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옹성신선생(鐵甕城申先生)의 내복단(來複丹)

2018. 4. 1. 00:07백두산 환&단&약이야기/환& 단[동의보감등]

철옹성신선생(鐵甕城申先生)의 내복단(來複丹)

 

 

 

 

내복단(來複丹)

 

 

至陽佐以至陰

 

지양좌이지음(至陽佐以至陰)

 

 

太白丹佐以硝石來復丹用硝石之類至陽佐以至陰與仲景白通湯佐以人尿猪膽汁大意相同所以去格拒之寒兼有伏陽不得不爾如無伏陽不必以陰藥佐之也湯液

 

태백단(太白丹)에 초석(硝石)을 좌()약으로 하고 내복단(來復丹)에 초석(硝石)을 쓰는 것은 지양(至陽)을 지음(至陰)으로 보좌하기 위해서이다. 이것은 중경(仲景)이 백통탕(白通湯)에 저담즙(猪膽汁)을 넣어서 쓴 것과 의미가 대체로 같다. 왜냐하면 한()이 겸()하면 양()이 복()해 있어서 그렇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만약 복양(伏陽)이 없으면 반드시 음약(陰藥)을 좌약(佐藥)으로 쓸 필요가 없다[탕액].

 

 

 

至聖來復丹

 

지성내복단(至聖來復丹)

 

 

治痼冷心腹冷痛藏府虛滑及囍亂吐瀉怴微欲絶

 

고랭(痼冷)으로 심복냉통(心腹冷痛), 장부허활(臟腑虛滑), 곽란토사(霍亂吐瀉)하며, ()이 미()하고, ()할 것 같은 것을 치()한다.

 

 

 

又治榮衛不交養心腎不升降上實下虛氣塞痰厥一切危急之證但有胃氣無不獲安此藥配類二氣均調陰陽可冷可熱可緩可急功效殊勝

또 영위(榮衛)가 조화되지 못하는 것, ()과 신()의 불승강(不升降)으로 상실하허(上實下虛)한 것, 기색담궐(氣塞痰厥)일체(一切) 위급한 증상을 치()하는데 다만 위기(胃氣)가 있으면 다 낫는다. 이 약()은 이기(二氣)의 배합되었으므로 음양(陰陽)을 고르게 하여 냉(), (), (), ()하게 하는데 특히 우수한 공효(功效)가 있다.

 

 

硫黃硝石各一兩爲細末入汛內以微火慢炒用柳木摆不住手攪令陰陽氣相入再硏極細名曰二氣砂乃入水飛五靈脂陳皮靑皮末各二兩次入太陰玄精石末一兩和勻醋糊和丸豌豆大空心米飮下三十丸或五十丸活人

 

유황(硫黃), 초석(硝石) () 일량(一兩)를 세말(細末)하여 냄비에 넣어 미화(微火)로 만초(慢炒)하면서 유목(柳木)주걱으로 쉬임 없이 젓는다. 음양(陰陽)의 기()가 서로 섞이게 한 다음 다시 극세연(極細硏)한다. 이것을 이기사(二氣砂)라고 한다. 여기에 수비(水飛)한 오령지(五靈脂), 진피(陳皮)과 청피(青皮) 가루 각()이량(二兩), 태음현정석(太陰玄精石) 가루 일량(一兩)을 넣고 초(), ()를 화()하여 완두대(豌豆大) 크기로 환()을 만들어 공심(空心)에 삼십환(三十丸)~ 오십환(五十丸)을 미음(米飮)으로 복용(服用)한다.[활인].

 

 

鐵甕城八角杜先生方也一名正一丹局方

 

철옹성(鐵癰城) 팔각두선생(八角杜先生)의 방()이다. 일명(一名) 정일단(正一丹)이라고도 한다[국방].

 

 

[동의보감(東醫寶鑑)]

 

 

^^^^^^^^^^^^^^^^^^^^^^^^^^^^^^^^^^^^^^^^^^^^^^^^^^^^^^^^^^^^^^^^^^^^^^^^^^^^^

 

時珍曰玄精石稟太陰之精與鹽同性其氣寒而不溫其味甘咸而降同硫黃消石治上盛下虛救陰助陽有扶危拯逆之功故鐵瓮申先生來複丹用之正取其寒以配硝之熱也。《開寶本草言其性溫誤矣

 

玄精石(현정석)太陰(태음)()을 받은 것으로 ()()同一(동일)하고 그 ()()하며 ()하지 않다. ()(), ()이어서 ()하는 것이다. 硫黃(유황), 消石(소석)과 함께 쓰면 上盛下虛(상성하허)()하고, ()()하며, ()()하고, ()함을 扶助(부조)하여 ()을 돕는 功力(공력)이 있다. 그러므로 鐵甕城(철옹성) 申先生(신선생)來複丹(내복단)에 이것을 ()하였던 것으로 正確(정확)하게 그 ()()取得(취득)해서 (), ()()配合(배합)했던 것이다. 开宝本草(개보본초)()()” 이라 한 것은 잘못이다.

