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완(紫菀)[본경/동의보감]

2018. 10. 18. 17:46[신농본초경]/중경(中經)

자완(紫菀)[본경/동의보감]

 

 

 

 

 

개미취/자완(紫菀)

 

 

개미취

 

이명:[자원] [들개미취] [애기개미취]

학명: Aster tataricus L.f.

분류군: Compositae(국화과)

일어: シオン

영명: Tartarian Aster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쯤되면 없어지며 잘 자란 것은 길이 65cm, 나비 13c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의 날개로 되고 양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큰 것은 길이 20-31cm, 나비 6-10cm로서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예두 원저이고 흔히 엽병으로 흘러 날개처럼 되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9-20cm이며 위로 가면서 작아지고 엽병도 거의 없어진다.

열매

수과는 길이 3mm정도로서 털이 있고 관모는 길이 6mm정도이다. 10-11월에 결실한다.

꽃은 7-10월에 피며 지름 2.5-3.3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고 화경은 길이 1.5-5cm로서 짧은 털이 밀생한다.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7mm, 나비 13-15mm이며 포는 3줄로 배열되고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며 짧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건막질이다. 설상화는 길이 16-17mm, 나비 3-3.5mm로서 하늘색이다.

줄기

높이 1-1.5m이지만 재배한 것은 2m에 달하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짧은 털이 있다.

뿌리

근경이 짧으며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마디에서 새싹이 돋아난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가 1-1.5m,  2.5-3.3정도 된다.

 

 

 

학명 Aster tataricus L.f.

Suppl. pl.: 373 (1781)

1. Aster fauriei Lev. & Vaniot

Repert. Spec. Nov. Regni Veg. 7 : 102 (1909)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2. Aster nakaii Lev. & Vaniot

Bull. Acad. Int. Geogr. Bot. 20 Mem.: 140 (1909)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3. Aster tataricus var. fauriei (Lev. & Vaniot) Kitam.

Compos. jap.: 19 (1931)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4. Aster tataricus var. hortensis Nakai

J. Jap. Bot. 17: 682 (1941)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5. Aster tataricus var. minor Makino

Bot. Mag. 22: 166 (1908)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6. Aster tataricus var. nakaii Kitam.

Compos. jap.: 20 (1931)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7. Aster tataricus var. robustus Nakai

J. Jap. Bot. 17: 683 (1941)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8. Aster tataricus var. vernalis Nakai

J. Jap. Bot. 17: 682 (1941)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9. Aster trinervius var. longifolia Franch. & Sav.

Enum. Pl. Jap. (Franch. & Sav., 2 vols: Vol. 1, pt. 1 (pgs. 1-192), 1873 Vol. 1, pt. 2 (pgs. 193-485), 1875 Vol. 2, pt. 1 (pgs. 1-256), 1877 Vol. 2, pt. 2 (pgs. 257-624), 1878 Vol. 2, pt. 3 (pgs. 625-789), 1879)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국명 개미취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3)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들개미취

2. 애기개미취

3. 자원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영문명 : Tartarian Aster

일본명 : シオン

북한명 : 개미취(자왼)

 

 

Aster tataricus L.f.

Suppl. Pl. 373. 1782 [1781 publ. Apr 1782]

373 1782

Original Data:

Notes: Tataria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자완(紫菀)

 

Aster tataricus L.f.

이명(异名)

 

Aster trinervius var. longifolius Franch. et Sav.

Aster tataricus var. vernalis Nakai

Aster tataricus var. nakaii (H. Lév. et Vaniot) Kitam.

Aster tataricus var. robustus Nakai

Aster nakai H. Lév. et Vaniot

Aster tataricus var. minor Makino

Aster rhomboideus Lindl. ex DC.

Aster nakaii

Aster tataricus var. fauriei (H.Lév. & Vaniot) Kitam.

