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충(본경)

2025. 2. 22. 22:57[신농본초경]/상경(上經)

두충(본경)

 

 

 

 

두충

 

학명:Eucommia ulmoides Oliv.

분류군:Eucommiaceae(두충과)

일명: トチュウ

영명: Eucommia

 

 

 

잎은 어긋나기하며 길이 5~16cm, 2~7cm의 타원형이고 넓은 예저, 둔저 또는 예저이며 끝이 갑자기 좁아져서 뾰족해지고 양면에 털이 거의 없으나 5-6쌍의 뚜렷한 잎맥 위에는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예리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정도로 잔털이 있다.

처음 미모가 있다가 나중에 없어진다.

 

열매

열매는 10-11월에 익고 편평한 긴타원모양으로 날개가 있는 시과(翅果)인데 느릅나무 종자와 비슷하다. 날개와 더불어 대를 제외한 길이가 3-3.5cm이고 중앙부의 나비가 1cm이며 대는 길이 6mm정도이다. 열매를 자르면 고무같은 점질의 실이 나온다.

 

꽃은 자웅이가화로서 5월에 꽃이 핀다. 화피가 없으며 수꽃은 화경과 4-10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짧은 화경이 있으며 새가지 밑부분에 달린다. 씨방은 2개의 심피가 합쳐지고 1개의 방은 퇴화되어 1실로 되며 끝이 2개로 갈라져서 암술머리로 된다.

 

줄기

통직하며 많은 가지를 내고 나무껍질은 갈색을 띠는 회백색이다.

 

원산지

중국 특산.

 

분포

경기, 강원, 충북, 경북 등지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형태

낙엽활엽교목.

 

크기

수고 15m, 직경 40cm.

 

 

 

생육환경

추위에 어느 정도 견디므로 우리 나라 대부분 지역에서 재배가 가능하다.

 

토양수분이 많은 비옥지로서 토심이 깊고 배수가 잘되는 사질양토가 적지이며 산지에 있어서는 계곡간 또는 산록의 완경사지, 개간지, 평지는 하천유역, 퇴적층, 농경지 주위의 비옥한 곳 등이 적지이고 도심지에서도 생장이 양호한 편이다.

 

기상조건은 원산지와 비교할 때, 난대수종인 차나무나 동백나무의 기후상 분포와 일치하는 지역이 적지이지만 서울지방도 최저기온이 원산지의 북단지역을 제외하고는 모든 지역이 재배가 가능하다.

 

 

/번식방법

 

증식방법은 종자로 번식하는 실생법과 삽목법이 있다.

1.실생번식 : 보통 10년생 내외가 되면 결실을 시작하여 매년 좋은 결실을 보임으로 종자에 의한 방법이 일시에 다량의 묘목을 얻을 수 있고 간편하다. 10월에 종자를 채취하여 12월중 노천매장 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온실내에서 11월에 직파하면 다음해의 3월에 발아한다.

2.삽목번식 : 삽목발근율이 나쁘다. 6-7월에 가지삽목을 하면 발근이 어느 정도 된다고 한다.

 

/번식방법

 

1)재배기술

 

종자준비: 낙엽이 진후 10월 하순경 완숙한 종자를 채취한다.

 

포장준비: 파종상은 관배수가 양호한 사질양토의 포지에 당 요소 30g, 중과석 70g,염화가리 15g, 퇴비 3, 헵타크롤 5g을 고르게 뿌린 후 갈아 엎고 밭은 폭 1m, 작업보도 50, 상높이 10의 상으로 만든다.

 

씨뿌리기: 10.2의 종자를 흩어 뿌리거나 10-12간격으로 골을 파고 종자를 골에 뿌린 다음 1-1.2두께로 고은 흙을 덮은 뒤 가볍게 다진다.

 

모판관리: 100본이 잔존되도록 2-3회 걸쳐 솎음질을 하고 제초를 실시한다. 추비는 6월 중순이전에 가뭄이 적은 시기에 당 요소 15g을 준다.

 

월동묘목관리: 1년생 묘목은 가을철 낙엽 후 굴취하여 심층가식한다.

 

옮겨심기: 대부분 이듬해 봄 일찍 이식하여 2년생묘로 양성한다.

 

식재방법: 시기는 중부지방에서 3월 하순-4월 상순이 적기이고 식재본수는 10a300-500본으로 밀식하는것이 유리하다.

 

2)관리: 식재 후 5년간은 6월과 8월 중순 2회에 풀베기를 하고 가지치기고 밑부분을 전정해 준다. 6월 중순이전에 고형 복합비료를 본당 60g씩 준다.

 

3)수확: 8-10, 늦어도 12년생에서 벌채하여 수확할 수 있다. 수확은 개벌하는 것이 아니라 격열로 택벌식 벌채하여 맹아로 후계수를 키우는 것이 좋다.

 

결실기

9, 10

 

이용방안

 

주요 조림수종 : 특용수종

정원수로 심고 있다.

나무껍질은 杜庶(두충), 어린 잎은 면아라 하며 약용한다.

 

 

杜庶(두충)

 

4월 상순에서 6월 중순 사이에 12-15년 이상된 나무껍질을 벗겨 粗皮(조피)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 통풍이 잘되는 곳에 두고 건조한다.