 

 

好古曰如太白丹來複丹皆用硫黃佐以消石至陽佐以至陰與仲景白通湯佐以人尿豬膽汁大意相同所以治內傷生冷外冒暑熱霍亂諸病能去格拒之寒兼有伏陽不得不爾如無伏陽只是陰証更不必以陰藥佐之

 

太白丹(태백단), 來複丹(내복단)의 경우는 모두 硫黃(유황)使用(사용)하며, 消石(소석)()로 해서 쓰고 있다. 이것은 至陽(지양)()로서 至陰(지음)制用(제용)한 것으로 仲景(중경)白通湯(백통탕)人尿(인뇨), 猪膽汁(저담즙)()로서 制用(제용)한 것과 大體(대체)同一(동일)한 뜻이다. 이것의 ()生冷(생랭)()하고 ()暑熱(서열)에 시달린 霍亂(곽란)諸病(제병)治癒(치유)하는 所以(소이)로서 格拒(격거)()()하고 伏陽(복양)兼有(겸유)한 것을 ()하려 할 때에는 당연히 그렇게 하지 않을 없다. 만일 伏陽(복양)이 없을 것 같으면 그것은 단순한 陰虛(음허)이므로 반드시 꼭 陰藥(음약)을 쓸 必要(필요)는 없다.

 

 

[本草綱目]

 

^^^^^^^^^^^^^^^^^^^^^^^^^^^^^^^^^^^^^^^^^^^^^^^^^^^^^^^^^^^^^^^^^^^^^^^^^^^^^

 

 

 

来复丹

 

·太平惠民和剂局方:来复丹

 

별명(別名)

 

正一丹

 

처방(處方)

 

硝石一两同硫黄并为细末入定锅内以微火慢炒用柳篦子不住手搅令阴阳气相入不可火太过恐伤药力再研极细名二气末),太阴玄精石研飞)、舶上硫黄用透明不夹沙石者),各一两五灵脂须择五台山者.用水澄去沙石.日干)、青皮去白)、陈皮去白),各二两

 

 

래원(來源)

 

鐵甕城八角杜先生方

 

포제(炮制)

 

上用五灵脂二橘皮为细末次入玄精石末及前二气末拌匀以好滴醋打糊为圆如豌豆大

 

공능주치(功能主治)

 

此药配类二气均调阴阳夺天地冲和之气乃水火既济之方可冷可热可缓可急善治荣卫不交养心肾不升降上实下虚气闭痰厥心腹泠痛脏腑虚滑不问男女老幼危急之证但有胃气无不获安补损扶虚救阴助阳为效殊胜

 

常服和阴阳益精神散腰肾阴湿止腹胁冷疼立见神效应诸疾不辨阴阳证者并宜服之灵异不可具纪

 

 

 

용법용량(用法用量)

 

每服三十粒空心粥饮吞下甚者五十粒小儿三五粒新生婴儿一粒

 

小儿慢惊风或吐利不止变成虚风搐搦者非风也胃气欲绝故也用五粒研碎米饮送下

 

老人伏暑迷闷紫苏汤下

 

妇人产后血逆上抢闷绝并恶露不止及赤白带下并用醋汤下

 

 

 

^^^^^^^^^^^^^^^^^^^^^^^^^^^^^^^^^^^^^^^^^^^^^^^^^^^^^^^^^^^^^^^^^^^^^^^^^^^^^

 

래원(來源)

 

편작심서신방(扁鹊心书神方)》。

 

 

조성(組成)

 

陈皮去白6青皮6大川附6五灵脂6硝石3硫黄3

 

 

주치(主治)

 

饮食伤脾心腹作痛胸膈饱闷四肢厥冷又治伤寒阴证女人血气刺痛或攻心腹或儿枕作痛及诸郁结之气

 

 

제법(制法)

 

上为末蒸饼为丸如梧桐子大

 

 

용법(用法)

 

每服50白汤送下

 

 

^^^^^^^^^^^^^^^^^^^^^^^^^^^^^^^^^^^^^^^^^^^^^^^^^^^^^^^^^^^^^^^^^^^^^^^^^^^^^

 

 

래원(來源)

 

普济方卷二九引德生堂方》。

 

조성(組成)

 

硫黄用甘草熬水酒润细研半两消石细研用厚朴酒润半两

 

 

주치(主治)

 

上实下虚气闷痰心腹疼冷脏腑虚滑不拘男女老幼危急但有胃气

 

 

공효(功效)

 

配类二气均调阴阳夺天地冲和之气乃水火既济之功补损扶虚善理荣卫养气肾

 

 

제법(制法)

 

上和匀一处同淹少时用砂铫于文武火上炒令交构氤氲相结取出埋土中去毒气却碾为末用糯米糊为丸如黄豆大

 

 

용법(用法)

 

每服30-50空心浓米汤送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