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목통(關木通)[약전]

2024. 4. 29. 22:52[약전등]/약전

관목통(關木通)[약전]

 

 

 

등칡/ 관목통(關木通)

 

등칡

 

이명 : 등칡 [큰쥐방울] [긴쥐방울] [등칙] [칡향]

학명 :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분류군 : Aristolochiaceae(쥐방울덩굴과)

일명 :キダチウマノスズクサ (Kidachi-umano-suzukusa)

영명 : Manchurian Dutch-manspipe

 

잎은 둥글며 첨두 심장저이고 길이 10-26cm로 톱니가 없으며 표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털이 있거나 없다. 엽병은 길이 7cm로서 털이 없다.

열매

삭과는 긴 타원형이고 6개의 능선이 있고 길이 11cm, 지름 3cm정도이며 9-10월에 성숙된다. 열매의 꼭지는 2cm 정도이고 털이 없다.

꽃은 이가화로서 5월에 피고 엽액에 황색꽃이 1개씩 달리며 화병은 길이 2-3cm이고 꽃은 길이 10cm로서 U자형으로 꼬부라지며 화통부의 넓은 부분은 지름 18mm정도이고 밖은 연녹색, 안쪽 중앙부는 연갈색이며 밑부분에 자흑색, 윗부분에 자갈색 반점이 있고 꽃가장자리가 3개로 갈라지며 열편의 외형이 감나무의 꽃받침과 비슷하고 중앙부가 뾰족하다. 자방은 길이 5mm정도로서 둥글며 짧은 대가 있다.

줄기

길이가 10m에 달하고 새가지는 녹색이지만 이년지는 회갈색이다. 줄기는 잘게 갈라지면서 회갈색으로 콜크화된다. 과경은 길이 2이며 털이 없고 아래로 드리워진다.

원산지

한국,만주,우수리

분포

중국 / 한국(운문산 이북)

형태

낙엽활엽성 만경목, 수형:포복형.

크기

길이 10m내외.

희귀, 특산식물 정보

[약관심종]

평가내용:약관심종 / 국가단위

 

생육환경

 

내한성이 크고 음지와 양지에서 모두 잘 자라나 주로 깊은 산의 반그늘진 계곡의 습윤한 마사토양에서 잘 자란다.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건성은 약하나 공해나 바닷물에 대한 저항성이 크므로 도심지에서나 바닷가에서도 잘 자란다. 유묘시에는 직사광선을 피해 재배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성숙한 식물체는 반그늘 정도로 햇빛을 받는 것이 생육은 물론 개화결실에 좋다. 지하부가 너무 습하면 뿌리가 상하고 생장 상태가 좋지 않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수분

보통

/번식방법

실생 및 삽목으로 번식한다.

1.실생번식 : 가을철에 잘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매장 후 봄철에 파종하면 발아가 잘 된다.

2.삽목번식 : 장마철에 1년생 미숙지를 잘라 미스트시설 또는 밀폐삽목상에서 녹지삽목하면 되나 발근율은 높지 않다.

파종기

3, 4

이식기

3, 4, 10, 11

결실기

9, 10

 

 

이용방안

 

줄기는 파골라 또는 트레리스 등에 이용하면 잘 어울린다. 꽃과 열매의 관상 가치가 뛰어나 조경용 소재로 이용할 수 있다.

 

木質莖(목질경)關木通(관목통)이라 하며 약용한다.

9월에서 익년 3월 사이에 줄기를 베어서 적당한 길이로 잘라 외피를 제거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불에 건조하여 곧게 손질하여 묶어서 보관한다.

성분 : Aristolochic acid(,), oleanolic acid, hederagenin, aristolochia lacto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降火(강화), 强心(강심), 利尿(이뇨),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心臟衰弱(심장쇠약), 小便不利(소변불리), 小便赤澁(소변적삽), 尿路感染(요로감염), 尿毒症(요독증), 口內炎(구내염), 惡性腫瘍(악성종양), 白帶(백대), 乳汁不通(유즙불통)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6g을 달여 복용한다.

 

보호방안

덩굴식물이며 전국적으로 넓게 분포하나 개체수는 많지 않다. 칡으로 오인해 칡덩굴과 함께 제거되는 경우가 많다.

