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9. 28. 00:23ㆍ백두산 본초 이야기/백두산 본초 도감
큰엉겅퀴/연관계(烟管蓟)
큰엉겅퀴
이명 : [장수엉겅퀴]
학명 : Cirsium pendulum Fisch. ex DC.
분류군 : Compositae(국화과)
일명 : タカアザミ(Taka-azami). Ezono-taka-azami
영명 : Pendulate Thistle
잎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타원형이고 끝이 꼬리처럼 길며 길이 40-50cm, 나비 20cm로서 양면에 털이 있고 밑부분이 엽병의 날개로 되며 가장자리가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에 결각상의 톱니와 가시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피침상 타원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게 뾰족해지고 길이 15-25cm로서 밑부분이 원줄기에 직접 달리며 우상으로 갈라지고 가지가 있다.
열매
수과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3-3.5mm로서 4개의 능선이 있고 백색 관모(冠毛)가 있다.
꽃
꽃은 7-10월에 피며 지름 3-4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려서 밑을 향하고 총포는 난형이며 길이 2cm, 지름 2.5-3.5cm로서 다소 거미줄같은 털이 있고 흔히 자줏빛이 돌며 포편은 8줄로 배열되고 외편이 가장 짧으며 중편은 선형으로서 끝이 가시처럼 되고 뒤로 젖혀지며 중륵에 검은빛이 돈다. 화관은 자주색이고 길이 12-22mm이며 관모는 길이 18-22mm로서 흑갈색이다.
줄기
높이 1-2m이고 종선이 있으며 원줄기는 곧추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만주, 동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의 주로 낮은 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 1-2m이다.
생육 환경
▶들이나 야산, 낮은지대에서 자란다.
꽃/번식방법
▶종자 번식한다.
결실기
10월, 11월
이용방안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뿌리는 민간에서 정력제로 쓴다.
▶엉겅퀴/바늘엉겅퀴/큰엉겅퀴의 全草 또는 根을 대계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과 가을에 전초를 盛花時(성화시)에 채취하여 묵은 줄기는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전초는 alkaloid, 精油(정유)를 함유한다. 뿌리는 taraxaxteryl acetate, stigmasterol, αamyrin, β-sitosterol을 함유한다.
③약효 : 凉血(양혈), 止血(지혈), 祛瘀(거어), 消癰腫(소옹종)의 효능이 있다.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血尿(혈뇨), 血淋(혈림), 血崩(혈붕), 帶下(대하), 腸風(장풍), 腸癰(장옹), 癰瘍腫毒(옹양종독), 정창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5-10g(신선한 것이면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짓찧어 낸 즙을 바른다.
유사종
▶엉겅퀴, 흰가시엉겅퀴, 가시엉겅퀴, 좁은잎엉겅퀴, 지느러미엉겅퀴 등이 있다.
학명 Cirsium pendulum Fisch. ex DC.
Prodr. (DC.) 6 : 650 (DC., 1838)
1. Cirsium falcatum Turcz.
Prodr. (DC.) 6 : 650 (DC., 1838)
1) Flora of Japan IIIb (K.Iwatsuki & al., 1995)
2. Cirsium hilgendorfii (Fisch. & Sav.) Makino
Bot. Mag. (Tokyo) 19 : 299 (1905)
1) Flora of Japan IIIb (K.Iwatsuki & al., 1995)
3. Cirsium provostii (Franch.) Petr.
Repert. Spec. Nov. Regni Veg. 44 : 52 (1938)
1) Flora of Japan IIIb (K.Iwatsuki & al., 1995)
4. Cnicus hilgendorfii Fisch. & Sav.
Enum. Pl. Jap. (Franch. & Sav., 2 vols: Vol. 1, pt. 1 (pgs. 1-192), 1873 Vol. 1, pt. 2 (pgs. 193-485), 1875 Vol. 2, pt. 1 (pgs. 1-256), 1877 Vol. 2, pt. 2 (pgs. 257-624), 1878 Vol. 2, pt. 3 (pgs. 625-789), 1879)
1) Flora of Japan IIIb (K.Iwatsuki & al., 1995)
5. Cnicus pendulus (Fisch.) Maxim. ex DC.
Bull. Acad. Sci. St.-Peterb. 19: 501 (1874)
1) Flora of Japan IIIb (K.Iwatsuki & al., 1995)
6. Cnicus provostii Franch.
J. Bot. Brit. & For. 11: 23 (1873)
1) Flora of Japan IIIb (K.Iwatsuki & al., 1995)
국명 큰엉겅퀴
1)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1. 장수엉겅퀴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영문명 : Pendulate Thistle
일본명 : タカアザミ
북한명 : 큰엉겅퀴
Cirsium pendulum Fisch. ex DC.
