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관초(老鹳草)[약전]

2024. 6. 4. 10:42[약전등]/약전

노관초(老鹳草)[약전]

 

 

 

쥐손이풀/노관초(老鸛草)

 

 

쥐손이풀

 

이명 : [손잎풀]

학명 : Geranium sibiricum L.

분류군 : Geraniaceae(쥐손이풀과)

일명 : イチゲフウロ(Ichige-furo), フウロソウ風露草 ; Furoso)

영명 : Siberian Cranesbill

 

경생엽은 대생하며 줄기 하부의 잎과 근출엽은 긴 엽병이 있다. 엽신은 길이 3-6cm, 4-8cm의 오각상 신원형이고 표면에 복모가 있으며 뒷면 특히 맥 위에 퍼진 털이 있고 깊게 5개로 갈라진다. 열편은 좁은 능형이며 다시 3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결각상 또는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탁엽은 피침형으로 서로 떨어지고 폭이 좁으며 갈색이다.

 

열매

삭과는 길이 1.5-1.8cm이며 털이 있고 7-8월에 익으며 밑으로부터 5조각이 증축에서 벌어진다.

 

꽃은 6-8월에 피며 지름 10mm로서 5개이고 연한 홍색 또는 홍자색이며 화경은 줄기나 가지 윗부분 엽액에서 나오고 끝에 꽃이 한개씩 달리지만 밑부분에서는 2개의 소화경으로 갈라져서 각각 1개의 꽃이 달린다. 소화경은 꽃이 핀 다음 화경끝에서 굽으며 꽃받침잎은 소화경과 더불어 털이 있고, 열편은 5개이고 길이 4mm가량이며 3맥이 있다. 꽃잎은 5개이며 도란형이고 길이 5mm가량이며 밑부분에 털이 있다. 수술은 10개이고 자방은 5실이다.

 

줄기

줄기는 가늘며 눕거나 비스듬히 자라고 엽병과 더불어 거슬러 난 털이 있다.

 

뿌리

육질 원추상 원주형의 홍갈색을 띤 뿌리가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몽골, 중앙아시아,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가 30-80cm 정도로 자란다.

 

 

 

 

생육 환경

길가나 인가 주변의 빈터, 평지 및 산야에서 자란다.

결실기

7, 8

 

이용방안

 

쥐손이풀 및 이질풀의 同屬 近緣植物(동속 근연식물)의 과실이 달린 全草(전초)를 노관초라 하며 약용한다.

 

여름에서 가을철 과실이 익기 전 지상부위 또는 뿌리째 뽑아서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성분 : 국화쥐손이에는 精油(정유)가 함유되어 있고 정유 중의 주요성분은 geraniol이며 이외에 quercetin 기타의 색소가 함유되었다. 이질풀의 전초에는 tannin, 沒食子酸(몰식자산), 호박산, quercetin 및 그 배당체 등이 함유되었고 tannin은 잎 중에 가장 많이 함유되었는데 그 함유량은 계절에 따라 변화하며 보통 12월에서 다음해 2월까지가 가장 적고 그 후부터 서서히 많어져서 6-8월에 최고가 된다. 이외에 잎에서 kaempferitrin을 추출해 낼 수도 있다.

 

약효 : 祛風(거풍), 活血(활혈),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즘에 의한 疼痛(동통), 拘攣痲木(구련마목-경련과 마비), 癰疽(옹저-화농성종양), 타박상, 장염, 이질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6-15g을 달여서 또는 술에 담그거나 煎液(전액)을 졸여서 膏劑(고제)로 하여 복용한다.

 

 

 

 

학명 Geranium sibiricum L.

Sp. pl. 683 (1753)

1. Geranium fangii Knuth

Repert. Spec. Nov. Regni Veg. 4 : 218 (1936)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Geranium lavergneanum Lev.

Bull. Soc. Agr. Sci. & Art. Sarthe 59: 319 (190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Geranium lavergneanum var. cinerascens Lev.

