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12. 21. 13:37ㆍ백두산 환&단&약이야기/본초의 법제
적복령(赤茯苓)의 포제(炮制)
【修治】
斅曰︰凡用,去皮、心,搗細,於水盆中攪濁,浮者濾去之。此是茯苓赤筋,若誤服餌,令人瞳子並黑睛點小,兼盲目。
대개 이것을 사용할 때에는 피(皮), 심(心)을 제거(除去)하고 세도(細搗)하여 , 수분중(水盆中)에서 교탁(攪濁)하여 부(浮)한 것을 여거(濾去)한다. 이것은 복령(茯苓)의 적근(赤根)인데 만약 잘못하여 복이(服饵)하면 동자(瞳子)와 흑정(黑睛)이 점소(點小)해지고 겸(兼)하여 맹목(盲目)이 된다.
弘景曰︰作丸散者,先煮二、三沸乃切,曝乾用。
환(丸), 산(散)으로 하려면 먼저 자(煮)하여 이~삼비(三沸)한 다음 그것을 절(切)하고 폭건(暴乾)하여 사용한다.
【氣味】
甘,平,無毒。
元素曰︰性溫,味甘而淡,氣味俱薄,浮而升,陽也。
性(성)은 溫(온), 味(미)는 甘(감), 淡(담), 氣味(기미)는 모두 薄(박)하고 浮升(부승), 陽(양)이다.
之才曰︰馬間為之使。得甘草、防風、芍藥、紫石英、麥門冬,共療五臟。惡白蘞,畏牡蒙、地榆、雄黃、秦艽、龜甲,忌米醋及酸物。
馬問(마문)을 使(사)로 한다. 甘草(감초), 防風(방풍), 芍藥(작약), 紫石英(자석영), 麥門冬(맥문동)과 함께 配合(배합)하면 五臟(오장)을 療(요)한다. 白蘞(백렴)을 惡(오)하고, 牡蒙(모몽), 地楡(지유), 雄黃(웅황), 秦艽(진교), 龜甲(귀갑)을 畏(외)하며, 米醋(미초) 및 酸物(산물)을 忌(기)한다.
弘景曰︰藥無馬間,或是馬莖也。
藥(약)에 馬問(마문)이라는 것은 없다. 어쩌면 馬莖(마경)일 것이다.
恭曰︰李氏《本草》︰馬刀為茯苓使。間字草書似刀字,傳訛爾。
李氏本草(이씨본초)에서 馬刀(마도)는 茯苓(복령)의 使(사)가 된다고 하였다. 問字(문자)의 草書(초서)는 刀字(도자)와 비슷하기 때문에 轉訛(전와)된 것이다.
志曰︰二注恐皆非也。當是馬藺字。
二氏(이씨)의 說(설)은 공교롭게도 모두 틀리다. 이것은 馬藺(마린)이어야 한다.
赤茯苓
【主治】
破結氣(甄權)。
結氣(결기)를 破(파)한다.
瀉心、小腸、膀胱, 濕熱利竅行水 (時珍) 。
心(심), 小腸(소장), 膀胱(방광)의 濕熱(습열)을 瀉(사)하고 利竅行水(이규행수)한다.
【發明】
弘景曰︰茯苓白色者補,赤色者利。俗用甚多,仙方服食亦為至要。云其通神而致靈,和魂而煉魄,利竅而益肌,濃腸而開心,調營而理衛,上品仙藥也。善能斷谷不飢。
복령(茯苓)의 백색(白色)인 것은 보(補)하고, 적색(赤色)인 것은 통리(通利)한다. 속방(俗方)에서 매우 다용(多用)하며, 선방(仙方)의 복식(服食)에서도 역시 지요(至要)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통신지령(通神致灵)하고 , 화혼연백(和魂炼魄)하며 이규익기(利窍益肌)하고, 농장개심(浓肠开心:후장개심(厚肠开心))하며 조영이위(调营理卫)하는 상품(上品)의 선약(仙藥)인데 또한 곧잘 단곡불기(断谷不饥)하게 하는 것이라고도 하였다.
