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9. 28. 00:38ㆍ백두산 본초 이야기/백두산 본초 도감
엉겅퀴/우착구(牛戳口)
엉겅퀴
이명 : [가시나물] [항가시] [가시엉겅퀴]
학명 :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Maxim.) Matsum.
분류군 : Compositae(국화과)
일명 : Karano-azami
영명 : Thistle
漢名 : 大蓟菜(대소채/ 큰 대, 삽주 계, 나물채)
잎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고 경색엽보다 크며 타원형 또는 피침상 타원형이고 길이 15-30cm, 나비 6-15cm로서 밑부분이 좁으며 6-7쌍의 우상으로 갈라지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와 더불어 가지가 있고 경생엽은 피침상 타원형이며 원줄기를 감싸고 우상으로 갈라진 가장자리가 다시 갈라진다.
열매
수과는 길이 3.5-4mm이며 관모는 길이 16-19mm이고 백색이다.
꽃
꽃은 6-8월에 피며 지름 3-5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총포는 둥글며 길이 18-20mm, 지름 25-35mm이고 포편은 7-8줄로 배열되며 겉에서 안으로 약간씩 길어지고 끝이 뾰족한 선형이다. 꽃은 전부 관상화이고 화관은 자주색 또는 적색이며 길이 19-24mm이다.
줄기
높이 50-100cm로서 전체에 백색 털과 거미줄 같은 털이 있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뿌리, 지상부를 대계라고 한다.
원산지
한국
분포
우리 나라 전국에 분포하여, 만주, 중국, 우수리에도 분포한다.
형태
다년초.
크기
높이 50~100cm 내외이다.
생육 환경
해가 잘 들면서도 조석으로 서늘하며 공중습도가 높은 곳이 좋으며 건조가 계속되는 곳은 좋지 않다. 토질은 배수가 잘 되면서도 보수력이 있는 비옥한 사질양토가 이상적이다.
광선
양생
토양
비옥
수분
습윤
꽃/번식방법
▶실생 및 분주로 번식한다.
1. 실생번식: 씨가 익는 10-11월에 채종하여 직파하는데 이랑 너비 90cm의 두둑을 만들어 흩뿌림이나 줄뿌림한다. 발아율이 좋은 편이다.
2. 분주 : 산에서 포기를 캐다가 80cm 너비 이랑에 50cm 간격으로 심어 근주를 양성한다.
결실기
4월, 5월
이용방안
▶어린 순을 식용으로 한다.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 잎을 모아 염액을 얻었다. 갈색 계통의 평범한 색이 나왔으며, 매염제에 대한 반응이 좋아서 다양한 색을 얻을 수 있다.
▶엉겅퀴/바늘엉겅퀴/큰엉겅퀴의 全草 또는 根을 대계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과 가을에 전초를 盛花時(성화시)에 채취하여 묵은 줄기는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전초는 alkaloid, 精油(정유)를 함유한다. 뿌리는 taraxaxteryl acetate, stigmasterol, αamyrin, β-sitosterol을 함유한다.
③약효 : 凉血(양혈), 止血(지혈), 祛瘀(거어), 消癰腫(소옹종)의 효능이 있다.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血尿(혈뇨), 血淋(혈림), 血崩(혈붕), 帶下(대하), 腸風(장풍), 腸癰(장옹), 癰瘍腫毒(옹양종독), 정창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5-10g(신선한 것이면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짓찧어 낸 즙을 바른다.
보호방안
엉겅퀴는 줄기의 식용법을 보급하면 재배할 수 있는 중요채소로도 등장할 수 있다.
유사종
▶좁은잎엉겅퀴 var.nakaianum Nak.: 잎이 좁고 녹색이며 가시가 다소 많다.
▶가시엉겅퀴 var.spinosissimum Kitam.: 잎이 다닥다닥 달리고 보다 가시가 많으며 길이 6-10mm이다.
▶흰가시엉겅퀴 for.alba T.Lee : 백색 꽃이 핀다.
▶지느러미엉겅퀴(Carduus drispus L.) : 들에서 자라는 2년초이다. 줄기에 날개가 붙어 있고 많은 가시가 있다. 잎은 나물로 한다.
▶바늘엉겅퀴(Cirsium rhinoceros Nakai): 한라산 중턱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식물이다. 잎 가장자리에 바늘 같은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Nakai): 한국 특산식물로 잎은 갈라지지 않는 긴 타원형이다. 분홍색에 가까운 짙은 자주색 꽃이 곱다.
특징
▶`가시나물`이라 하여 결각진 잎의 톱니가 모두 가시로 되어 있어서 다치면 따끔거린다.
▶엉겅퀴라 하면 옛날에 스코틀랜드에 침입한 바이킹의 척후병이 성 밑에 난 엉 겅퀴가시에 찔려 비명을 지르는 바람에 성내의 병사들이 깨어나 바이킹을 물리쳤다 하여 구국의 공로로 스코틀랜드의 국화가 된 것으로 유명한 식물이다.
학명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Maxim.) Matsum.
