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삼잎고

2018. 1. 5. 02:11백두산 약술&효소이야기/효소& 고(膏)자료

산삼잎고

 

 

遼參之葉也率多參客帶來以其氣味清香而微甘善於生津又不耗氣故販參者幹之帶以餉遺代茶葉入湯用不計入藥用也

 

요삼(遼參)의 엽()이다. 대개는 人參行商人(인삼행상인)들이 携帶(휴대)하고 온다. 氣味(기미)淸香(청향)하고, 微甘(미감)하며, 生津(생진)有效(유효)하고 耗氣(모기)하지 않는다. 行商人(행상인)은 이것을 乾燥(건조)시켜서 顧客(고객)에게 膳物(선물)로 한다. 茶葉(다엽) 代用(대용)으로 ()에 넣어서 使用(사용)하며 藥用(약용)目的(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人亦無用之者近因遼參日貴醫輒以之代參凡症需參而無力用者輒市葉以代故今大行於時蘇州參行市參葉且價至三五換不等以色不黃瘁綠翠如生手之有清甜香氣者真

 

 

一般(일반)에 이것을 使用(사용)하는 ()는 없지만, 近來(근래)遼參(요삼)騰貴(등귀)하므로 醫師(의사)는 이것을 人參(인삼)代用(대용)으로 하며, 人參(인삼)必要(필요)로 하는 無力症(무력증)에 사용한다. ()購入(구입)하여 代用(대용)한다. 그러므로 지금은 一般的(일반적)으로 많이 使用(사용)하게 되어 蘇州(소주)人參市場(인삼시장)에는 參葉(삼엽)價格(가격)三五割(삼오할) 올라 있다. ()黃瘁(황췌)하며, 손으로 비벼서 清甜(청첨)香氣(향기)가 나는 것이 眞品(진품)이다.

 

 

氣清香味苦微甘其性補中帶表大能生胃津祛暑氣降虛火利四肢頭目浸汁沐發能令光黑而不落醉後食入解醒第一

 

()淸香(청향), ()(), 微甘(미감)하다. ()補中(보중)하고, 帶表(대표)하며, ()胃津(위진)()한다. 暑氣(서기)()하고, 虛火(허화)()하며, 四肢(사지), 頭目(두목)()한다. 浸汁(침즙)으로 頭髮(두발)()하면 ()光黑(광흑)하고, 落髮(낙발)防止(방지)한다. 醉後(취후)에 이것을 먹으면 解酲(해정)이 가장 빠르다.

 

 

人參三椏五葉乃稟三才五行之精氣寄形於草質為百草之王其根幹之色黃得坤土正色其子秋時紅如血是土之餘生火也故能峻補元氣返人魂魄其功尤能健脾

 

생각하건데 人參(인삼)三椏(삼아) 五葉(오엽)이 있어서 三才(삼재), 五行(오행)精氣(정기)()하여 ()草質(초질)()하고, 白草(백초)()이다. ()乾燥(건조)되면 ()黃色(황색)으로 되는 것은 坤土(곤토)政色(정색)()한 것이며, ()秋期(추기)()과 같이 紅色(홍색)이 되는 것은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元氣(원기)峻補(준보)하고, 사람의 魂魄(혼백)()하는 것이므로 그 功效(공효)()健脾(건비)한다.

 

 

蓋脾主中宮為萬物之母人無土不生參得土德之精以生人非若耆朮之膩滯世所以重之

 

大抵(대저) ()中宮(중궁)主宰(주재)하며, 萬物(만물)()이다. 사람은 ()가 없으면 生存(생존)할 수 없으므로 ()土德(토덕)()()하여 사람을 살리는 것이 黃芪(황기), 白朮(백출) 등의 膩滯(이체)하는 것과는 比較(비교)가 되지 않으며 그것이 重視(중시)되는 緣由(연유)이다.

 

 

然百草本性大率補者多在根葉則枝節之餘氣不可以言補也參葉雖稟參之餘氣究其力止能行皮毛四肢性帶表散與參力遠甚惟可施於生津潤燥益肺和肝之用今一概用作培補元氣起廢救危何不察之甚耶﹗。

 

그러나 모든 草本(초본)本性(본성)()하는 것은 ()에 있으므로 ()肢節(지절)餘氣(여기)이므로 ()한다고는 말할 수 없다. 參葉(삼엽)()餘氣(여기)()한 것이므로 結局(결국) 效力(효력)()皮毛(피모), 四肢(사지)巡行(순행)하고 ()帶留(대유)하므로 ()하는 ()으로 보아서는 ()()과 많은 距離(거리)가 있다. 오직 生津(생진), 潤燥(윤조)하며 益肺(익폐), 和肝(화간)하는 것이므로 이것을 元氣(원기)()하고, 危救(위구)하는 것으로 使用(사용)하는 것은 ()沒理解(몰이해)하다고 하겠다.

 

 

清肺生津止渴。(藥性考

 

淸肺(청폐)하고, 生津(생진)하며, 止渴(지갈)한다.

 

 

 

[本草綱目拾遺]

 

 

^^^^^^^^^^^^^^^^^^^^^^^^^^^^^^^^^^^^^^^^^^^^^^^^^^^^^^^^^^^^^^^^^^^^^^^^^^

 

 

 

성미(性味)

 

 

 

귀경(歸經)

 

归肺胃经

 

 

 

공능(功能)

 

 

보기(補氣)익폐(翼蔽)거서(祛暑)생진(生津)

 

 

주치(主治)

 

기허해수(气虚咳嗽)서열번조(暑热烦躁)진상구갈(津傷口渴)두목불청(头目不清)사지권핍(四肢倦乏)

 

 

적록】《중국약전(中国药典)

 

 

^^^^^^^^^^^^^^^^^^^^^^^^^^^^^^^^^^^^^^^^^^^^^^^^^^^^^^^^^^^^^^^^^^^^^^^^^^

 

 

약성고(药性考)》:清肺生津止渴

 

 

'백두산 약술&효소이야기 > 효소& 고(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미자고(五味子膏)[동의보감]1  (0) 2018.01.05
황기고(黃芪膏)  (0) 2018.01.05
복령피고(茯苓皮膏)  (0) 2017.12.21
감초고(甘草膏)  (0) 2017.12.21
1년 묵은 피나무꿀  (0) 2017.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