寇宗奭曰︰茯苓行水之功多,益心脾不可缺也。
복령(茯苓)은 행수(行水)의 공(功)이 많고, 심비(心脾)를 보익(補益)하는데 불가결(不可缺)한 것이다.
元素曰︰茯苓赤瀉白補,上古無此說。氣味俱薄,性浮而升。其用有五︰利小便也;開腠理也,生津液也,除虛熱也,止瀉也。如小便利或數者,多服則損人目。汗多人服之,亦損元氣,夭人壽,為其淡而滲也。
복령(茯苓)의 적(赤)은 사(瀉)하고, 백(白)은 보(補)한다. 상고(上古)에는 이 설(設)이 없었다. 기미(氣味)가 모두 박(薄)하고 부승(浮升)한다. 소변(小便)을 통리(通利)하고, 주리(腠理)를 개(開)하며, 생진(生津)하고 허열(虛熱)을 제거(除去)하며, 지사(止瀉)하는 것이 그 공(功)인데 만약 이소변(利小便))하고, 혹은 삭(數)한 자(者)가 다복(多服)하면 사람을 손상(損傷)시키고, 자한(自汗)이 많은 자(者)가 이것을 복용(服用)하면 원기(元氣)가 손상되어 사람을 요(夭)하게 한다. 이것은 담(淡)하면서 삼(滲)하기 때문이다.
又云︰淡為天之陽,陽當上行,何以利水而瀉下?氣薄者陽中之陰,所以茯苓利水瀉下。不離陽之體,故入手太陽。
또 담(淡)은 천(天)의 양(陽)으로서 양(陽)은 상행(上行)해야 하는 것이다. 왜 이수사하(利水泻下)하느냐면 기(氣)가 박(薄)한 것은 양중(陽中)의 음(陰)이기 때문인 것이다. 그래서 복령(茯苓)은 이수(利水)함으로써 사하(瀉下)하게 하는 것인데 양체(陽體)를 떠나지 않는다. 그래서 수태양(手太阳)에 들어가는 것이다.
杲曰︰白者入壬癸,赤者入丙丁。味甘而淡,降也,陽中陰也。其用有六︰利竅而除濕,益氣而和中,治驚悸,生津液,小便多者能止,小便結者能通。又云︰濕淫所勝,小便不利。淡以利竅,甘以助陽。甘平能益脾逐水,乃除濕之聖藥也。
백(白)은 임계(壬癸)에 들어가고, 적(赤)은 병정(丙丁)에 들어간다. 미(味)는 감담(甘淡)하고, 강(降)하며 양중(陽中)의 음(陰)인데 그 공용(功用)에는 이규제습(利竅除濕)하고, 익기화중(益气和中)하며, 경계(驚悸)를 치(治)하고, 생진(生津)하고, 빈뇨(頻尿)를 곧잘 멎게 하고, 결뇨(結尿)에는 통리(通利)하는 여섯 가지가 있다. 또 습음(濕淫)의 소승(所勝)으로 소변(小便)이 불리(不利)한 경우에는 담(淡)으로 이규(利竅)하고, 감(甘)으로써 조양(朝陽)하며, 온평(溫平)은 곧잘 익비축수(益脾逐水)한다. 따라서 제습(除濕)하는 성약(聖藥)인 것이다.
好古曰︰白者入手太陰、足太陽、少陽經氣分,赤者入足太陰、手少陰、太陽氣分。伐腎邪。小便多,能止之;小便澀,能利之。與車前子相似,雖利小便而不走氣。酒浸與光明朱砂同用,能秘真元。味甘而平,如何是利小便耶?
