傷敗), 신랭(腎冷)의 정류(精流), 요동(腰疼), 슬랭(膝冷), 낭습(囊濕)에 주효(主效)하다. 소변리(小便利)를 지(止)하고, 복중(腹中)의 냉(冷)을 치(治)하며, 능(能)히 양사(陽事)를 성(盛)한다.
急用微炒止泄麵炒補腎麻子仁炒《入門》
급용(急用)하려면 미초(微炒)하고, 지설(止泄)하려면 면초(麵炒)하고 보신(補腎)하려면 마자인(麻子仁)과 같이 초(炒)한다.[입문].
[동의보감(東醫寶鑑)]
^^^^^^^^^^^^^^^^^^^^^^^^^^^^^^^^^^^^^^^^^^^^^^^^^^^^^^^^^^^^^^^^^^^^^^^^^^^^^
【修治】
雷斅曰︰此性燥毒,須用酒浸一宿,漉出,以東流水浸三日夜,蒸之,從巳至申,晒乾用。一法︰以鹽同炒過,曝乾用。
性(성)은 燥(조)하며, 毒(독)이 있다. 항상 이것을 使用(사용)할 때에는 술에 하룻밤 담가 漉出(녹출)하고, 東流水(동류수)에 三晝夜(삼주야)를 담갔다가, 午前(오전) 十時(십시)부터 午後(오후) 四時(사시)까지 찌고 曝乾(폭건)하여 使用(사용)한다. 어느 法(법)에는 소금과 함께 볶고 曝乾(폭건)하여 사용한다.
【主治】
五勞七傷,風虛冷,骨髓傷敗,腎冷精流,及婦人血氣墮胎(《開寶》)。
五劳七伤(오로칠상), 風虛冷(풍허랭), 骨髓(골수)의 傷敗(상패), 腎冷(신랭)의 精流(정류) 및 婦人(부인)의 血氣(혈기), 墮胎(타태)
男子腰疼,膝冷囊濕,逐諸冷痺頑,止小便,利腹中冷(甄權)。
男子(남자)의 腰疼(요동), 膝冷(슬랭), 囊濕(낭습), 諸冷(제랭), 脾元(비원)을 逐(축)하고, 小便(소변)을 止(지)하며, 腹中(복중)의 冷(냉)을 利(이)한다.
興陽事,明耳目(大明)。
陽事(양사)를 盛(성)하게 하고, 耳目(이목)을 總名(총명)하게 한다.
治腎 泄,通命門,暖丹田,斂精神(時珍)。
腎泄(신설)을 治(치)하고 命門(명문)을 通(통)하며, 丹田(단전)을 暖(난)하고, 精神(정신)을 가라앉힌다.
頌曰︰破故紙今人多以胡桃合服,此法出於唐鄭相國。自敘云︰予為南海節度,年七十有五。越地卑濕,傷於內外,眾疾俱作,陽氣衰絕,服乳石補藥,百端不應。
破故紙(파고지)는 요즘 世間(세간)에서 대개 胡桃(호도)와 합하여 服用(복용)하는데 이 法(법)은 唐代(당대)의 鄭相國(정상국)으로부터 나온 것이다. 鄭相國(정상국)의 自敘(자서)에 “내가 南海(남해)의 節度使(절도사)가 된 때는 나이 七十五歲(칠십오세) 때의 일이었는데, 任地(임지) 越地方(월지방)은 卑濕(비습)한 곳으로 이로 인해 身體(신체)의 內外(내외)를 傷(상)하게 되어 여러 種類(종류)의 病氣(병기)가 俱發(구발)하고, 陽氣(양기)가 衰絶(쇠절)되어 乳石(유석)등의 여러 補藥(보약)을 服用(복용)하였으나 모두 그 應驗(응험)을 얻지 못하였다.
元和七年,有訶陵國舶主李摩訶,知予病狀,遂傳此方並藥。予初疑而未服,摩訶稽首固請,遂 服之。經七八日而覺應驗。自爾常服,其功神效。十年二月,罷郡歸京,錄方傳之。
그러나 元和(원화) 七年(칠년)에 訶陵國(가릉국)의 貿易商(무역상) 李摩訶(이마가)라는 사람이 나의 病狀(병상)을 듣고 그 方(방)과 함께 이 藥(약)을 전해 주었다. 나도 처음에는 疑問(의문)이 생겨 服(복)하지 않았는데 李摩訶(이마가)가 頓首九拜(돈수구배)하며 懇請(간청)하기에 내키지 않았지만 服用(복용)하여 보았더니, 七(칠)~八日(팔일)이 지나 그 反應(반응)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 이후에도 常服(상복)하였는데 그 功力(공력)은 참으로 不可思議(불가사의)하다. 같은 元和(원화)十年(십년) 二月(이월)에 무사히 節度使(절도사)의 任期(임기)를 마치고 京師(경사)로 돌아왔다. 그 方(방)을 記錄(기록)하여 傳(전)하여 둔다.
