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통(木通)[본경/동의보감]

2019. 7. 28. 20:00[신농본초경]/중경(中經)

목통(木通)[본경/동의보감]

 

 

으름덩굴/목통(木通)

 

 

 

으름덩굴

 

 

이명:[으름] [목통]

학명: Akebia quinata (Thunb.) Decne.

분류군: Lardizabalaceae(으름덩굴과)

일어: アケビ

영문: Five-leaf Akebia, Chocolate Vine

 

잎은 새 가지에서는 호생하고, 늙은 가지에서는 총생하며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5(간혹 6)개이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요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3-6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열매

장과는 길이 6-10cm로서 긴 타원형이며 10월에 자갈색으로 익고 복봉선(腹縫線)으로 터지며 종자가 분산된다. 과피가 두껍고 과육은 먹을 수 있다.

꽃은 일가화로서 4-5월에 피고 잎과 더불어 짧은 가지의 잎 사이에서 짧은 총상화서에 달리며 수꽃은 작고 많이 달리며 6개의 수술과 암꽃의 흔적이 있다. 암꽃은 크고 적게 달리며 직경 2.5-3cm로서 자갈색이 난다. 꽃잎은 없으며 3개의 꽃받침 잎이 있다.

줄기

덩굴의 길이가 5m에 달하고 가지에 털이 없으며 갈색이다.

뿌리

길고 비대해 있으며, 천근성이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황해도 이남의 표고 50-1,300m의 산야에 자생한다.

형태

낙엽활엽 만경목 (관화관실식물), 수형: 만경형

크기

덩굴 줄기는 5m 정도 자란다.

 

학명 Akebia quinata (Thunb.) Decne.

Ann. Sci. Nat., Bot. ser. 2, 12: 107 (1839)

1. Rajania quinata Thunb.

Fl. jap. p. 148 (Thunb., 1784)

국명 으름덩굴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목통

2. 으름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영문명 : Five-leaf Akebia, Chocolate Vine

일본명 : アケビ

북한명 : 으름덩굴

 

Akebia quinata Decne.

Ann. Sci. Nat., Bot. sér. 2, 12: 107. 1839

sér. 2, 12: 107 1839

Original Data:

Notes: China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목통(木通)

 

 

Akebia quinata (Houtt.) Decne.

이명(异名)

 

Akebia micrantha Nakai

Rajania quinata Houtt.

Akebia quinata var. polyphylla Nakai

Akebia quinata var. yiehii W. C. Cheng

Akebia quinata f. viridiflora Makino

Akebia quinata f. albiflora Y.N.Lee

Akebia quinata f. diplochlamys (Makino) T. Shimizu

Akebia quinata f. polyphylla (Nakai) Hiyama

Akebia quinata var. diplochlamys Makino

Akebia quinata var. yechi W.C. Cheng

 

 

&&&&&&&&&&&&&&&&&&&&&&&&&&&&&&&&&&&&&&&&&&&&&&&&&&&&&&

 

 

여덟잎으름/목통(木通)

 

 

 

 

여덟잎으름

 

 

이명:[여덜잎으름] [팔손으름덩굴] [개으름] [팔손으름]

학명:Akebia quinata for. polyphylla (Nakai) Hiyama

분류군:Lardizabalaceae(으름덩굴과)

 

잎은 새 가지에 호생하고, 오래된 가지에서 총생하며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6-9개이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요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는 3-6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거치는 없다.

열매

장과는 길이 6-10cm로서 10월에 자갈색으로 익는다. 장타원형 열매가 익으면 봉선(縫線)이 터지면서 종자가 분산되며 과피가 두껍다. 자갈색으로 익는다.

일가화로 잎과 함께 짧은 가지의 잎 사이에서 짧은 총상화서에 피는데 수꽃은 작고 많이 달리며 6개의 수술과 암꽃의 흔적이 있다. 암꽃은 크고 적게 피고, 직경은 2.5-3cm로 자갈색이 난다. 꽃잎은 없으며 3개의 꽃받침 잎이 있다.

줄기

길이가 5m에 달하고 가지에 털이 없으며 갈색이다.

뿌리

길고 비대해 있으며, 천근성이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속리산, 장산곶 및 안면도에서 자란다.

형태

낙엽활엽의 덩굴성 (관화관실식물), 수형: 만경형

크기

덩굴 줄기는 5m 정도 자란다.

