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7. 7. 06:46ㆍ백두산 약술&효소이야기/효소& 고(膏)자료
위의 꿀은 피나물 꿀인데(작년의 사진), 올해는 해갈이가 심하여 피나무 꿀이 구하기 어렵습니다.
어떠한 가공도 하지 않은 꿀에서 ... 죽은 벌의 시체등을 건져 내고 ....이러한 형식으로 몇 년을 보관하여 보니 꿀의 경우는 향도 강해지면서, 농도 또한 진해 집니다. 그리고, 나무 꽃에서 채취한 꿀은 순정할 수록 응고 되지 않습니다. 동의보감에도 오래 된 꿀이 좋다는....
댕댕이나무열매에 꿀을 부어.. 인위적으로 어떠한 환경을 맞추는 것 보다는 자연과 시간에 맡기면 좋은 성분이 함유된 효소로 거듭 탄생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위의 것은 작년의 것인데, 현재 일년이 되어 갑니다. 후기의 사진은 다음 게시물에 ...
전에 건조한 것에 꿀을 넣어 담아 몇 년을 보관하면서 어려 실험을 하여 보았는데, 술을 먹기 전에 효소를 물에 타서 한잔 마시고, 또다른 경우 술을 마신 후 한 잔등( 숙취를 해소 할 수 있는 본초가 많지만, 몇 가지 예를 들면, 웅담의 공력을 10이라고 보면 위의 공력은 8정도 황백의 경우는 5정도, 보이차의 경우 3정도 잘 알고 계시는 산청목의 경우는 1정도로 추정을 합니다.(저의 관점) ... 술의 해독의 능력이 뛰어납니다. 어린이의 경우 밥 등을 잘 안 먹는 경우 간에서 위를 평정하는 기운이(뜻을 이해 할 수록 표현: 즉 위의 주는 간으로(내경)) 강하여 밥을 찾는 것을 봅니다.
댕댕이나무 열매는 람전과라고 하여
중화본초에서은 아래와 같이 소개를 합니다.
공효(功效)
청열해독(淸熱解毒);산옹소종(散癰消腫)
과속분류(科属分类)
忍冬科
주치(主治)
정창(疔瘡);유옹(乳癰);장옹(腸癰);단독(丹毒);습열이질(濕熱痢疾)
채수와저장(采收和貯藏)
8-9月果实成熟后采集,쇄간(晒干)。
공효분류(功效分類)
청열해독약(淸熱解毒藥);산옹소종(散癰消腫)약
성미(性味)
味苦;性凉
&&&&&&&&&&&&&&&&&&&&&&&&&&&&&&&&&&&&&&&&&&&&&&
그리고 위의 것을 소개한 것은
考 证】:始载于《长白山西南坡野生经济植物志》。
공효(功效)
청열해독(淸熱解毒)。
주치(主治)
정창(疔瘡)、유옹(乳癰)、장옹(腸癰)、단독(丹毒)等 열독창양증(熱毒瘡瘍症)。
성미(性味)
苦,凉。
귀경(歸經)
心、大肠二经。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汤,6一12克。
&&&&&&&&&&&&&&&&&&&&&&&&&&&&&&&&&&&&&&&&&&&&&&&&&&&&&
옛날의 의자(醫者)는 스스로 채취(採取)법을 알고 음건(陰乾), 폭건(暴乾)도 법대로 하고 산지를 가려 약(藥)을 사용하였으므로 십중팔구(十中八九)는 반드시 그 병(病)을 치료(治療)할 수 있었다. 요즘 의자(醫者)는 채취(採取)하는 시절(時節)도 모르고 생산(生産)되는 토지(土地), 신(新), 진(陳), 허(虛), 실(實) 어느 하나도 모르므로 십중(十中) 오(五)도 치유(治癒)하지 못한다.
-손사막(孫思邈 581 ~ 682)-
약 1600 이전의 분으로 2012년 현재에서 윗 글을 보시면 .....
식품의 개념으로 복용을 하는 경우는 많은 부분을 참고 하지 않지만, 질환을 치유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본초의 관점으로는 위 내용처럼 많은 부분을 참고 하면서 지식이 일천한 사람은 더욱 지식을 쌓아 세심하게 살피고 고찰하여 본초를 선택하여 사용해야 질환등에 적중할 것입니다.
'백두산 약술&효소이야기 > 효소& 고(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래열매, 장뇌삼, 피나무꿀 효소 (0) | 2012.07.07 |
---|---|
댕댕이나무 열매효소(소량) (0) | 2012.07.07 |
서양삼효소(+인삼) (0) | 2007.10.11 |
지종삼효소 (0) | 2007.10.09 |
생열귀효소 (0) | 2007.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