Bull. Soc. Agric. Sci. Arts Sarthe 39: 319 (190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Geranium sibiricum for. glabrius Hara

J. Jap. Bot. 22: 169, 171 (194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5. Geranium sibiricum var. glabrius (Hara) Ohwi

Fl. Japan 704 (1953)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쥐손이풀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1. 손잎풀

영문명 : Siberian Cranesbill

일본명 : イチゲフウロ

북한명 : 쥐손이풀

 

Geranium sibiricum L.

Sp. Pl. 2: 683. 1753 [1 May 1753]

2: 683 1753

Original Data:

Notes: Europ. or.; As. bor

 

Linnaeus, Carl (1707-1778)

Standard Form:

L.

 

Alternative Names:

Linné, Carl von

 

Area of Interest:

Pteridophytes , Mycology , Bryophytes , Algae , Spermatophytes

 

Information Source:

CMI, Missouri Bryological list, Berkeley Algal list

 

Countries:

Sweden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서장노관초(鼠掌老鹳草)

Geranium sibiricum Linn.

 

 

이명(异名)

 

Geranium amurense Tsyren.

Geranium variabile Moench

Geranium acrocarphum Ledeb.

Geranium europaeum Popov ap. Bobrov in Kom. & al.

Geranium ruthenicum R. Uechtr.

Geranium sibiricum subsp. eusibiricum Gams in Hegi

Geranium sibiricum var. multiflorum Z.H. Lu

Geranium sibiricum f. glabrius H. Hara

Geranium sibiricum var. glabrius (H. Hara) Ohwi

Geranium sibiricum subsp. ruthenicum (R. Uechtr.) Nyman

Geranium sibiricum subsp. popovii Tzvelev

 

 

多年生草本30-100厘米根直立分枝或不分枝茎细长倒伏上部斜向上多分枝略有倒生毛叶对生基生叶和茎生叶同形宽肾状五角形基部宽心形3-6厘米4-8厘米掌状5深裂裂片卵状披针形羽状分裂或齿状深缺刻上下面有疏伏毛基生叶和下部茎生叶有长柄顶部的柄短花单个腋生花柄线状4-5厘米近中部有2披针形苞片有倒生微柔毛在果期向侧弯萼片矩圆状披针形长约4毫米边缘膜质花瓣淡红色长近于萼片蒴果长1.5-2厘米有微柔毛

 

分布于东北华北西北西藏四川湖北蒙古苏联及欧洲其他各国也有全草入药

 

 

&&&&&&&&&&&&&&&&&&&&&&&&&&&&&&&&&&&&&&&&&&&&&&&&&&&&&&

 

국화쥐손이/노관초(老鹳草)

 

국화쥐손이

 

이명 : [구와쥐손이] [쥐손이아재비] [갈래손잎풀]

학명 : Erodium stephannianum Willd.

분류군 : Geraniaceae(쥐손이풀과)

일명 : キクバフウロ(Kikuba-furo)

영명 : Common Herons bill

 

근출엽은 10cm에 이르는 엽병이 있으며 엽신은 2-3회 우상으로 갈라져 끝의 열편은 선형이며 가장자리에 결각상 치아가 있고 양면에 털이 성글게 있다. 경생엽은 마주나고 엽병이 짧으나 엽신은 역시 우상으로 작게 갈라진다.

 

열매

삭과는 긴 부리가 있고 짧은 복모로 덮여 7-9월에 익어 5조각이 중축에서 떨어지며 부리가 위로부터 아래로 용수철모양으로 달린다.

 

6-7월에 지름 1.5cm가량의 홍자색꽃이 엽액에서 산형화서로 핀다. 소화경에는 벌어진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의 타원형으로 길이 5-6mm이고 끝에 1개의 긴 까끄라기가 있다. 꽃잎은 5개의 도란형으로 짙은 자줏빛 맥줄이 있다. 수술은 10개이나 5개는 꽃밥이 없는 헛수술이다. 자방에는 긴 털이 있고 암술대는 5개로 길며 주두는 5가닥이다.

 

줄기

전체에 벌어진 털이 있다.

 

분포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 중앙아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1년생 또는 2년생 초본

크기

높이가 30-50cm 정도로 자란다.

 

 

 

 

 

생육 환경

비탈의 메마른 풀밭.