 

학명 Akebia quinata for. polyphylla (Nakai) Hiyama

J. Jap. Bot. 36: 246 (1961)

1. Akebia quinata var. polyphylla Nakai

Fl. sylv. kor. 21: 44 (1936)

국명 여덟잎으름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개으름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여덜잎으름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3. 팔손으름

4. 팔손으름덩굴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표준식물목록

 

 

多叶木通 Akebia quinata var. polyphylla Nakai 异名

正名Akebia quinata (Houtt.) Decne. 木通

 

 

목통(木通)

 

 

Akebia quinata (Houtt.) Decne.

이명(异名)

 

Akebia micrantha Nakai

Rajania quinata Houtt.

Akebia quinata var. polyphylla Nakai

Akebia quinata var. yiehii W. C. Cheng

Akebia quinata f. viridiflora Makino

Akebia quinata f. albiflora Y.N.Lee

Akebia quinata f. diplochlamys (Makino) T. Shimizu

Akebia quinata f. polyphylla (Nakai) Hiyama

Akebia quinata var. diplochlamys Makino

Akebia quinata var. yechi W.C. Cheng

 

&&&&&&&&&&&&&&&&&&&&&&&&&&&&&&&&&&&&&&&&&&&&&&&&&&

 

 

삼엽목통(三葉木通)

 

 

Akebia trifoliata (Thunb.) Koidz.

异名(이명)

 

Akebia lobata Decne.

Clematis trifoliata Thunb.

Akebia lobata var. clematifolia (Siebold et Zucc.) Ito

Akebia quercifolia Siebold et Zucc.

Akebia sempervirens Nakai

Akebia trifoliata var. clematifolia (Siebold et Zucc.) Nakai

Akebia trifoliata var. honanensis T. Shimizu

Akebia clematifolia Siebold et Zucc.

Akebia lobata var. quercifoliata (Siebold & Zucc.) Ito

Akebia trifoliata var. litoralis Konta & Katsuy.

 

 

출처:IPNI

 

생장습성(生长习性)

 

 

性喜阴湿比较耐寒常生长在低海拔山坡林下草丛中在微酸多腐殖质的黄壤中生长良好也能适应中性土壤茎蔓常匐地生长

 

三叶木通姿态虽不及木通雅丽但叶形叶色别有风趣且耐阴湿环境配植荫木下岩石间或叠石洞壑之旁叶蔓纷披野趣盎然

 

群落及主要伴生植物鹅掌楸灯台树林漆树大叶杓樟旌节花金山荚蒾牛姆瓜猫儿屎膀胱果

 

 

&&&&&&&&&&&&&&&&&&&&&&&&&&&&&&&&&&&&&&&&&&&&

 

 

백목통(白木通)

 

 

 

Akebia trifoliata subsp. australis (Diels) T. Shimizu

이명(异名)

 

Akebia chingshuiensis T. Shimizu

Akebia lobata var. australis Diels

Akebia trifoliata var. australis (Diels) Rehder

Akebia trifoliata var. integrifolia T. Shimizu

Akebia chaffanjonii H. Lév.

 

 

형태특정(形态特征)

 

 

落叶木质藤本

小叶革质卵状长圆形或卵形4-7厘米1.5-35厘米先端狭圆顶微凹入而具小凸尖基部圆阔楔形截平或心形边通常全缘有时略具少数不规则的浅缺刻总状花序长7-9厘米腋生或生于短枝上雄花萼片长2-3毫米紫色雄蕊6离生长约2.5毫米红色或紫红色干后褐色或淡褐色雌花直径约2厘米萼片长9-12毫米7-10毫米暗紫色心皮5-7紫色果长圆形6-8厘米直径3-5厘米熟时黄褐色种子卵形黑褐色花期4-5果期6-9

 

^^^^^^^^^^^^^^^^^^^^^^^^^^^^^^^^^^^^^^^^^^^^^^^^^^^^^^^^^^^^^^^^^^^^^^^^^^^

 

通草


 

 

(《御覽作蓪草


味辛平

 

主去惡蟲除脾胃寒熱通利九竅血脈關節今人不忘一名附支生山谷

 


吳普蓪草一名丁翁一名附支神農黃帝辛雷公苦生石城山谷葉菁蔓延止汗自正月採(《御覽》)。

 


名醫一名丁翁生石城及山陽正月採枝陰乾

廣雅附支蓪草也。《中山經升山其草多寇脫郭璞雲寇脫草生南方高丈許似荷葉而莖中有瓤正白零陵人植而日灌之以為樹也。《爾雅離南活莌.郭璞注同又倚商活脫郭璞雲即離南也。《范子計然蓪草出三輔

 

[本經/中經]

 

^^^^^^^^^^^^^^^^^^^^^^^^^^^^^^^^^^^^^^^^^^^^^^^^^^^^^^^^^^^^^^^^^^^^^^^^^^^


通草

 

통초(通草)

 


 

으흐름너출性平一云微寒味辛甘無毒


 

()은 평()하고 <일운(一云)미한(微寒)> ()는 신(), ()하며 무독(無毒)하다.