 

성분 : 나무껍질에는 gutta-percha6-10% 함유되었고 根皮(근피)에는 10-12%가 함유되었는데 이것은 ethylalcohol에는 잘 용해되지만 물에는 용해되지 않는 硬性植物性(경성식물성) 혀ㅡ()이다. 이외에 배당체 0.142mg%, alkaloid 0.066mg%, pectin 6.5mg%, 지방 2.9mg%, 樹脂(수지) 1.76mg%, 유기산 0.25mg%, ketose(가수분해 전 2.15mg%, 가수분해 후 3.5mg%), 비타민C 20.7mg%, aldose, chlorogen()이 함유되었다. 종자에 함유된 脂肪油(지방유)를 구성하는 지방산은 linolen() 67.38%, linol() 9.97%, olein() 15.81%, stearin () 2.15%, palmitin() 4.68%이다. 과실에 함유되어 있는 膠質(교질)()27%에 달하는 데 ethylalcohol, aceton 등의 유기용액에는 잘 녹는다.

 

약효 : 補肝(보간), 補腎(보신), 强筋骨(강근골), 安胎(안태)의 효능이 있다. 腰背酸痛(요배산통), 膝痲痺(슬마비), 殘尿(잔뇨), 陰下濕痒(음하습양), 胎漏欲墮(태루욕타-여자의 부정출혈, 早流産(조유산)), 고혈압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술에 담가 복용하거나 丸劑(환제)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면아

 

두충나무의 처음 나온 어린 잎이다.

 

성분 : 잎에는 guttapercha dir 3%, alkaloid 0.028%, glucoside 0.072%, pectin 7.3%, 지방 2.2%, 樹脂(수지) 1.48%, 유기산 1.49%, ketose(가수분해 전 3.6%, 가수분해 후 5.2%), aldose 0.95%, 비타민C 48mg%caffeine(),chlorogen(), tannin이 함유되어 있다. 배당체 중에는 aucubin이 있고 樹脂(수지) 중에는 phytosterol, 유기산 중에는 사과산, 주석산, fumal() 등이 들어 있다.

 

약효 : 風毒脚氣(풍독각기)久積風冷(구적풍냉), 腸痔下血(장치하혈)을 치료한다. 건조하여 粉末(분말)하거나 湯劑(탕제)로 하여 복용한다.

 

 

유사종

두충의 대용품으로 속()이 다른 화두충사철나무, 대만두충나무가 있다.

 

특징

 

1926년 당시 임업시험장 촉탁이며 동경대학 교수였던 나까이 박사가 최초로 도입하여 홍릉에 있는 임업연구원 수목원에 심었다.

 

세계적으로 111종밖에 없는 중국 특산이다. 현재 중국 중남부의 각성() 일대에서 다량 재배되고 있다.

 

초겨울까지 파란 잎이 무성하며 가지, , 나무껍질을 자르면 고무같은 점질의 실이 나온다.

 

 

병충해정보

병해: 갈색무늬병, 모잘록병, 탄저병.

충해: 선충.

 

 

 

 

 

 

학명 Eucommia ulmoides Oliv.

Icones plantarum plates 20: (1890)

 

1. Eucommia ulmoides var. yunnanensis H.Lev.

Catalogue des plantes de Yun-Nan 174 (1916)

1) Bibliography of Cultivated Trees and Shrubs, Hardy in the Cooler Temperate Regions of the Northern Hemisphere (Rehder, 1949)

 

문헌정보

기재문

문헌명 : Icones plantarum plates 20:

 

국명 두충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북한명

외국명 영문명

Eucommia

일본명

トチュウ

 

 

 

Eucommia ulmoides Oliv.

Hooker's Icon. Pl. 20(2): t. 1950. 1890 [Sep 1890] ; addit. publ.: 24(3): t. 2361. Apr 1895.

20(2): t. 1950 1890

Distribution:

Hubei (China, Asia-Temperate)

 

Type Information

Locality:

"Province Hupeh: cultivated in the Districts of Changyang and Patung ... 'occurred wild in Fang and other Districts to the north,' Dr. A. Henry (Nos. 3182, 4683, 7926)"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두중(杜仲) Eucommia ulmoides Oliv.

 

 

落叶乔木高达20树皮灰色折断有银白色细丝叶椭圆形或椭圆状卵形6-18厘米3-7.5厘米边缘有锯齿下面脉上有毛叶柄长1-2厘米花单性雌雄异株无花被常先叶开放生于小枝基部雄花具短梗长约9毫米雄蕊6-10花药条形花丝极短雌花具短梗长约8毫米子房狭长顶端有2叉状柱头1胚珠2,翅果狭椭圆形长约3.5厘米分布在长江中游各省生山地林中或栽培杜仲所产的硬橡胶为制海底电缆和粘着剂等的重要材料树皮入药补肝肾强筋骨治腰膝痛高血压等症木材可制家具和供建筑用种子可榨油

 

 

按省份分布

陕西省,浙江省,四川省,贵州省,云南省,湖北省,广西壮族自治区,江西省,湖南省 ,江苏省,河南省,安徽省,,海南省,广东省,山西省,甘肃省,湖北,北京,湖南

 

 

 

 

^^^^^^^^^^^^^^^^^^^^^^^^^^^^^^^^^^^^^^^^^^^^^^^^^^^^^^^^^^^^^^^^^^^^^^^^^^^

 

 

杜仲

 

味辛平

 

 

主腰脊痛補中益精氣堅筋骨強志除陰下癢濕小便餘瀝久服輕身耐老一名思仙生山谷

 

吳普杜仲一名木綿一名思仲。(《御覽》)

 

名醫一名思仲一名木綿生上虞及上黨漢中二月五月六月九月採皮

 

廣雅杜仲曼榆也。《博物誌杜仲皮中有絲折之則見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상경(上經)]

'[신농본초경] > 상경(上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호(본경)  (0) 2025.02.22
옥죽(玉竹)[본경]  (1) 2024.11.05
적석지(본경)  (0) 2024.10.27
택사(본경)  (0) 2024.10.26
천궁(본경)  (0) 2024.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