수분

건조

결실기

7, 8, 9

 

이용방안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쥐손이풀 및 이질풀의 同屬 近緣植物(동속 근연식물)의 과실이 달린 全草(전초)를 노관초라 하며 약용한다.

여름에서 가을철 과실이 익기 전 지상부위 또는 뿌리째 뽑아서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성분 : 국화쥐손이에는 精油(정유)가 함유되어 있고 정유 중의 주요성분은 geraniol이며 이외에 quercetin 기타의 색소가 함유되었다. 이질풀의 전초에는 tannin, 沒食子酸(몰식자산), 호박산, quercetin 및 그 배당체 등이 함유되었고 tannin은 잎 중에 가장 많이 함유되었는데 그 함유량은 계절에 따라 변화하며 보통 12월에서 다음해 2월까지가 가장 적고 그 후부터 서서히 많어져서 6-8월에 최고가 된다. 이외에 잎에서 kaempferitrin을 추출해 낼 수도 있다.

약효 : 祛風(거풍), 活血(활혈),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즘에 의한 疼痛(동통), 拘攣痲木(구련마목-경련과 마비), 癰疽(옹저-화농성종양), 타박상, 장염, 이질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6-15g을 달여서 또는 술에 담그거나 煎液(전액)을 졸여서 膏劑(고제)로 하여 복용한다.

 

 

학명 Erodium stephannianum Willd.

Sp. pl. 3: 632 (1800)

국명 국화쥐손이

1)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1. 갈래잎손잎풀

2. 구와쥐손이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쥐손이아재비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영문명 : Common Herons bill

일본명 : キクバフウロ

북한명 : 구와쥐손이풀

 

 

Erodium stephanianum Willd.

Sp. Pl., ed. 4 [Willdenow] 3(1): 625. 1800

3(1): 625 1800

Original Data:

Notes: Reg. Himal.; As. bor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방우인묘(牻牛儿苗)

Erodium stephanianum Willd.

 

 

이명(异名)

 

Geranium stephanianum Poir.

Erodium stephanianum var. atranthum Nakai ex Kitag.

Geranium stevenii (M.Bieb.) Poir.

 

 

 

一年生草本有时二年生),1545厘米平铺地面或稍斜升根直立细圆柱状茎多分枝有节有柔毛叶对生长卵形或矩圆状三角形长约6厘米二回羽状深裂羽片5-9基部下延小羽片条形全缘或有1-3粗齿叶柄长4-6厘米伞形花序腋生柄长5-15厘米通常有2-5花柄长2-3厘米萼片矩圆形先端有长芒花瓣紫蓝色长不超过萼片蒴果长约4厘米顶端有长喙成熟时5个果瓣与中轴分离喙部呈螺旋状卷曲

 

分布于东北华北西北西南云南西部和长江流域朝鲜苏联印度也有生于草坡沟边全草药用强筋骨去风湿并有清热解毒之效又可提取栲胶

 

 

 

&&&&&&&&&&&&&&&&&&&&&&&&&&&&&&&&&&&&&&&&&&&&&&&&&&&&&&

 

세잎쥐손이/노관초(老鹳草)

 

 

세잎쥐손이

 

이명 : [마디쥐소니] [세갈래쥐손이] [세잎손잎풀]

학명 : Geranium wilfordii Maxim.

분류군 : Geraniaceae(쥐손이풀과)

일명 : ミツバフウロ(Mitsuba-furo)

영명 : Wilford Cranesbill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길고 밑부분의 것 이외에는 3(간혹 5)로 깊게 갈라지며 폭 5-8cm로서 표면과 뒷면 맥 위에 복모가 있다. 열편은 마름모 비슷한 피침형이고 불규칙한 결각사의 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탁엽은 좁으며 서로 떨어진다.

 

열매

삭과로서 좁고 길며 5분과(五分果)로 개열한다.

 

꽃은 8월에 피고 지름 1-1.5cm이며 줄기 끝 엽액에서 긴 화경이 나와 화경끝에 1~2송이씩 달리는데 소화경은 다소 짧다. 꽃받침에 짧은 털이 있으며 꽃잎은 5개이고 연한 홍색이며 보다 짙은 색의 맥이 있고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10대의 수술이 있고 화주(花柱)5개이다.

