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비/자기관중(紫萁貫眾)

2013. 6. 20. 20:38백두산 본초 이야기/백두산 본초 도감

 

고비/자기관중(紫萁貫眾)

 

 

 

 

고비

 

이명 : [가는고비]

학명 : Osmunda japonica Thunb.

분류군 : Osmundaceae(고비과)

일명 : 銭巻(ゼンマイ/Zenmai)

 

 

어린 잎은 나선형으로 꾸부러져 나오며 적색 바탕에 백색의 면모로 덮여 있고 엽병은 주맥과 더불어 광택이 나며 처음에는 적갈색 털로 덮여 있지만 커지면서 곧 없어진다. 잎은 신선한 녹색으로 2회 우상복엽이이고 우편은 길이 20~30cm로서 첫째 것이 가장 길다. 소우편은 옆으로 퍼지며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5~10cm, 폭 1~2.5cm로 예두 또는 둔두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밑부분은 둥글거나 일그러지며 엽병이 없다. 성숙한 잎은 광택이 나고 털이 없으며 2개씩 갈라진 측맥은 주맥과 45~ 55。 각을 이루고 붙어 있다. 생식엽은 영양엽보다 일찍 자라서 일찍 시들고 소우편은 매우 좁아져서 선형으로 되며 포자낭이 밀착한다. 여름철에 영양엽의 일부가 생식엽으로 변하는 것도 간혹 있으나 일정하지는 않다.

 

열매

포자- 생식엽의 소우편은 선형으로 되어 포자낭이 밀착한다. 여름철에 영양엽의 일부가 생식엽으로 변하는것도 간혹 있으나 일정하지는 않다.

줄기

근경에서 여러 대가 나와 높이 60-100cm정도 자란다.

뿌리

주먹 같은 근경이 있으며 많은 실뿌리가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월남, 인도,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제주도와 울릉도, 남부 중부의 산지, 습한 곳으로 그늘이 진 주변에 자생한다.

형태

숙근성 다년초로 관엽식물이다.

크기

높이가 60~100cm 정도이다.

 

생육환경

▶산복 이하의 숲가장자리 또는 냇가 근처에서 자란다.

▶반그늘에서 자라며, 적습지에서는 광선하에서도 잘 자란다. 노지에서 월동 생육한다. 건조한 곳을 싫어하며, 배수가 잘 되는 적습지에서 잘 자란다. 환경내성은 약하나, 이식은 용이하다.

광선

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수분

습윤

꽃/번식방법

▶포자 및 근경으로 번식한다.

1.포자번식은 기술이 필요하다.

2.근경으로 번식한다. 자생한 근경을 11월 중순이나 3월에 캐내어 수염뿌리를 자르지 말고 펴서 심어두면 목질괴경의 밑쪽에서 곁눈이 싹터서 증식된다.

꽃/번식방법

부식질이 많은 부식토에서 잘 자라며, 배수가 잘 되는 적습지이면 비옥한 사질양토에서도 잘 자란다.

결실기

4월

이용방안

▶정원의 나무 아래 심어 관상하거나 화분에 심어 관상한다.

▶어린 순은 삶아서 말렸다가 나물로 먹는다.

▶관중 및 同屬(동속) 近緣植物(근연식물-참새발고사리, 털고사리, 청나래고사리, 새깃아재비, 고비)의 根莖(근경)을 貫中(관중)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 가을에 뿌리째 캐어서 엽병,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흙을 털어 깨끗이 씻어 햇볕에서 말린다.

 

②성분 : 관중 근경의 주요성분은 filmarone 이며, 이것은 일종의 복잡한 phloroglucinol 유도체로서 불안정하며 서서히 분해해서 aspidin, albaspidin이 생기고 또 aspidinol, flavaspidic acid, filicinic acid을 함유한다. 그 밖에 精油(정유), filixtanninwlf, 지방, 수지 등을 함유하며 또한 triterpenoid의 fernene, hopene-b(diploptene), adiantone, hydroxyhopane(diplopterol) hopanol-29 (neriifoliol), filicene 등을 함유한다. 포기고사리의 근경은 ponasterone A, ecdysterone, pterosterone을 함유한다. 고비의 근경은 ponasterone A, ecdysterone을 함유한다. 새깃아재비의 근경은 전분(26.5% 혹은 48.5%), tannin을 함유한다.