백(白)은 수태음(手太陰), 족태양(足太陽), 소양경(少陽經) 기분(氣分)에 들어가고, 적(赤)은 족태음(足太阴), 수소음(手少陰), 수태양(手太阳)의 기분(氣分)에 들어간다. 신사(腎邪)를 벌(伐)하여 다뇨(多尿)를 곧잘 멎게 하고, 색뇨(濇尿)를 곧잘 통리(通利)한다.차전자(車前子)와 비슷하게 소변(小便)을 통리(通利)하나 기(氣)를 주(走)하게는 하지 않는다. 주침(酒浸)하여 광명주사(光明朱砂)와 함께 사용하면 곧잘 진원(眞元)을 비(秘)한다. 미(味)가 감(甘)하고 평(平)한데 어찌하여 소변(小便)을 통리(通利)하는 것인지 모른다.
震亨曰︰茯苓,得松之餘氣而成,屬金,仲景利小便多用之,此暴新病之要藥也。若陰虛者,恐未為宜。此物有行水之功,久服損人。八味丸用之者,亦不過接引他藥歸就腎經,去胞中久陳積垢,為搬運之功爾。
복령(茯苓)은 송(松)의 여기(餘氣)를 받아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금(金)에 속(屬)한다. 장중경(張仲景)은 소변(小便)을 통리(通利)하는데 이것을 다용(多用)하였는데, 이것은 졸연(卒然)한 신병(新病)의 요약(要藥)인 것이며, 만약 음허(陰虛)한 자(者)의 경우라면 맞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행수(行水)하는 공(功)이 있기 때문에 구복(久服)하면 사람을 손상(損傷)한다. 팔미환(八味丸)에 이것을 사용한 것은 역시 다른 약(藥)을 접인(接引)하여 신경(腎經)에 귀취(歸就)한 것에 불과(不過)하다. 포중(胞中)의 구진(久陳)한 적구(積垢)를 제거(除去)함으로써 반운(搬運)의 공(功)을 이루는 것뿐이다.
時珍曰︰茯苓本草又言利小便,伐腎邪。 至李東垣、王海藏乃言小便多者能止,澀者能通,同朱砂能秘真元。而朱丹溪又言陰虛者不宜用,義似相反,何哉?
복령(茯苓)은 본초(本草)에서 소변(小便)을 통리(通利)하고, 신사(腎邪)를 벌(伐)한다고 하였으며, 이동원(李东垣), 왕해장(王海藏)은 다뇨(多尿)를 곧잘 멎게 하고, 색(濇)하는 경우에 곧잘 통리(通利)한다. 주사(朱砂)와 함께 사용하면 곧잘 진원(眞元)을 비(秘)한다. 그러나 주단계(朱丹溪)는 음허자(陰虛者)에게 사용하는 것은 부적(不適)하다고 하여, 그 의미(意味)가 상반(相反)되 것 같아 수긍(首肯)이 가지 않는다.
茯苓氣味淡而滲,其性上行,生津液,開腠理,滋水之源而下降,利小便。故張潔古謂其屬陽,浮而升,言其性也;東垣謂其為陽中之陰,降而下,言其功也。
복령(茯苓)은 기미(氣味)가 담(淡)하고 삼(滲)하며, 그 성(性)은 상행(上行)하여 생진(生津)하고, 주리(腠理)를 개(開)하여 수원(水原)을 자(滋)하게 하고, 하강(下降)하여 소변(小便)을 통리(通利)한다. 그래서 장결고(張洁古)는 이것이 양(陽)에 속(屬)하여 승(升)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 성(性)을 말한 것이었다. 동원(東垣)은 이것이 양중(陽中)의 음(陰)으로서 강(降)함으로써 하(下)하는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에 그 공(功)을 말한 것이다.
《素問》云︰飲食入胃,游溢精氣,上輸於肺,通調水道,下輸膀胱。觀此,則知淡滲之藥,俱皆上行而後下降,非直下行也。小便多,其源亦異。
소문(素問)에서 <음식(飮食)은 위(胃)에 들어가서 정기(精氣)를 유일(遊溢)하게 하여 위의 폐(肺)로 보내고, 수도(水道)를 통조(通調)하여 아래의 방광(膀胱)으로 보낸다> 고 한 것을 보면 담삼약(淡滲藥)으로 모두 상행(上行)한 후에 하행(下行)하는 것이며, 즉시 하행(下行)하는 것임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소변(小便)이 많은 것도 그 근원(根源)이 역시 다른 것이다.