 

줄기

마디가 굵고 높이 40-80cm이며 밑부분이 옆으로 엽병과 화경에 뒤로 꼬부라진 털이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만주, 중국, 아무르에 분포한다.

전남(지리산), 경남, 경북(금오산, 울릉도), 충북(속리산), 강원, 경기,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다년초.

크기

높이 40-80cm

 

 

 

생육 환경

산지에 난다.

/번식방법

종자 번식한다.

 

이용방안

쥐손이풀 및 이질풀의 同屬 近緣植物(동속 근연식물)의 과실이 달린 全草(전초)를 노관초라 하며 약용한다.

여름에서 가을철 과실이 익기 전 지상부위 또는 뿌리째 뽑아서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성분 : 국화쥐손이에는 精油(정유)가 함유되어 있고 정유 중의 주요성분은 geraniol이며 이외에 quercetin 기타의 색소가 함유되었다. 이질풀의 전초에는 tannin, 沒食子酸(몰식자산), 호박산, quercetin 및 그 배당체 등이 함유되었고 tannin은 잎 중에 가장 많이 함유되었는데 그 함유량은 계절에 따라 변화하며 보통 12월에서 다음해 2월까지가 가장 적고 그 후부터 서서히 많어져서 6-8월에 최고가 된다. 이외에 잎에서 kaempferitrin을 추출해 낼 수도 있다.

약효 : 祛風(거풍), 活血(활혈),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즘에 의한 疼痛(동통), 拘攣痲木(구련마목-경련과 마비), 癰疽(옹저-화농성종양), 타박상, 장염, 이질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6-15g을 달여서 또는 술에 담그거나 煎液(전액)을 졸여서 膏劑(고제)로 하여 복용한다.

 

유사종

산쥐손이, 부전쥐손이, 흰털쥐손이, 꽃쥐손이, 털쥐손이, 갈미쥐손이 등이 있다.

 

 

 

 

학명 Geranium wilfordii Maxim.

Bull.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26: 453 (1880)

1. Geranium Iinumai Nakai

Bot. Mag. (Tokyo) 23 : 100 (190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Geranium Iinumai var. asiatica Koidz.

Fl. Symb. Orient. asiat. 83 (1930)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Geranium hastatum Nakai

Bot. Mag. (Tokyo) 23 : 100 (190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Geranium krameri var. Iinumai (Nakai) Nakai

Bot. Mag. (Tokyo) 26 : 261 (191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W.T.Lee, 1996)

5. Geranium nepalense for. japonicum Maxim.

Shokubutsu-meii ed. 2, 132 (189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세잎쥐손이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1. 마디쥐소니

2. 세갈래쥐손이

3. 세잎손잎풀

영문명 : Wilford Cranesbill

일본명 : ミツバフウロ

북한명 : 세잎쥐손이풀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노관초(老鹳草)

Geranium wilfordii Maxim.

 

 

이명(异名)

 

Geranium wilfordii var. glandulosum Z. M. Tan

Geranium chinense Migo

Geranium wilfordii var. chinense H. Hara

Geranium wilfordii var. schizopetalum F. Z. Li.

Geranium iinumai Nakai

Geranium wilfordii var. pilicalyx T. Yamaz.

Geranium wilfordii f. bukoense Hiyama

Geranium wilfordii var. yezoense Himaya

 

Geranium iinumae var. asiaticum Koidz.

Geranium tripartitum var. hastatum (Nakai) T. Yamaz.

Geranium krameri var. iinumai (Nakai) Nakai

Geranium nepalense f. japonica Maxim.