 

③약리 : 구충작용, 抗비루스作用, 항균작용 등이 있다.

 

④독성 : 綿馬(면마-관중의 뿌리를 칭한다)는 유독하므로 그다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隨意筋(수의근)(心筋 포함)을 마비시키고 위장을 자극하며 심한 경우에는 구토, 설사, 시력장애 등을 일으키고, 결국 실명에 이른다. 중독시에는 中樞神經(중추신경)의 장애, 떨림, 痙攣(경련), 또한 延髓痲痺(연수마비)를 일으킨다. 姙婦(임부), 허약환자, 소아, 實質器官(실질기관)의 질병환자, 소화기관 潰瘍患者(궤양환자)는 모두 사용을 금한다.

 

⑤약효 : 회충, 조충, 요충을 구제, 淸熱(청열), 해독, 凉血(양혈), 지혈의 효능이 있다. 風熱感氣(풍열감기), 溫熱斑疹(온열반진), 토혈, 鼻出血(비출혈), 腸風血便(장풍혈변), 血痢(혈리), 血崩(혈붕), 帶下(대하)를 치료한다. 또 유생성감기, 유행성B형뇌염, 유행성이하선염 등의 전염병을 예방한다. 그 밖에 월경과다, 風寒濕痺(풍한습비), 腰膝酸痛(요슬산통), 遺尿(유뇨)를 치료한다.

 

⑥용법/용량 : 4.5-9g을 달이거나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 가루 내어 조합해서 바른다.

 

⑦금기 : 陰虛內熱(음허내열) 및 脾胃虛寒(비위허한)한 자에게는 좋지 않다. 姙婦(임부) 등은 금한다.

보호방안

큰 포기는 심은 다음해부터 수확할 수 있으나 3년째부터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징

잎이 신선한 녹색이라 쾌적하고 신선감을 준다.

일명 銭巻(ゼンマイ) 는 태엽을 뜻함.

 

 

 

 

 

 

 

 

 

 

 

 

 

 

학명 Osmunda japonica Thunb.

Nov. Acta Regiae Soc. Sci. Upsal. 2:209 (1780)

1. Osmunda biformis (Benth.) Makino

J. Jap. Bot. 4:4 (192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Osmunda japonica var. sublancea (H.Christ) Nakai

Bot. Mag. (Tokyo) 41 : 697 (192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Osmunda nipponica Makino

Bot. Mag. (Tokyo) 26 : 385 (1912)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4. Osmunda regelis var. biflormis Benth.

Fl. Hongk. 440 (1861)

1)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16 Pteridophyta (M.K.Park, 1975)

 

5. Osmunda regelis var. japonica (Thunb.) Milde

fil. Fur. 179 (1867)

1)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16 Pteridophyta (M.K.Park, 1975)

 

6. Osmunda regelis var. sublacea H.Christ ex Fedde

Repert. Spec. Nov. Regni Veg. 5 : 284 (1908)

1)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16 Pteridophyta (M.K.Park, 1975)

국명 고비

1)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3)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4)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가는고비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북한명

외국명 영문명

일본명

ゼンマイ

 

 

Osmunda japonica Thunb.

Fl. Jap. (Thunberg) 330. 1784 [Aug 1784]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자기(紫萁)

 

Osmunda japonica Thunb.

 

 

이명(異名)

 

Osmundastrum biformis Makino

Osmundastrum japonicum C. Presl

Osmundastrum regalis Dunn et Tucher

Osmundastrum regalis var. biformis Benth.