Aster tataricus var. hortensis Nakai

 

 

多年生草本40-150厘米茎直立粗壮有疏粗毛基部有纤维状残叶片和不定根基部叶花期枯落矩圆状或椭圆状匙形20-50厘米3-13厘米上部叶狭小厚纸质两面有粗短毛中脉粗壮6-10对羽状侧脉头状花序直径2.5-4.5厘米排列成复伞房状总苞半球形10-25毫米总苞片3外层渐短全部或上部草质顶端尖或圆形边缘宽膜质紫红色舌状花20多个蓝紫色中央有多数两性筒状花瘦果倒卵状矩圆形紫褐色2.5-3毫米两面各有1或少有3有疏粗毛冠毛污白色或带红色

 

分布于东北华北西北朝鲜日本苏联西伯利亚地区东部也有根入药能润肺化痰止咳

 

 

^^^^^^^^^^^^^^^^^^^^^^^^^^^^^^^^^^^^^^^^^^^^^^^^^^^^^^^^^^^^^^^^^^^^^^^^^

 


 

紫菀


 

味苦溫


 

主欬逆上氣胸中寒熱結氣去蠱毒痿蹶安五藏生山谷

 


 

吳普紫菀一名青苑。(《御覽》)


名醫一名紫茜一名青苑生房陵及真定邯鄲二月三月採根陰乾


說文茈菀出漢中房陵陶宏景云白者名白菀。《唐本注云白菀即女菀也

 


[本經/中經]

 

^^^^^^^^^^^^^^^^^^^^^^^^^^^^^^^^^^^^^^^^^^^^^^^^^^^^^^^^^^^^^^^^^^^^^^^^^

 


紫泸


 

자완(紫菀)

 


 

쯷달性溫一云平味苦辛無毒


 

()은 온()하고<일운(一云)()> ()는 고(), ()하며, 무독(無毒)하다.

 

 

 


治肺浔吐血消痰止渴咳逆上氣咳唾膿血寒熱結氣潤肌膚添骨髓療浔抖

 


 

폐위(肺痿)로 토혈(吐血)하는 것을 치()하고, 소담지갈(消痰止渴)하며, 해역상기(咳逆上氣), 해타농혈(欬唾膿血), 한열결기(寒熱結氣), 기부(肌膚)를 윤()하고, 골수(骨髓)를 첨()하며, 위벽(痿躄)을 치료(治療)한다.

 


生原野春初布地生其葉三四相連五六月開黃紫白花有白毛根甚柔細二月三月採根陰乾色紫而體潤軟者佳本草


들과 벌판에서 자라고 이른 봄에 돋아나서 땅에 퍼진다. 그 엽()은 삼()~사매(四枚)씩 잇닿아 나고 오()~육월(六月)에 황자백색(黃紫白色)으로 개화(開花)한다. 백모(白毛)가 있으며 근()은 유세(柔細)하다. 이월(二月), 삼월(三月)에 채근(採根)하여 음건(陰乾)하는데 자줏빛이 나면서 체()가 윤()하고 연()한 것이 좋다.[본초].

 


又有白泸卽女泸也療體相同無紫泸時亦可通用本草


또 백완(白菀)이 있는데 즉 여완(女菀)이다. 낫는 효과가 서로 같으므로 자완(紫菀)이 없을 때는 통용(通用)할 수 있다[본초].

 


 

一名返魂草蜜水浸焙乾用入門


 

일명 반혼초(返魂草)라고도 하는데 밀수(蜜水)에 침()하여 배건(焙乾)하여 사용(使用)한다. [입문].

 

 

 


[東醫寶鑑]

'[신농본초경] > 중경(中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극(白棘)[본경/동의보감]  (0) 2018.11.05
자완(紫菀)[본초]  (0) 2018.10.18
자완(紫菀)[약전]  (0) 2018.10.18
여완(女菀)[본초]  (0) 2018.10.18
여완(女菀)[본경]  (0) 2018.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