Geranium wilfordii var. hastatum (Nakai) H. Hara

 

 

多年生草本40-80厘米根状茎短而直立有略增厚的长根茎细长下部稍蔓生有倒生微柔毛叶对生基生叶和下部茎生叶为肾状三角形基部心形4-6厘米3-5厘米3深裂中央裂片稍较大卵状菱形先端尖上部有缺刻或粗锯齿齿顶有短凸尖上下两面多少有伏毛下部茎生叶的柄长过叶片上部的较短顶部的叶宽三角形3深裂侧生裂片张开小于中央1花序腋生柄长2-3厘米2花柄长几等于花序柄在果期倾向下略有微毛萼片长5毫米有疏伏毛花瓣淡红色长几等于萼片蒴果长约2厘米

 

分布于东北华北华东及湖北朝鲜日本也有生于海拔100-500米的草坡林下全草供药用

 

 

 

 

&&&&&&&&&&&&&&&&&&&&&&&&&&&&&&&&&&&&&&&&&&&&&&&&&&&&&&

 

산이질풀/노관초(老鹳草)

 

산이질풀

 

학명: Geranium nepalense Sweet

분류군: Geraniaceae(쥐손이풀과)

 

 

 

근엽은 자루가 길고 5개로 얕게 갈라지며 경엽은 대생하고 위로 갈수록 엽병이 짧아지며 3~5(보통3)로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으로 큰 톱니가 있으며 양면 맥 위에 흰색 털이 있다.

 

열매

과실은 삭과이고 5개로 갈라진다.

 

꽃은 6~7월에 연한 홍색으로 피고 화경은 2개로 갈라지고 끝에 1개씩 달린다. 소화경은 결실하면 구부러진다. 꽃받침조각은 장 타원상 피침형으로 3~5맥이 있고 가장자리는 백색이다. 꽃잎은 5개이고 도장란형이며 수술은 10개이고 하부가 익상을 한다.

 

줄기

줄기는 네모지고 털이 없고 마디수가 적으며 절간이 잘 발달하였다.

 

분포

거의 전도에 나며 만주에 분포한다.

 

형태

다년초이다.

크기

높이 60~70cm이다.

 

 

 

학명 Geranium nepalense Sweet

Geraniaceae 1: t. 12 (1820)

1. Geranium nepalense var. glabratum Hara

Bot. Mag. (Tokyo) (Vol. 1-105, 1887-1992)

2. Geranium nepalense var. pallidum Nakai

Koryo Shikenrin Ippan 41 (1932)

국명 산이질풀

 

 

Geranium nepalense Sweet

Geraniaceae i. t. 12.

i. t. 12. 0

Original Data:

Notes: Ind. or.; China

 

Sweet, Robert (1783-1835)

Standard Form:

Sweet

 

Area of Interest:

Pteridophytes , Spermatophytes

 

Information Source:

from R.E.G.Pichi Sermolli 1 March 1991

 

Countries:

United Kingdom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니박이노관초(尼泊尔老鹳草)

Geranium nepalense Sweet

 

 

이명(异名)

 

Geranium nepalense var. oliganthum (Huang) Huang et L. R. Xu

Geranium oliganthum C. C. Huang

Geranium jinchuanense Z. M. Tan

Geranium fangii R. Knuth

Geranium lavergneanum H. Léveillé

Geranium lavergneanum var. cinerascens G. H. Léveillé

Geranium radicans DC.

Geranium patens Royle in Hook. f.

Geranium arnottianum Steud.

Geranium quinquenerve Buch.-Ham. ex D. Don

Geranium nepalense oliganthum (C.C. Huang) C.C. Huang & L.R. Xu

Geranium thunbergii f. roseum (H. Hara) Murata

Geranium nepalense f. albiflorum (I.C.Chung) W.T.Lee

Geranium thunbergii var. albiflorum I.C.Chung

Geranium tsing-tauense f. album F.Z.Li

 

 

多年生草本3050厘米根为直根多分枝纤维状茎多数细弱多分枝仰卧被倒生柔毛叶对生或偶为互生托叶披针形棕褐色干膜质58毫米外被柔毛基生叶和茎下部叶具长柄柄长为叶片的23被开展的倒向柔毛叶片五角状肾形茎部心形掌状5深裂裂片菱形或菱状卵形24厘米35厘米先端锐尖或钝圆基部楔形中部以上边缘齿状浅裂或缺刻状表面被疏伏毛背面被疏柔毛沿脉被毛较密上部叶具短柄叶片较小通常3总花梗腋生长于叶被倒向柔毛每梗2少有1苞片披针状钻形棕褐色干膜质萼片卵状披针形或卵状椭圆形45被疏柔毛先端锐尖具短尖头边缘膜质花瓣紫红色或淡紫红色倒卵形等于或稍长于萼片先端截平或圆形基部楔形雄蕊下部扩大成披针形具缘毛花柱不明显柱头分枝长约1毫米蒴果长1517毫米果瓣被长柔毛喙被短柔毛花期49果期510