Osmundastrum regalis var. japonica Milde

Osmunda regalis subsp. japonica (Thunb.) á. L?ve & D. L?ve

 

植株高50-80厘米。根狀莖粗壯,斜升。葉二型,幼時密被絨毛;不育葉片三角狀闊卵形,長30-50厘米,寬25-40厘米,頂部以下二回羽狀,小羽片矩圓形或矩圓披針形,先端鈍或短尖,基部圓形或圓楔形,邊緣有勻密的矮鈍鋸齒。能育葉強度收縮,小羽片條形,長1.5-2厘米,沿主脈兩側密生孢子囊,成熟後枯死。 爲我國暖溫帶及亞熱帶最常見的一種蕨類,向北分布至秦嶺南坡;越南,印度,日本也有。生林下或溪邊的酸性土壤上。嫩葉可食。根狀莖在少數地區充當貫眾代用品,其緊密的須根作栽培蘭科植物或其他附生植物的優良基質。本種有時在同一葉上生有能育羽片和不育羽片。

 

 

按省份分布:

四川省,湖北省,貴州,四川,湖南,重慶,甘肅省,陝西省,台灣省,貴州省,浙江省,山東省,安徽省,江西省,,江蘇省,重慶市,廣西壯族自治區,福建省,廣東省,河南省,湖南省,雲南省 ,西藏自治區

 

&&&&&&&&&&&&&&&&&&&&&&&&&&&&&&&&&

 

 

자기관중(紫萁貫眾)

 

 

Osmunda japonica Thunb.

 

 

별명(別名)

藄、月爾、紫藄、藄蕨、茈萁、紫蕨、迷蕨、蕨基、大貫眾、毛老鼠、毛狗子、貫眾

 

 

 

 

 

귀경(歸經)

脾;胃經

 

약리작용(藥理作用)

 

1.驅蟲作用:紫萁貫眾的根莖及葉柄基部的煎劑稀釋到16%濃度時,體外對豬蛔蟲頭段有不同程度的抑制和松弛作用,50%-60%的煎劑對整體豬蛔蟲作用2-6小時後,豬蛔蟲的活動呈不同程度的抑制。紫萁提取物對驅除人體腸蠕蟲有較好療效。

  

2.抗病毒作用:1g/ml的紫萁貫眾水提取液稀釋320倍後能抵抗腺病毒3型(Ad3)對培養的HeLa單層細胞的攻擊,有較強抗Ad3活性;能抵抗單純皰疹病毒I型對肝癌細胞(Hep-2細胞)的攻擊。

  

3.對血凝的影響:給家兔口服紫萁水提取液11.1g/kg,每日1次,共4次,能縮短家兔凝血酶原時間。100%紫萁煎劑能明顯縮短免的凝血時間。紫萁提取物有顯著抑制血凝的作用。

 

 

약화학성분(藥化學成分)

 

紫萁貫眾根莖含東北貫眾素(dryocrassin)及多種內酯成分:紫萁內酯[(4R,5S)-osmundalactone〕,5-羥基-2-己烯酸-4-內酯[(4R,5S)-5-hydroxy-2-hexen-4-olide],5-羥基己酸-4-內酯[(4R,5S)-5-hydroxyhexan-4-olide),3-羥基己酸-5-內酯[(3S,5S)-3-hydroxyhexan-5-olide],葡萄糖基紫萁內酯(osmundalin),二氫異葡萄糖基紫萁內酯(dihydroisoomundalin),2-去氧-2-吡喃核糖內酯(2-deoxy-2-ribopyranolactone)。還含類花楸酸甙(parasorboside),5-羥基-3-(β-D-吡喃葡萄糖氧基)己酸甲酯(methyl (3S,5S)-5-hydroxy-3-(β-D-glucopyranosyloxy ) hexanoate],麥芽酚-β-D-吡喃葡萄糖甙(maltol-β-D-glucopyranoside),5-羥甲基-2-糠醛(5-hydroxy methyl-2-furfural),甘油(glycerin),琥珀酸(succinic acid),尖葉土杉甾酮(ponasterone)A,蛻皮甾酮(ecdysterone),蛻皮素(ecdysone)和多糖。

 

공효(功效)

청열해독(淸熱解毒);거어지혈(祛瘀止血);살충(殺蟲)

 

 

과속분류(科屬分類)

紫萁科

 

 

주치(主治)