 

 

 


治五淋利小便開關格治水腫除煩熱通利九竅出音聲療脾疸常欲眠墮胎去三盤

 


오림(五淋)을 치()하고, 이소변(利小便)하고 관격(關格)을 개()하고, 수종(水腫)을 치()하며, 번열(煩熱)을 제()하고, 구규(九竅)를 통리(通利)한다. 음성(音聲)을 출()하고 비달(脾疸)로 늘 잠을 자려 하는 것을 요()하며, 타태(墮胎)하고 삼충(三蟲)을 거()한다.

 

 


生山中作藤蔓大如指每節有二三枝枝頭出五葉結實如小木瓜核黑榺白食之甘美謂之燕覆子正月二月採枝陰乾


산에서 자라는데 덩굴로 뻗으며 굵기가 손가락과 같고 마디마다 이()-삼개(三個)의 지()가 있고 지단(枝端)에 오매(五枚)의 엽()이 있다. 열매가 맺히는데 작은 모과 비슷하다. 씨는 검고 속은 흰데 먹으면 단맛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연복자( 覆子)라고 한다. 정월(正月),이월(二月)에 채지(採枝)하여 음건(陰乾)한다.

 


莖有細孔兩頭皆通含一頭吹之則氣出彼頭者良本草


줄기에 가는 구멍이 있어 양쪽 끝이 다 통한다. 한쪽 끝을 입에 물고 불 때 공기가 저쪽으로 나가는 것이 좋다[본초].

 


通草卽木通也心空有瓣輕白可愛去皮節生用通行十二經故名爲通草入門


 

통초(通草)는 즉 목통(木通)이다. 속이 비고 결이 있어 가볍고 색이 희며 아주 곱다. 껍질과 마디를 버리고 생것으로 쓴다. 십이경맥(十二經脈)을 통하게 하기 때문에 통초(通草)라고 했다[입문].

 


木通性平味甘而淡主小便不利導小腸熱通經利竅湯液


목통(木通)의 성()은 평()하고 미()는 감()하면서 담()하다. 소변불리(小便不利)에 주효(主效)하고 소장(小腸)의 열()을 인도(引導)하며 통경(通經)하고 이규(利竅)한다.[탕액].

 

 


木通通草乃一物也處處有之江原道出一種藤名爲木通色黃味苦瀉濕熱通水道有效治瘡亦效別是一物也或云名爲木防己瀉濕爲最俗方


 

목통(木通)과 통초(通草)는 일물(一物)이다. 곳곳에 있다. 강원도(江原道)에서 출()하는 일종(一種)의 등()을 목통(木通)이라고 한다. 황색(黃色)이고 미()는 고()하고 습열(濕熱)을 사()하고 수도(水道)를 통()하는데 유효(有效)하다. ()을 치()하하는 데도 역시 효과가 있다. 이것은 다른 식물이다. 혹은 목방기(木防己)라고도 한다. ()을 사()하는 데 가장 좋다[속방].

 

 


 

통초자(通草子)

 


 

名燕覆子木通實也莖名木通又名通草七八月採性寒味甘


 

연복자( 覆子)라고 하는데 목통(木通)의 실()이다. ()은 목통(木通) 또는 통초(通草)라고 한다. (), 팔월(八月)에 채()하는데 성()은 한()하고 미()는 감()하다.

 

 

 


主胃熱反胃除三焦客熱利大小便寬心止渴本草


 

위열(胃熱), 반위(反胃)에 주효(主效)하고 삼초(三焦)의 객열(客熱)을 제()하고 대소변(大小便)을 통리(通利)하고 심()을 관()하며 지갈(止渴)한다.[본초].

 

 


 

 

통초근(通草根)

 

 


卽木通根也主項下櫬瘤


 

 

즉 목통근(木通根)이다. 항하(項下)의 영류(癭瘤)에 주효(主效)하다.

 

 


[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