 

&&&&&&&&&&&&&&&&&&&&&&&&&&&&&&&&&&&&&&&&&&&&&&&&&&&&&&

 

미국쥐손이/노관초(老鹳草)

 

 

미국쥐손이

 

학명 : Geranium carolinianum L.

분류군 : Geraniaceae(쥐손이풀과)

 

잎은 마주나며, 콩팥형 또는 원형으로, 나비 3~7cm이다. 5~9개의 열편으로 깊이 갈라진다. 열편은 장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거치이다.

 

열매

열매는 분과로 길이 1.7~2cm이며 미모이다. 종자는 난상 장 타원형으로 길이 2mm이며, 미세한 망목무늬이다.

 

꽃은 담홍색 또는 흰색으로 5~8월 산형화서를 이룬다. 지름 8~13mm이고, 꽃자루에 2개씩. 꽃받침은 난형으로 길이 1cm이다. 섬모, 짧은 까락이다. 꽃잎은 꽃받침과 길이가 같고, 도란형이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줄기

줄기는 기부에서 가지를 많이 치고, 곧게 선다. 연모가 나고 간혹 회색의 선모가 있다.

 

원산지

북아메리카

 

분포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일본

 

크기

높이는 20~40cm이다.

 

 

 

 

 

생육 환경

나지, 길가

 

 

 

 

학명 Geranium carolinianum L.

Sp. Pl. 2 : 682 (L., 1753)

국명 미국쥐손이

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박수현, 1995)

 

 

Geranium carolinianum L.

Sp. Pl. 2: 682. 1753 [1 May 1753]

2: 682 1753

Distribution:

Virginia (Southeastern U.S.A., Northern America)

 

Type Information

Collector(s):

J.Clayton 372

 

Type Location:

lectotype BM

 

Linnaeus, Carl (1707-1778)

Standard Form:

L.

 

Alternative Names:

Linné, Carl von

 

Area of Interest:

Pteridophytes , Mycology , Bryophytes , Algae , Spermatophytes

 

Information Source:

CMI, Missouri Bryological list, Berkeley Algal list

 

Countries:

Sweden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야노관초(野老鹳草)

 

Geranium carolinianum Linn.

 

 

이명(异名)

 

Geranium carolinum Crantz

Geranium lenticulum Raf.

Geranium sphaerospermum Fernald

Geranium thermale Rydb.

Geranium langloisii Greene

Geranium carolinianum var. carolinianum L.

Geranium dissectum var. carolinianum (L.) Hook. f.

Geranium carolinianum var. sphaerospermum (Fernald) Breitung

Geranium carolinianum f. albiflorum B. Boivin

Geranium carolinianum var. confertiflorum Fernald

 

 

一年生草本20-50厘米根细长达7厘米茎直立或斜升有倒向下的密柔毛分枝叶圆肾形4-7厘米2-3厘米下部的互生上部的对生5-7深裂每裂又3-5小裂片条形锐尖头两面有柔毛下部茎叶有长柄10厘米上部的柄短等于或短于叶片花成对集生于茎端或叶腋花序柄短或几无柄花柄长1-1.5厘米有腺毛腺体早落);萼片宽卵形有长白毛在果期增大5-7毫米花瓣淡红色与萼片等长或略长蒴果长约2厘米顶端有长喙成熟时裂开5果瓣向上卷曲

 

分布于江苏浙江江西河南云南丽江)、四川盐源);美洲也有生于荒地路边杂草中

 

全草入药有祛风通络收敛止泻之效

 

 

 

&&&&&&&&&&&&&&&&&&&&&&&&&&&&&&&&&&&&&&&&&&&&&&&&&&&&&&

 

산쥐손이/노관초(老鹳草)

 

 

산쥐손이

 

이명 : [다후리아쥐손이] [산손잎풀]

학명 : Geranium dahuricum DC.