Index pl. jap. 2(2): 641 (1912)
1. Cirsium asperum Nakai
Bot. Mag. (Tokyo) 46 : 618 (1932)
1) Flora of Japan IIIb (K.Iwatsuki & al., 1995)
2. Cirsium japonicum subsp. maackii (Maxim.) Nakai
Bot. Mag. (Tokyo) 25 : 61 (1911)
1) Flora of Japan IIIb (K.Iwatsuki & al., 1995)
3. Cirsium japonicum var. amurense Kitam.
Cirs. Nov. Or.-Asiat.:12 (1931)
1) Flora of Japan IIIb (K.Iwatsuki & al., 1995)
4.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Regel) Kitam. ex Ohwi
Fl. jap. rev. ed.: 1376 (1965)
1) Flora of Japan IIIb (K.Iwatsuki & al., 1995)
5. Cirsium littorale var. ussuriense Regel
Tent. Fl. Ussur. 102 (1861)
1) Flora of Japan IIIb (K.Iwatsuki & al., 1995)
6. Cirsium maackii Maxim.
Prim. fl. amur. 172 (1859)
1) Flora of Japan IIIb (K.Iwatsuki & al., 1995)
7. Cirsium maackii for. koraiensis (Nakai) Nakai
Journ. Coll. Sci. Univ. Tokyo, 31 (Fl. sylv. kor. 2): 47 (1911)
1) Flora of Japan IIIb (K.Iwatsuki & al., 1995)
8. Cirsium maackii var. koraiensis Nakai
Bot. Mag. (Tokyo) (Vol. 1-105, 1887-1992)
1) Flora of Japan IIIb (K.Iwatsuki & al., 1995)
9. Cnicus japonicum var. maackii (Maxim.) Maxim.
Bull. Acad. Sci. St. Petersbourg 19: 506 (1874)
1) Flora of Japan IIIb (K.Iwatsuki & al., 1995)
국명 엉겅퀴
1)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가시나물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가시엉겅퀴
1)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항가새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영문명 :
일본명 :
북한명 : 엉겅퀴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Maxim.) Matsum.
正名:Cirsium maackii Maxim. 野蓟
이명(异名)
Cnicus maackii (Maxim.) Nakai
Cnicus maackii var. koraiensis Nakai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Regel) Kitam.
Cirsium littorale var. ussuriense Regel
Cirsium maackii f. koreiense (Nakai) Nakai
Cirsium japonicum subsp. maackii (Maxim.) Nakai
Cirsium japonicum var. amurense Kitam.
Cirsium maackii var. koreiense (Nakai) Nakai
Cirsium asperum Nakai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Maxim.) Matsum.
Cnicus japonicus (DC.) Maxim.
Cnicus japonicus var. maackii Maxim.
Cirsium litorale var. ussuriense Regel
Cirsium maackii f. albiflorum W.Wang & C.Y.Li
Cirsium maackii f. koraiensis (Nakai) Nakai
Cnicus japonicus subsp. maackii (Maxim.) Nakai
^^^^^^^^^^^^^^^^^^^^^^^^^^^^^^^^^^^^^^^^^^^^^^^^^^^^^^^^^^^^^^^^^^^^^^^^^^^^
우착구(牛戳口)
Cirsium maackii Maxim. [C. japonicum DC. SUBSP. MAACKII (Maxim.) Nakai; C. japonicum DC. Var. amurense Kitam.]
별명(別名)
老牛锉、千针草、大蓟
공효(功效)
량혈지혈(凉血止血);소종해독(消腫解毒)
과속분류(科属分类)
菊科
주치(主治)
각혈(咯血);뉵혈(衄血);뇨혈(尿血);질타손상(跌打損傷);옹창종독(癰瘡腫毒)
생태배경(生态环境)
生于海拔140-1100m的山坡草地、林缘及草甸。
채수화저장(采收和貯藏)
夏、秋季采挖,鲜用或切段晒干。
资源分布
分布于东北及河北、山东、江苏、安徽、浙江、四川等地。
동식물형태(动植物形态)
野蓟 多年生草本,高40-150cm。不定根可发育成萝卜状的块根。茎直立,分枝或不分枝,被多细胞长或短节毛,上部(特别是接头状花序下部)灰白色,有稠密的绒毛。基生叶和下部茎生叶全形为长椭圆形、披针形或披针状椭圆形,向下渐狭成翼柄长20-25cm,宽7-9cm,羽关半裂、深裂或几全裂,侧裂片4-8对,半长椭圆形,中部侧裂片较大,宽1-2cm,全部侧裂片边缘具大形或小形三角形刺齿及缘毛状针刺,有时边缘刺齿裂度较深而使叶呈现近乎二回羽裂状态;向上的叶渐小,与下部及基生叶同形,街道样分裂或不裂,边缘有刺齿,基部扩大耳状抱茎;全部或至少上部叶两面异彩色,上面绿色,沿脉被稀疏的多细胞长或短节毛,下面灰色或浅灰色,被稀疏绒毛。头状花序单生茎端,或在茎枝顶端排成伞房花序;总苞钟状,直径约2cm;总苞片约5层,外层及中层长三角状披针形至披针表,长6-13mm,宽2-2.5mm,先端急尖成短针刺,国缘有缘毛;内层及最内层披针形至线状披针形,长1.3-2.3cm,全部苞片背面有黑色粘遥;花紫红以,花冠长约2.4cm,檐部与细管部待长,5裂不达檐部中部。瘦果淡黄色,偏斜倒披针形,长约4mm,宽约1.8mm,压扁,先端截形;冠毛多层,白色,刚毛长羽毛状,长达2cm,内层先端纺锤状扩大。花、最期6-9月。
공효분류(功效分類)
량혈지혈약(凉血止血藥);소종해독(消腫解毒)약
성미(性味)
味甘;性凉
약재기원(藥材基源)
为菊科植物野蓟的全草。
용법용량(用法用量)
内服:煎汤,15-30g。
外用:适量,捣敷。
출처
《중화본초》
'백두산 본초 이야기 > 백두산 본초 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계(菝葜)[본초강목] (0) | 2018.10.02 |
---|---|
백토복령(白土茯苓) (0) | 2018.10.02 |
큰엉겅퀴/연관계(烟管蓟) (0) | 2018.09.28 |
향가피(香加皮) (0) | 2018.09.27 |
드라쿵쿨루스쑥 /초호(椒蒿) (0) | 2018.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