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5. 13. 20:41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협사귀(夹蛇龟)[본초강목]
1.
Cuora flavomarginata (Gray,1863) 황연폐각구(黄缘闭壳龟)
이명(异名)
Cuora evelynae Ernst & Lovich
Cuora flavomarginata evelynae Ernst & Lovich
Cyclemys flavomarginata sinensis Hsu
Cyclemys flavomarginata Boulenger
Cistoclemmys flavomarginata
&&&&&&&&&&&&&&&&&&&&&&&&&
Cuora trifasciata (Bell,1825) 삼선폐각구(三线闭壳龟)
이명(异名)
Cyclemys trifasciatus Boulenger
Cistudo trifasciatus Dumeril & Bibron
Sternothaerus trifasciatus Bell
Cuora trifasciatus Gray
Cistudo trifasciata DUMÉRIL 1835
Cyclemys trifasciata BOULENGER 1889
^^^^^^^^^^^^^^^^^^^^^^^^^^^^^^^^^^^^^^^^^^^^^^^^^^^^^^^^^^^^^^^^^
攝龜
(《蜀本草》)
【釋名】
呷蛇龜(《日華》作夾蛇)、陵龜 (郭璞)鴦龜(陶?景),蠳龜(抱朴子)。
恭曰︰鴦龜腹折,見蛇則呷而食之,故楚人呼呷蛇龜。江東呼陵龜,居丘陵也。
鴦龜(앙귀)는 腹折(복절)한 것으로서 蛇類(사류)를 보면 呷食(합식)한다. 그러므로 楚地方(초지방)에서는 呷蛇龜(합사귀)라고 부른다. 江東(강동)에서는 陵龜(능귀)라 부르는 것은 丘陵(구릉)에 棲息(서식)하기 때문이다.
時珍曰︰既以呷蛇得名,則攝亦蛇音之轉,而蠳亦鴦音之轉也。
呷蛇(합사)라는 名稱(명칭)이 이미 있었던 것으로 봐서 攝(섭)이라는 것은 역시 呷(합)의 音(음)이 訛傳(와전)된 것이다. 蠳(영) 역시 鴦(앙)의 音(음)이 訛傳(와전)된 듯하다.
【集解】
弘景曰︰鴦,小龜也,處處有之。狹小而長尾。用卜吉凶正與龜相反。
保升曰︰攝龜腹小,中心橫折,能自開闔,好食蛇也。
肉
【氣味】
甘、寒,有毒。
詵曰︰此物啖蛇,肉不可食,殼亦不堪用。
이 거북은 蛇(사)를 啖(담)한다. 肉(육)은 먹지 못하며, 穀(곡)도 소용이 없다.
【主治】
生研,塗撲損筋脈傷(士良)。生搗,罯蛇傷,以其食蛇也(陶弘景)。
生(생)으로 硏碎(연쇄)하여 撲損(박손)의 筋脈傷(근맥상)에 塗布(도포)한다. 生(생)으로 搗碎(도쇄)하여 蛇傷(사상)을 罯(암)한다. 이는 뱀을 잡아 먹기 때문이다.
尾
【主治】
佩之辟蛇。蛇咬,則刮末敷之,便愈(《抱朴子》)。
이것을 佩着(패착)하면 蛇(사)가 辟(피)한다. 蛇咬(사교)에는 刮末(괄말)하여 敷(부)하면 直瘥(직채)한다.
甲
【主治】
人咬瘡潰爛,燒灰敷之(時珍。出《摘玄》)。
人咬傷瘡(인교상창)의 潰爛(궤란)에는 燒成灰末(소성회말)을 散布(산포)한다. 摘玄(적현)에 記載(기재)되어 있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쇄보(骨碎補)[본초강목] (0) | 2019.06.05 |
---|---|
사라자(娑羅子)[본초강목] (0) | 2019.05.13 |
진귀(秦龜)[본초강목] (0) | 2019.05.13 |
휴귀(蠵龜)[본초강목] (0) | 2019.05.13 |
미(薇)[본초강목] (0) | 201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