분류군 : Geraniaceae(쥐손이풀과)

일명 : タフリアフウロ(Dafuria-furo)

영명 : Dahuria Cranesbill

 

잎은 대생하며 위로 갈수록 엽병이 짧아지고 신장상 원형이며 길이 3-4cm, 5-7cm로서 장상으로 7-8개로 밑까지 깊이 갈라진다. 열편은 다시 우상으로 갈라져 마지막 열편은 폭 2-3mm의 선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양면에 백색의 굳은 복모가 깔려 있어 깔깔하다. 탁엽은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열매

삭과는 길이 1.2-2cm로서 긴 부리가 있으며 익으면 5개로 갈라진 조각이 위로 말려서 부리에 달리고 5개의 종자가 나온다.

 

엽액에서 긴 화경이 나와 그 끝에 각 2개의 소화경이 있는 꽃이 달리며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1.8cm정도로서 5개이며 적자색이고 소화경은 꽃이 핀 다음 뒤로 굽는다. 꽃받침열편은 난상 피침형이며 3-5맥이 있고 꽃잎은 도란형이며 길이 1cm이다. 수술은 10개이며 자방은 5실이고 수술대에 털이 있다.

 

줄기

줄기는 곧게 또는 비스듬히 서고 복모가 깔려 있다.

 

뿌리

근경은 짧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에 분포한다.

고산지대의 정상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가 60-90cm 정도로 자란다.

 

 

 

 

생육 환경

숲가장자리, 산비탈 관목림.

 

이용방안

쥐손이풀 및 이질풀의 同屬 近緣植物(동속 근연식물)의 과실이 달린 全草(전초)를 노관초라 하며 약용한다.

 

여름에서 가을철 과실이 익기 전 지상부위 또는 뿌리째 뽑아서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성분 : 국화쥐손이에는 精油(정유)가 함유되어 있고 정유 중의 주요성분은 geraniol이며 이외에 quercetin 기타의 색소가 함유되었다. 이질풀의 전초에는 tannin, 沒食子酸(몰식자산), 호박산, quercetin 및 그 배당체 등이 함유되었고 tannin은 잎 중에 가장 많이 함유되었는데 그 함유량은 계절에 따라 변화하며 보통 12월에서 다음해 2월까지가 가장 적고 그 후부터 서서히 많어져서 6-8월에 최고가 된다. 이외에 잎에서 kaempferitrin을 추출해 낼 수도 있다.

 

약효 : 祛風(거풍), 活血(활혈),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즘에 의한 疼痛(동통), 拘攣痲木(구련마목-경련과 마비), 癰疽(옹저-화농성종양), 타박상, 장염, 이질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6-15g을 달여서 또는 술에 담그거나 煎液(전액)을 졸여서 膏劑(고제)로 하여 복용한다.

보호방안

희귀 및 멸종 식물로서 보호되어야 한다.

 

 

 

 

 

학명 Geranium dahuricum DC.

Prodr. 1: 642 (1824)

1. Geranium pseudosibiricum Maxim.

Prim. 71, et G. bifolium ibidem 46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Geranium pseudosibiricum Regel

Ussuri. no 115; Fr. Schmidt, Amg. Bur. 8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Geranium yoshonoi Makino ex Nakai

Bot. Mag. (Tokyo) 26 : 258 (1902)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산쥐손이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다후리아쥐손이

2. 산손잎풀

영문명 : Dahuria Cranesbill

일본명 : タフリアフウロ

 

 

Geranium dahuricum DC.

Prodr. (DC.) 1: 642. 1824 [mid Jan 1824]

1: 642 1824

Original Data:

Notes: Dahuria

 

Candolle, Augustin Pyramus de (1778-1841)

Standard Form:

DC.

