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나무버섯

2024. 9. 10. 20:39백두산 본초 이야기/백두산 약초

자작나무버섯

 

 

 

Piptoporus betulinus (Bull. & Fr.) Karst.

 

잔나비버섯과

 

 

 

버섯의 색

 

발생 계절

일년내내

 

발생 형태

숲속의 고목, 산나무의 껍질에 단생

 

분포지역

전국

 

자실체형태

옆으로 굵고 짧은 자루를 붙이며 수평으로는 큰균모를 편다.균모는 콩팥형 또는 편평한 둥근산모양.

 

자실체크기

10~28cm, 두께 2~5cm

 

자실체조직

백색이고 치밀하며 가죽감촉이 있다

 

자실체표면

얇은 표피가 있고 매끄럽고 담배색, 표피가 벗겨지고 흰살을 나타내며 가장자리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진다.

 

자실층

관은 길이 3~10mm이고 황백색이며 구멍은 작고 원통형이며 1mm사이에 3~4개가 있다.

 

없다

 

포자특징

원통형이고 4~5 x 1.5~2

 

특징

갈색부후균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화적공균(桦滴孔菌) 화박관균(桦剥管菌)

 

Piptoporus betulinus (Bull.) P. Karst. 1881

 

 

이명(异名)

 

Boletus betulinus Bull. 1788

Ungularia betulina (Bull.) Lázaro Ibiza 1916

Ungulina betulina (Bull.) Pat. 1900

Agarico-pulpa pseudoagaricon Paulet 1793

Boletus suberosus Wulfen 1786

Polyporus betulinus (Bull.) Fr. 1815

Placodes betulinus (Bull.) Quél. 1888

Fomes betulinus (Bull.) Fr. 1890

 

 

 

 

화박관균(桦剥管菌)

 

Pipktoporus betulinus (Bull.:Fr.)Karst.

 

 

별명(別名)

 

桦孔菌桦滴孔菌桦多孔菌

 

 

분포지구(分布地区)

 

主要分布于黑龙江吉林辽宁内蒙古甘肃四川等地区

 

과속분류(科属分类)

 

真菌门Eumycota担子菌亚门Basidiomycotina层菌纲Hymenomycetes非褶菌目Aphyllophorales多孔菌科Polyporaceae

 

 

 

성상개소(性状介绍)

 

 

子实体中等至较大无柄或几乎无柄菌盖近肉质至木栓质扁半球形扁平靠基部着生部分常凸起4-24×5-35cm,2-10cm表面光滑初期污白褐后呈褐色有一层薄的表皮可剥离露出白色菌肉边缘内卷菌肉很厚近肉质而柔韧干后比较轻,为木栓质菌管层色稍深菌管长2.5-8mm易与菌肉分离管口小而密近圆形或近多角形每毫米34靠近盖的边沿有一圈不孕带

 

 

생장배경(生长环境)

 

生长在桦木属(Betulina)的树干上一年生

 

성분약리(成分药理)

 

该菌子实体内有蹄酸菌ungalinic acid对化脓小球菌有拮抗作用能抑制绿脓杆菌和粘质沙雷菌的生长还对金葡菌枯草杆菌和耻垢分支杆菌有抑制作用

 

子实体的热水提取液加乙醇结晶对小白鼠肉瘤S-180的抑制率为49%子实体的热水提取物加40%NaOH及乙醇后所获得的沉淀物对小白鼠肉瘤S-180抑制率为72%

 

从此菌可分离到多孔菌酸polyporenic acidABC可抑制分枝杆菌的生长

 

此菌可抗小白鼠及猴子的脊髓灰质炎

 

 

성미(性味)공용(功用)

 

소염살균(消炎殺菌)억제종류(抑制肿瘤)척수회질염(脊髓灰质炎/Poliomyelitis/소아마비)치료

 

 

 

 

 

 

 

 

 

자작나무버섯의 화학성분: 항간균 성분인 Polyporenic A,B,C가 들어 있고, 1, 3-beta-O-glucopyranan, B ergosta-7,22-dien-3-ol, fungisterol, ergosterol, agaric acid, dehydrotumulosic acid, 항구균 성분인 ungalinic acid, betulinic acid, tumulosic acid, 4-methylmorpholine-N-oxide, methyl sulfoxide로 용해할 수 있는 glucan, piptamine와 그 밖의 여러 종류의 lanostanoid가 들어 있다. 지방산 9종 외에도 아라비톨, 마니톨, 글리세롤, 글루코스, trehalose, 옥살산이 들어 있다.