류감(流感);류뇌(流腦);을뇌(乙腦);시선염(腮腺炎);옹창종독(癰瘡腫毒);마진(痲疹);수두(水痘);이질(痢疾);토혈(吐血);육혈(衄血);변혈(便血);붕루(崩漏);대하(帶下);요충(蟯蟲);조충(絛蟲)等 장도기생충(腸道寄生蟲)병

 

 

생태배경(生態環境)

生於林下、山腳或溪邊的酸性土上。

 

 

채수와저장(采收和貯藏)

春、秋季采挖根莖,削去葉柄、須根,除淨泥土,曬幹或鮮用。

 

 

선방(選方)

《爾雅》:“藄,月爾也。”郭璞注:“即紫藄也,似蕨可食。”蓋萁爲蕨類,以其色紫,故名紫萁、紫蕨。以蕨名萁者,猶厥之訓其也。“月爾”爲聯綿詞。《後漢書·馬融傳》:“茈萁、芸蒩。”萁藄、茈紫俱聲偕字。由此紫藄亦可寫作紫萁。蕨基乃藄蕨之倒呼,基爲藄、萁之音轉。其須根密生,以形狀之,而有毛老鼠、毛狗子之名。

 

용약금기(用藥禁忌)

脾胃虛寒者慎服。

 

 

 

 

공효분류(功效分類)

청열해독약(淸熱解毒藥);거어지혈약(祛瘀止血藥);살충약(殺蟲藥)

 

 

포제방법(炮制方法)

1.紫萁貫眾:取原藥材,除去雜質,洗淨,潤透,切厚片或小塊,幹燥。

  

2.紫萁貫眾炭:取紫萁貫眾塊(片),置鍋內,用武火炒至表面呈焦黑色、內部呈棕褐色時,噴淋少許清水,熄滅火星,取出涼透。

  飲片性狀:紫萁貫眾參見“藥材鑒別”項。紫萁貫眾炭形如紫萁貫眾,表面焦黑色,內部棕褐色,質脆易碎。 貯幹燥容器內,紫萁貫眾炭攤晾散熱,防複燃。

 

 

 

성미(性味)

苦;微寒;有小毒

 

 

 

약재기원(藥材基源)

爲紫萁科植物紫萁的根莖及葉柄殘基。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湯,3-15g;或搗汁;或入丸、散。

외용:適量,鮮品搗敷;或研末調敷。

 

 

&&&&&&&&&&&&&&&&&&&&&&&&&&&&&&

 

 

자기묘(紫萁苗)

 

Osmunda japonica Thunb.

 

 

공효(功效)

지혈(止血)

 

 

과속분류(科屬分類)

紫萁科

 

 

주치(主治)

외상출혈(外傷出血)

 

채수와저장(采收和貯藏)

春季采收,洗淨,鮮用或曬幹。

 

식물형태(植物形態)

多年生草本,高30-100cm。根莖粗壯,橫臥或斜升,無鱗片。葉二型,幼時密被絨毛;營養葉有長柄,葉片三角狀闊卵形,長30-50cm,寬25-40cm,頂部以下二回羽狀,小羽片長圓形或長圓狀披針形,先端鈍或尖,基部圓形或寬楔形,邊緣有勻密的細鈍鋸齒。孢子葉強度收縮,小羽片條形,長1.5-2cm,沿主脈兩側密生孢子囊,形成長大深棕色的孢子囊穗,成熟後枯萎。

 

공효분류(功效分類)

지혈약(止血藥)

 

성미(性味)

苦;微寒

 

 

약재기원(藥材基源)

爲紫萁科植物紫萁的嫩苗或幼葉柄上的綿毛。

 

 

용법용량(用法用量)

외용:適量,鮮品搗敷;或幹品研末敷。

출처

《중화본초》

'백두산 본초 이야기 > 백두산 본초 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라(松蘿) /화송라(花松蘿)  (0) 2013.06.20
고비고사리 /흑호칠(黑虎七)  (0) 2013.06.20
별갑(鼈甲)  (0) 2013.06.17
구척(狗脊)  (0) 2013.06.10
긴꽃고사리삼/ 조지호(抓地虎)  (0) 2013.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