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굽버섯/ 목제층공균(木蹄层孔菌)

2012. 1. 31. 18:09백두산 버섯 이야기/자연의 항암 버섯

목제(木蹄)

Pyropolyporus fomentarius(L.ex Fr) Teng[Boletus fomentarius L.;Polyporus fomentarius Fr.;Fomes fomenarius(L.ex Fr.)Fr.]

 

별명(別名)

화균지(樺菌芝)

 

약리작용(藥理作用)

木蹄可显著提高实验小鼠减压缺氧的耐受能力,延长其存活时间,具有抗疲劳、抗高温的作用。并且能影

响缺氧机体肠系膜微循环的流速、流态,对微循环具有改善作用。

 

약화학성분(藥化學成分)

含7,22-麦角甾二烯-3-酮(ergosta-7,22-dien-3-one),辅酶 Q9(coenzyme Q9),乙酰齐墩果酸(O-

acetyloleanolicacid),麦角甾醇(ergosterol),5α,8α-环二氧-6,22-麦角甾二烯-3β醇(5α,8α-

epidioxyergosta-6,22-dien-3β-ol),白桦脂醇(betulin),4,6,8(14),22-麦角甾四烯-3-酮[ergosta-4,6,8(14),22-tetraene-3-one],5,6-二四氧基2-苯并[c]呋喃酮(5,6-dimethoxyphtha-lide),6-甲酰基2-苯并[c]

呋喃酮(6-carbomethoxyphtha-lide).

 

공효(功效)

소적(消積);화어(化瘀);항암(抗癌)

 

주치(主治)

 

식적(食積);식관암(食管癌);위암(胃癌);자궁암(子宮癌)

 

채수와저장(采收和貯藏)

 

6-7월채수,제거잡질,쇄간(晒干)。

 

식물형태(植物形态)

子实体多年生。木质,半球形至马蹄形,或呈吊钟形,(5-20)cm×(7-40)cm,厚约3-20cm。无柄,侧

生。菌盖光滑,无毛,有坚硬的皮壳,鼠灰色、灰褐色至灰黑色,断面黑褐色,有光泽,有明显的同心环

棱。

盖缘钝,黄褐色。菌肉暗黄色至锈色、红褐色,分层,软木栓质,厚0.5-3.5cm,无光泽。菌管多层,层次

明显,每层厚0.5-2.5cm,管壁较厚,灰褐色;管口圆形,较小,每1mm间3-4个。管口面灰色至肉桂色,

凹陷。孢子长椭圆形至棱形,表面平滑,无色,(10-18)μm×(5-6)μm。

 

공효분류(功效分類)

 

소적약(消積藥);화어약(化瘀藥);항암약(抗癌藥)

 

생약재감정(生藥材鑑定)

性状鉴别 子实体无柄。菌盖 마제형,장경3-40cm,短径2-27cm,厚2-18cm。表面有厚角质皮壳,회

색、천갈색 혹 흑색,光滑,有明显的同心环棱纹。

 

관구면 천갈색或회색,관구원형,每1mm间3-4个。纵剖面可见菌管多层,每层厚5-25mm。木栓质。气

微,味淡。

 

성미(性味)

 

微苦;性平

 

약재기원(藥材基源)

为多孔菌科真菌 목제층공균의자실체。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汤,12-15g。

 

출처

《중화본초》

 

 

 

 

中文学名 木蹄层孔菌

 

拉丁学名 Fomes fomentarius (L.: Fr.) Kick.

中文别名 木蹄

 

同物异名 Polyporus fomentarius L.: Fr.

 

Pyropolyporus fomentarius (L.: Fr.) Teng

木蹄层孔菌 : 1. 子实体, 2. 孢子

 

分类地位 非褶菌目、多孔菌科、层孔菌属

 

형태특정(形态特征)

子实体大至巨大,马蹄形,无柄,多呈灰、灰褐、浅褐色至黑色,8-42 cm×10-64cm,厚5-20cm,有一

层厚的角质皮壳及明显环带和环棱,边缘钝。菌管多层,管层很明显,每层厚约3-5mm,锈褐色。菌肉软

木栓质,厚0.5-5cm,锈褐色。管口每毫米3-4个,圆形,灰色至浅褐色。孢子长椭圆形,无色,光滑,

14-18μm×5-6μm。

生态习性 此种多年生。生于栎、桦、杨、柳、椴、榆、水曲柳、梨、李、苹果等阔叶树干上或木桩上。往

往在生境阴湿或光少的生境出现棒状奇形子实体。

 

경제용도(经济用途)

药用有消积化瘀作用,其味微苦,性平。

 

试验对小白鼠肉瘤180的抑制率达80%。

 

治疗食道癌、胃癌、子宫癌等。属木腐菌,引起立木、倒木、枯木木材白色腐朽。

 

 

 

 

흔히 말굽버섯이라고 부르는 버섯과 혼동을 하시면 안됩니다. 본초는 학명등 정명을 확인하여 사용하

시는 것이 좋습니다.

 

본초에 대한 인터넷 공간에는 약초전문가, 약초관련 연구소, 약재 유통회사, 의료인등...참으로 많은 분들의 정보가 있습니다. 참고로 본초에 대한 것은 글쓴이의 이해 관계, 그리고 알고 있는 지식의 수준에

서 객관적인 내용이 다수를 이루는 것을 잘 아실 것입니다. 그래서 정보의 허(虛)와 실(實)을 구분하여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을 드리고 싶습니다.

본초에 대한 이해는 다른 나라 사람과 소통하기 위해서 언어, 문화 등.. 새롭게 접근해야 배워야 하듯이

본초 또한 그와 같은 개념으로 접근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황제내경 소문을 보시면 “一曰治神, 二曰

知養身, 三曰知毒藥爲眞, 四曰制砭石小大, 五曰知府藏血氣之診. 五法俱立, 各有所先.” 치병하시는 분께

서는 문헌을 깊이 생각하여 보셔서, 본초의 이용을 독이 아닌 약이 되는 방법으로 사용 하셨으면 합니다.)

 

 

 

 

 

 

 

'백두산 버섯 이야기 > 자연의 항암 버섯'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령   (0) 2012.01.31
흰구름송편버섯   (0) 2012.01.31
달걀버섯   (0) 2012.01.31
곰보버섯  (0) 2012.01.30
보리볏짚버섯   (0) 2012.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