《素問》云︰肺氣盛則小便數而欠;虛則欠欬 、小便遺數。心虛則少氣遺溺。下焦虛則遺溺。胞移熱於膀胱則遺溺。
소문(素問)에서 <“폐기(肺氣)가 왕성(旺盛)한 즉 변삭(便數)하여 흠(欠)한다. 허(虛)하면 흠해(欠欬)하고, 소변(小便)은 유삭(遺數)이 된다. 심허(心虛)한 즉 소기(少氣)하고 유닉(遺溺)한다. 하초허(下焦虛)한 즉 유닉(遺溺)한다. 포(胞), 열(熱)이 방광(膀胱)으로 옮긴 즉 유닉(遺溺)한다.”> 고 하였다.
膀胱不利為癃,不約為遺溺。厥陰病則遺溺閉癃。所謂肺氣盛者,實熱也。其人必氣壯脈強,宜用茯苓甘淡以滲其熱,
방광(膀胱)은 통리(通利)하지 않으면 융(癃)이 되고, 약(約)하지 않으면 유(遺)가 되며, 궐음병(厥陰病)은 즉 유닉(遺溺)하고, 폐륭(閉隆)한다. 이른바 이에는 복령(茯苓)의 감담(甘淡)으로 그 열(熱)을 삼(滲)해야 하는 것이다.
故曰︰小便多者能止也。若夫肺虛、心虛、胞熱、厥陰病者,皆虛熱也。其人必上熱下寒,脈虛而弱。
그래서 다뇨자(多尿者)를 곧잘 멎게 한다고 한 것인데 부(夫)의 폐허(肺虛), 심허(心虛), 포열(胞熱), 궐음병자(厥陰病者)인 경우에는 모두 허열(虛熱)인 것으로서 그는 반드시 상열(上熱), 하한(下寒)하고, 맥(脈)은 허약(虛弱)하게 마련이다.
法當用升陽之藥,以升水降火。膀胱不約、下焦虛者,乃火投於水,水泉不藏,脫陽之症。其人必肢冷脈遲。法當用溫熱之藥,峻補其下,交濟坎離。二症皆非茯苓輩淡滲之藥所可治,故曰︰陰虛者不宜用也。仙家雖有服食之法,亦當因人而用焉。
치법(治法)으론느 승양(升陽)의 약(藥)으로 수(水)를 승(升)하게 하고, 화(火)를 강(降)하게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방광(膀胱)이 불약(不約)하고, 하초(下焦)가 허(虛)한 자(者)는 화(火)가 수(水)에 들어가 수천(水泉)치 장(藏)할 수 없는 탈양(脫陽)의 증(症)인 것이다. 이사람은 반드시 지랭(肢冷)하고 맥지(脈遲)하게 마련이다. 치법(治法)으로는, 온열약(溫熱藥)을 사용하여 그 하(下)를 준보(峻補)하고, 감리(坎離)의 이증(二症)을 교제(交濟)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모두 복령(茯苓)등의 담삼약(淡滲藥)으로 치(治)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음허(陰虛)한 자(者)에게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한 것이다. 선가(仙家)에는 복식(服食)의 방법(方法)이 있지만, 역시 사람에 따라 구별(區
'백두산 환&단&약이야기 > 본초의 법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슬(牛膝)의 포제(炮制) (0) | 2018.12.28 |
---|---|
당귀(當歸) (0) | 2018.12.21 |
백복령(白茯苓)의 포제(炮制) (0) | 2018.12.21 |
숙지황(熟地黃) 과정 육증육폭(六蒸六曝) (0) | 2018.12.21 |
백하수오(白何首烏) 칠증칠폭(七蒸七曝) (0) | 2018.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