用破故紙十兩(淨擇去皮,洗過曝,搗篩令細),胡桃瓤二十兩(湯浸去皮,細研如泥)。即入前末,更以好蜜和,令如飴糖,瓷器盛之。旦日以暖酒二合,調藥一匙服之,便以飯壓。如不飲酒人,以暖熟水調之。彌久則延年益氣,悅心明目,補添筋骨。但禁芸苔、羊血,余無所忌。此物本自外番隨海舶而來,非中華所有。番人呼為補骨脂,語訛為破故紙也。王紹顏《續傳信方》,載其事頗詳,故錄之。
破故紙(파고지) 十兩(십량)을 淨擇(정택)하여 去皮(거피)하고 씻어서 曝乾(폭건)한 후 찧어 細密(세밀)하게 체질하여, 胡桃瓤(호도양) 二十兩(이십량)을 湯(탕)에 적시고, 去皮(거피)하고 細密(세밀)히 갈아서 진흙처럼 만들고, 앞의 末(말)을 넣어 好蜜(호밀)로 調和(조화)하여 飴糖(이당)과 같이 만들어 瓷器(자기)에 담아 取收(취수)하여 아침과 낮에 이 藥(약) 一匙(일시)를 煖酒(난주) 二合(이합)으로 調和(조화)하여 服用(복용)하고, 밥을 먹고 壓(압)한다. 만약 술을 마시지 못하는 사람이라면 煖水(난수)로 調和(조화)하여 使用(사용)한다. 오랫동안 계속해서 服用(복용)하면 千壽(천수)를 누리는데 氣力(기력)을 益(익)하고 精神(정신)을 爽快(상쾌)히 하며, 明目(명목)하고, 筋骨(근골)을 補添(보첨)한다. 다만 芸薹(운대), 養血(양혈)을 禁(금)하는 外(외), 다른 어떤 것도 忌(기)하지 않는다. 이것은 元來(원래) 外國(외국)에서 上船(상선)으로 輸入(수입)되는 것으로서 中華(중화)에서는 生産(생산)되지 않는 것이다. 外國人(외국인)들이 補骨脂(보골지)라고 부르는 것이 訛傳(와전)되어 破故紙(파고지)라 名稱(명칭)하게 된 듯 하다.“ 라고 하였다. 王紹顏(왕소안)의 續傳信方(속전신방)에서 그 事實(사실)을 비교적 詳細(상세)히 記載(기재)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 그것을 載錄(재록)하여 둔다.
時珍曰︰此方亦可作丸,溫酒服之。按白飛霞《方外奇方》云︰破故紙屬火,收斂神明,能使心包之火與命門之火相通。故元陽堅固,骨髓充實,澀以治脫也。胡桃屬木,潤燥養血。 血屬陰,惡燥,故油以潤之。佐破故紙,有木火相生之妙。故語云︰破故紙無胡桃,猶水母 之無蝦也。
이 方(방)은 또한 丸(환)을 만들어 溫酒(온주)로 服用(복용)하여도 좋다. 살펴보면 白飞霞(백비하)의 方外奇方(방외기방)에는 “破故紙(파고지)는 火(화)에 屬(속)하고 神明(신명)을 收斂(수렴)하며, 心包(심포)의 火(화)을 相通(상통)시킨다. 따라서 元陽(원양)을 堅固(견고)하게 하고, 骨髓(골수)를 充實(충실)히 하며 濇(색)의 作用(작용)으로 治脫(치탈)한다. 胡桃(호도)는 木(목)에 屬(속)하며 潤燥養血(윤조양혈)한다. 血(혈)은 陰(음)에 屬(속)하며 燥(조)를 싫어한다. 따라서 기름으로 이것을 潤(윤)하게 한다. 破故紙(파고지)를 左(좌)로 쓴다면 木火相生(목화상생)의 妙(묘)를 發揮(발휘)하게 된다. 그래서 속담에 <破故紙(파고지)는 胡桃(호도)가 없으면 手母(수모)에게 鰕(하)가 없는 것과 같은 것이다.> 라고 말했다.” 라고 하였다.
又破故紙惡甘草,而《瑞竹堂方》青娥丸內加之,何也?豈甘草能調和百藥,惡而不惡耶?
또 破故紙(파고지)는 甘草(감초)를 惡(오)한다. 그런데 瑞竹堂方(서죽당방)의 靑娥丸中(청아환중)에는 甘草(감초)를 加(가)하여 矛盾(모순)같이 여겨지긴 하지만 그것은 甘草(감초)가 모든 藥(약)을 調和(조화)하기 때문에 惡(오)하는 것에 대하여 甘草(감초)로서는 惡(오)하지 못한다고 하는 이유가 아닐까?