Prodr. (DC.) 6: 650. 1838 [1837 publ. early Jan 1838]
6: 650 1838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연관계(烟管蓟)
Cirsium pendulum Fisch. ex DC.
이명(异名)
Cnicus provostii Franch.
Cirsium helgendorfii (Franch. et Sav.) Makino
Cirsium provostii (Franch.) Petr.
Cnicus helgendorfii Franch. et Sav.
Cnicus pendulus (Fisch. ex DC.) Maxim.
Cnicus hilgendorfi Franch. & Sav.
Cirsium provosti (Franch.) Petr.
Cirsium hilgendorfii (Franch. & Sav.) Makino
Cnicus provosti Franch.
二或多年生草本,高1-2米。茎直立,上部分枝,被蛛丝状毛。基生叶和茎下部叶花期凋萎,宽椭圆形,长40-50厘米,宽20厘米,顶端尾尖,基部渐狭成具翅的柄,羽状深裂,裂片上侧边缘具长尖齿,边缘有刺,茎中部叶狭椭圆形,长15-25厘米,无柄,稍抱茎或不抱茎,上部叶渐小。头状花序单生于枝端,有时近于双生,有长梗或短梗,下垂;直径约3-4厘米;总苞卵形,基部凹形;总苞片约8层,条状披针形,外层短,顶端刺尖,外反,背部中肋带紫色;花冠紫色,长17-22毫米,筒部丝状,比檐部长2-2.5倍。瘦果矩圆形,长3-3.5毫米,稍扁;冠毛灰白色,羽状,长18毫米。
分布于东北、内蒙古、河北、山西、陕西;朝鲜,日本,苏联也有。生河岸、草地、山坡林缘。
^^^^^^^^^^^^^^^^^^^^^^^^^^^^^^^^^^^^^^^^^^^^^^^^^^^^^^^^^^^^^^^^^^^^^^^^
연관계(烟管蓟)
Cirsium pendulum Fisch.ex DC. [C. falcatum Turcz.ex DC.]
별명(別名)
大蓟
약화학성분(藥化學成分)
含滨蓟黄甙(cirsimarin)。
과속분류(科属分类)
菊科
공효(功效)
해독(解毒);지혈(止血);보허(補虛)
주치(主治)
창종(瘡腫);학질(瘧疾);외상출혈(外傷出血);체허(体虛)
식물형태(植物形態)
烟和蓟
多年生草本,高1-3m。
茎直立,上部分枝,被蛛丝状毛。基生叶和茎下部叶花期时凋萎,叶片宽椭圆形,长40-50cm,宽约20cm,先端尾尖,基部渐狭成具翅的柄,羽状深裂,裂片上侧边缘具长尖齿,边缘有刺,茎中部叶狭椭圆形,长15-25cm,无柄,稍抱茎或不抱茎,茎上部叶渐小。头状花序单生于枝端,有时的于双生,有长或短梗,下垂,直径3-5cm;总苞卵形;总苞片约8层,条状披针形,外层短,先端刺尖,外反,背部中肋带紫色;全为和关花,花冠紫色,长1.7-2.2cm,筒部丝状,比檐部长2-2.5倍。瘦果长圆形,长3-3.5mm,稍扁;冠毛灰白色,羽状,长达2.2cm。花果期6-9月。
채수와저장(采收和貯藏)
春、夏季采收地上部分,秋后采根,鲜用或切段晒干。
공효분류(功效分類)
해독약(解毒藥);지혈약(止血藥);보허(補虛)약
성미(性味)
味甘;苦;性凉
약재기원(藥材基源)
为菊科植物烟管蓟的根或全草。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汤,4.5-9g,鲜品可用至30-60g;加酒煨服或鲜品捣汁。
외용:适量,鲜品捣敷。
출처
《중화본초》
'백두산 본초 이야기 > 백두산 본초 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토복령(白土茯苓) (0) | 2018.10.02 |
---|---|
엉겅퀴/우착구(牛戳口) (0) | 2018.09.28 |
향가피(香加皮) (0) | 2018.09.27 |
드라쿵쿨루스쑥 /초호(椒蒿) (0) | 2018.09.20 |
만년호(万年蒿) (0) | 2018.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