 

Alternative Names:

de Candolle, Augustin Pyramus

 

Area of Interest:

Pteridophytes , Mycology , Bryophytes , Spermatophytes

 

Information Source:

CMI, Missouri Bryological list, Pichi Sermolli's list, 3 March 1991. Details of DC.'s associates in Lejeunia, 184: 75-101 (2008).

 

Countries:

France , Switzerland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조근노관초(粗根老鹳草)

 

Geranium dahuricum DC.

 

 

이명(异名)

 

Geranium dahuricum var. paishanense (Y. L. Cheng) Huang et L. R. Xu

Geranium paishanense Y. L. Cheng

Geranium dahuricum var. baiheense Z. H. Lu et Y. C. Zhu

Geranium pissjaukovae Tsyren.

Geranium prrobatovae Tsyren.

Geranium lasiocaulon Nakai

Geranium dahuricum f. lobulatum Nakai

Geranium napuligerum f. lobulatum (Nakai) Nakai

Geranium yesoense f. lobulatum (Nakai) H. Hara

Geranium dahuricum var. alpinum Bar. & Skv. in Liou & al.

 

 

 

多年生草本30-60厘米根伏茎短而直立生有一簇肉质近长纺锤形的粗根茎直立近无毛常二歧分枝叶对生肾状圆形5-7厘米3-4厘米掌状7裂达离基部不远处裂片不规则的羽状分裂小裂片披针状条形2-3毫米锐尖头下部茎生叶有长柄上部的柄短顶部的无柄花序顶生或腋生柄长3-6厘米纤细通常2花柄丝状2-3厘米有倒生疏微柔毛在果期顶部弯向上萼片卵形近无毛花瓣淡紫色长约1厘米超过萼片蒴果长1.5-2厘米

 

分布于东北华北西北朝鲜苏联日本也有生于草甸子林缘灌丛间叶含鞣酸可提取栲胶

 

 

 

 

^^^^^^^^^^^^^^^^^^^^^^^^^^^^^^^^^^^^^^^^^^^^^^^^^^^^^^^^^^^^^^^^^^^^^^^

노관초(老鹳草)

 

영문명(英文名)

HERBA ERODII/HERBA GERANII

 

별명(別名)

老鹳嘴老鸦嘴贯筋老贯筋老牛筋

 

래원(來源)

本品为牻牛儿苗科植物

牻牛儿苗Erodium stephanianum Willd.

老鹳草Geranium Wilfordii Maxim.

野老鹳草Geranium carolinianum L. 的干燥地上部分前者习称长嘴老鹳草后两者习称短嘴老鹳草秋二季果实近成熟时采割捆成把晒干

 

성상(性狀)

 

长嘴老鹳草茎长3050cm直径0.30.7cm多分枝节膨大表面灰绿色或带紫色有纵沟纹及稀疏茸毛质脆断面黄白色有的中空叶对生具细长叶柄叶片卷曲皱缩质脆易碎完整者为二回羽状深裂裂片披针线形果实长圆形0.51cm宿存花柱长2.54cm形似鹳喙有的裂成5呈螺旋形卷曲无臭味淡

 

短嘴老鹳草茎较细略短叶片圆形35深裂裂片较宽边缘具缺刻果实球形0.30.5cm花柱长11.5cm有的5裂向上卷曲呈伞形

 

野老鹳草叶片掌状57深裂裂片条形每裂片又35深裂

 

포제(炮制)

除去残根及杂质略洗切段晒干

 

성미(性味)

 

귀경(归经)

归肝脾经

 

공능(功能)

 

거풍습(祛風濕)통경락(通經絡)지사리(止瀉痢)

 

주치(主治)

풍습비통(風濕痹痛)마목구련(麻木拘挛)근골산통(筋骨酸痛)설사리질(泄瀉痢疾)

 

용법용량(用法用量)

915g

 

저장(貯藏)

置阴凉干燥处

 

적록】《중국약전(中国药典)

'[약전등] > 약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극천[약전]  (1) 2024.06.04
토복령[약전]  (1) 2024.06.04
금앵자[약전]  (0) 2024.05.22
생지황[약전]  (1) 2024.05.22
관목통(關木通)[약전]  (0) 2024.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