又許叔微學士《本事方》云︰孫真人言補腎不若補脾,予曰補脾不若補腎。腎氣虛弱,則陽氣衰劣,不能熏蒸脾胃。脾胃氣寒,令人胸膈痞塞,不進飲食,遲於運化,或腹脅虛脹,或嘔吐痰涎,或腸鳴泄瀉。
또 學士許叔微(학사허숙미)의 本事方(본사방)에는 “孙真人(손진인)은 補腎(보신)하는 것이 補脾(보비)하는 것보다 못하다고 말하고 있으나, 나는 補脾(보비)하는 것이 補腎(보신)함 보다 못하다고 생각한다. 腎氣(신기)가 虛弱(허약)해지면 陽氣(양기)가 衰劣(쇠열)되어 脾胃(비위)를 熏蒸(훈증)하는 能力(능력)이 없어진다. 脾胃(비위)의 氣(기)가 寒(한)해지면 胸膈(흉격)을 痞塞(비색)시켜 飮食(음식)이 넘어가지 않고, 運化(운화)를 지연시켜 혹은 腹脅虛脹(복협허창)하고 혹은 呕吐痰涎(구토담연)하고 혹은 腸鳴泄瀉(장명설사)하고 마는 것이다.
譬如鼎釜中之物,無火力,雖終日不熟,何能消化?
例(예)를 들면 가마솥 안의 물건은 火力(화력)이 없으면 終日(종일)을 기다려도 煮熟(자숙)할 수 없다. 어떻게 能(능)히 消化(소화)할 도리가 있겠는가? 그것과 마찬가지다.“ 라고 말하고 있다.
《濟生方》二神丸,治脾胃虛寒泄瀉,用破故紙補腎,肉豆蔻補脾。二藥雖兼補,但無斡旋。往往 常加木香以順其氣,使之斡旋,空虛倉廩。倉廩空虛,則受物矣。屢用見效,不可不知。
濟生方(제생방)의 二神丸(이신환)은 脾胃(비위)의 虚寒泄泻(허한설사)를 治(치)하는 것으로서 破故紙(파고지)의 補腎藥(보신약)과 肉豆蔻(육두구)의 补脾药(보비약)을 使用(사용)하고 있는데, 그 二藥(이약)은 모두 補(보)를 兼(겸)하는 것이기는 하나 斡旋(알선)의 힘이 모자라기 때문에 종종 木香(목향)을 加(가)하여 그 氣(기)를 順行(순행)하여 斡旋(알선)시켜야 하는 것이 된다. 倉庫(창고)는 비어 있을 때 물건을 넣을 수 있는 것이므로 이렇듯 그 倉庫(창고)를 비워두는 理致(이치)와 같은 것이다. 이것은 간혹 實驗(실험)하여 그 効果(효과)를 認定(인정)받은 바 있다. 確實(확실)하게 마음속에 담아 둘 일이다.
[본초강목(本草綱目)]
^^^^^^^^^^^^^^^^^^^^^^^^^^^^^^^^^^^^^^^^^^^^^^^^^^^^^^^^^^^^^^^^^^^^^^^^^^^^^^^^^
[의가론약(医家论药)]
“补骨脂,能暖水脏,阴中生阳,壮火益土之要药也。其主五劳七伤,盖缘劳伤之病,多起于脾肾两虚,以其能暖水脏、补火以生土,则肾中真阳之气得补而上升,则能腐熟水谷、蒸糟粕而化精微,脾气散精上归于肺,以荣养乎五脏,故主五脏之劳,七情之伤所生病。风虚冷者,因阳气衰败,则风冷乘虚而客之,以致骨髓伤败,肾冷精流,肾主骨而藏精,髓乃精之本,真阳之气不固,即前证见矣,固其本而阳气生,则前证自除。男子以精为主,妇人以血为主,妇人血气者,亦犹男子阳衰肾冷而为血脱气陷之病,同乎男子之肾冷精流也。”(《本草经疏》)
“破故纸收敛神明,能使心胞之火与命门之火相通,故元阳坚固,骨髓充实,涩以治脱也。胡桃润燥养血,血属阴恶燥,故油以润之,佐破故纸有木火相生之妙。故语云,破故纸无胡桃,犹水母之无虾也。”(《本草纲目》)
부주(附注)
补骨脂,以粒大、饱满、色黑者为佳,故亦称黑故纸。经炒制后可缓其苦燥而减其辛窜,功偏于温阳止泻。盐制后擅入肾经,可加强补肾之功。
酒炒后借酒之辛散,可用于肾阳虚弱、寒湿内侵之痹证。
'백두산 환&단&약이야기 > 본초의 법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슬의 삼증삼폭 (0) | 2020.06.12 |
---|---|
연밀(煉蜜) (0) | 2020.06.12 |
보골지(補骨脂)의 포제(炮制) (0) | 2020.06.12 |
적하수오의 구증구폭째 (0) | 2020.06.12 |
백하수오의 구증구폭째 (0) | 2020.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