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부(豆腐)[동의보감]

2019. 4. 17. 17:55[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두부(豆腐)[동의보감]

 

 

 

두부(豆腐)

 

 

콩 속에 들어 있는 단백질을 추출하여 무기염류로 응고시킨 식품.

 

내용

 

두부의 ()’는 썩은 것이란 뜻이 아니고 뇌수(腦髓)처럼 연하고 물렁물렁하다는 뜻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라고도 하였다.

 

두부는 명물기략 名物紀略·재물보 才物譜 등에는 서기전 2세기경 전한(前漢)의 회남왕(淮南王)이 발명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당나라 말기의 중국문헌에 처음 나타나므로 한대 이후에 만들어졌다는 견해도 있다.

 

우리 나라에 두부가 전래된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목은집/1404(태종 4)  중의 대사구두부래향 大舍求豆腐來餉이라는 시에 두부의 명칭이 처음 나온다. 이것으로 미루어 고려 말에 가장 교류가 빈번하였던 원나라로부터 전래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시대에는 두부제조법이 더욱 발달하였다. 세종실록에는 명나라 황제가 조선에서 온 여인이 각종 식품제조에 뛰어나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두부를 잘 만든다고 칭찬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그 밖에도 도문대작 屠門大嚼·주방문 酒方文·산림경제 등 많은 문헌에 두부 만드는 법과 종류, 두부요리가 다양하게 기록되어 있다.

 

두부는 가공법에 따라 보통두부·순두부·건조두부·자루두부·연두부·얼린두부·튀김두부·압착두부·유바(yuba)·수푸(sufu) 등으로 구분한다.

 

두부 만드는 법은 하루 동안 물에 불려 둔 콩을 맷돌에 간다 그 다음에 콩의 10배 정도의 물을 넣고 510분 정도 끓인 다음 자루에 넣고 짠다.

 

여기서 나온 두유(豆乳) 7080 온도로 유지시키면서 염화칼슘·염화마그네슘·황산칼슘 등의 응고제를 첨가하면 단백질이 응고된다. 단백질이 응고되면 성형틀에 삼베천을 깔고 응고된 것을 붓고 판을 대어 돌로 눌러 탈수시킨다. 물이 빠지면 칼로 그어 두부를 떠낸다.

 

두부는 생두부로 먹거나 국·찌개·부침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조리한다. 찌꺼기인 비지도 발효시켜 비지장을 만들어 먹는다. 두부를 만드는 도중에 순두부를 따끈하게 양념하여 먹기도 한다.

 

콩은 약 40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어서 영양이 우수하나 소화율이 좋지 않아 볶거나 쪄서 먹을 경우에도 소화율은 5070에 지나지 않는다.

 

반면에 두부는 콩에 들어 있는 단백질의 93 이상, 탄수화물의 85 이상, 지방의 95 이상, 비타민의 5060 이상을 함유하면서 소화율이 95나 되는 우수한 단백질식품이다. 두부 단백질은 육류 단백질보다 값이 훨씬 싸므로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경제적인 면에서도 유리하다.

 

우리는 예로부터 두부를 자주 만들어 먹었고 관혼상제 때에도 빠짐없이 상에 올렸다. 지금도 시골에서는 두부를 만들 때 쓰는 맷돌이 남아 있어 집에서 만들어 먹는 경우가 많다. 아낙네들이 순두부와 두부를 사랑방으로 보내면 남자들은 두부와 함께 술도 한잔 하면서 자그마한 잔치를 벌이게 마련이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豆腐


 

두부(豆腐)

 

 


두부性平一云冷味甘有毒


 

()이 평()하고<일운(一云)()>()는 감()하고 유독(有毒)하다.

 


益氣和脾胃入門


 

익기(益氣)하고 비위(脾胃)를 화()한다.[입문].

 


豆腐有毒性冷而動氣能發腎氣頭風瘡疥食物


두부(豆腐)는 유독(有毒)하고 성()은 냉()하다. ()를 동()하고 곧잘 신기(腎氣), 두풍(頭風), 창개(瘡疥)를 발()한다.[식물].



多食則膨脹殺人喫酒則甚惟飮冷水卽消矣俗方


 

다식(多食)하면 창만(脹滿)하고 생명까지 위험한데 이때에 술을 먹으면 더 심해진다. 이런 때에는 찬물을 마셔야 삭는다[속방].

 


中寒多泄多搝者忌食入門


 

중한(中寒)으로 다설(多泄), 다비(多䊧)하는 자()는 기식(忌食)한다.[입문].

 


 

[동의보감]

'[동의보감] > 탕액편(湯液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두시(淡豆豉)[동의보감]  (0) 2019.04.17
황대두(黃大豆)[동의보감]  (0) 2019.04.17
녹두(綠豆)[동의보감]  (0) 2019.04.17
고다(苦茶)[동의보감]  (0) 2019.04.09
완두(豌豆)  (0) 2019.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