 

 

자작나무버섯의 약리작용으로 우선 항종양 작용을 가지고 있다. 독일에서 실험한 바에 따르면 자작나무버섯 추출물은 sarcoma 180 종양 49.2%의 억제율을 보여주었고, 4% sodium hydroxide와 에타놀 precipitate 을 이 버섯 뜨거운 물 추출물에 첨가하였더니 72% 억제율을 보여주었다. 특히 펜타씨클릭 트리터핀(pentacyclic triterpenes)은 항종양 효과가 있다. 폴란드에서 연구한 바에 따르면 이 추출물은 질 종양을 가진 개 암컷에게 경구 투여 하였더니 5주 안에 완전한 차도를 보였다고 한다. 이미 반세기 전에 이 성분이 악성 종양에 효력이 있다는 것이 보고된 바 있으나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한다. 2002Kawagishi 등은 종양 형성에 관련된 효소 억제성분을 가진 새로운 hydroquinione를 발견하였다. betulinic acidbetulin 성분은 차가버섯이나 다른 항암작용이 있는 버섯과 마찬가지로 흑생종 피부암 (melanoma cancer) 세포를 파괴하였는데 다른 건강한 세포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항균,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어서 자작나무버섯에서 추출한 리보 핵산 RNA는 바이러스 감염 증식 억제 물질인 인터페론 생산을 유도하여 쥐에게 주사하였을 때 바이러스로부터 보호해 준다. polyporenic acid는 다양한 항염 작용을 가진 세균발육 억제제이다. 화상을 입은 쥐의 화상 초기에 코티손보다도 더 강력한 항염작용을 보여준다고 한다. piptamine이라는 성분은 새로운 항생물질로 황색포도상구균, 장구균(Enterococcus faecalis), 대장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보여주었다. ungalinic acid는 화농성미구균(Micrococcus pyogenes)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다. 2009년에는 10여종의 버섯들이 보여주는 항균작용을 검토해 본 결과 자작나무버섯이 가장 강력한 항균작용을 보여주었다.

 

 

polyporenic acid C는 박테리움 라세노숨(Bacterium racenosum) 성장을 억제하는 성분이다. polyporenic acid B는 더 연구가 필요하다. 1.3-beta-D-glucopyranans성분은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에 들어 있는 schyzophyllan 성분과 같은 성분이라고 한다. 쥐에게 혈관 투여로 진드기매개뇌염(~媒介腦炎) 바이러스 K5로 말미암는 치명적 염증을 막아주었다. 쥐와 원숭이에게 실험 결과 급성 회백수염(灰白髓炎), (척수성) 소아마비 발병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 자작나무버섯에서 분리한 핵산은 우두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다. 그밖에도 약하기는 하지만 모기가 매개하는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외에 여러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다. 2000년도 Suay 등은 황상포도상구균, 포도상구균, 바실러스 메가테리움에 대한 강한 억제작용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Paul Stamets는 탄저균(anthrax, B. anthracis)에 대한 억제 작용이 있다 하였고 그 밖에도 여러 사람들이 자작나무버섯에 항균작용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백두산 본초 이야기 > 백두산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용버섯 채취  (0) 2024.09.10
잔나비불로초/수설(树舌)  (2) 2024.09.10
구름송편버섯 /운지(雲芝)  (1) 2024.09.10
가래나무열매  (0) 2024.09.10
흑삼차  (0) 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