특징

잎 모양이 칡과 비슷하게 생긴 목본성 식물이므로 "등칡"이라고 하나 "등나무"와는 전혀 다른 식물이다. 성질이 강건하므로 재배작물로 쉽게 이용할 수 있고 맹아력이 강하다.

 

 

 

 

학명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22: 112 (1903)

1. Hocquratia manshuriensis (Kom.) Nakai

Fl. sylv. kor. 21: 27 (1936)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등칡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긴쥐방울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2. 등칙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칡향

1) 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1997, 1998, 2000, 2001)

4. 큰쥐방울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영문명 : Manchurian Dutch-manspipe

일본명 : キタケウマノスズクサ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xxii. 112.

xxii. 112. 0

Original Data:

Notes: China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木通马兜铃(목통마두령)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异名(이명)

 

Isotrema manshuriense (Kom.) H. Huber

Hocquartia manshuriensis (Kom.) Nakai

Isotrema manshuriensis (Kom.) H. Huber

 

 

木质藤本长达10余米;嫩枝深紫色密生白色长柔毛;茎皮灰色老茎基部直径28厘米表面散生淡褐色长圆形皮孔具纵皱纹或老茎具增厚又呈长条状纵裂的木栓层叶革质心形或卵状心形1529厘米1328厘米顶端钝圆或短尖基部心形至深心形湾缺深14.5厘米边全缘嫩叶上面疏生白色长柔毛以后毛渐脱落下面密被白色长柔毛亦渐脱落而变稀疏;基出脉57侧脉每边23第三级小脉近横出彼此平行而明显;叶柄长68厘米略扁花单朵2朵聚生于叶腋;花梗长1.53厘米常向下弯垂初被白色长柔毛以后无毛中部具小苞片;小苞片卵状心形或心形长约1厘米绿色近无柄;花被管中部马蹄形弯曲下部管状57厘米直径1.52.5厘米弯曲之处至檐部与下部近相等外面粉红色具绿色纵脉纹;檐部圆盘状直径46厘米或更大内面暗紫色而有稀疏乳头状小点外面绿色有紫色条纹边缘浅3裂片平展阔三角形顶端钝而稍尖;喉部圆形并具领状环;花药长圆形成对贴生于合蕊柱基部并与其裂片对生;子房圆柱形12厘米6被白色长柔毛;合蕊柱顶端3;裂片顶端尖边缘向下延伸并向上翻卷皱波状

 

蒴果长圆柱形暗褐色6911厘米直径34厘米成熟时6瓣开裂;种子三角状心形长宽均67毫米干时灰褐色背面平凸状具小疣点花期67果期89

 

^^^^^^^^^^^^^^^^^^^^^^^^^^^^^^^^^^^^^^^^^^^^^^^^^^^^^^^^^^^^^^^^^^^^^^^^

 

 

 

관목통(關木通)

 

 

 

영문명(英文名)

CAULIS ARISTOLOCHIAE MANSHURIENSIS

 

별명(別名)

木通馬兜鈴東北木通馬木通萬年藤

 

래원(來源)

本品爲馬兜鈴科植物東北馬兜鈴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的幹燥藤莖冬二季采截除去粗皮曬幹

 

 

성상(性狀)

本品呈長圓柱形稍扭曲12m直徑16cm表面灰黃色或棕黃色有淺縱溝及棕褐色殘餘粗皮的斑點節部稍膨大1枝痕體輕質硬不易折斷斷面黃色或淡黃色皮部薄木部寬廣有多層整齊環狀排列的導管射線放射狀髓部不明顯摩擦殘餘粗皮有樟腦樣臭氣微味苦

 

 

감별(鑑別)

 

1本品粉末淡黃色纖維管胞大多呈束長棱形直徑1120μm壁有明顯的具緣紋孔紋孔口斜裂縫狀或相交成十字形分隔纖維直徑2142μm斜紋孔明顯石細胞少見類方形或類多角形壁較厚草酸鈣簇晶直徑約至40μm具緣紋孔導管大直徑約至328 μm多破碎具緣紋孔類圓形排列緊密具緣紋孔管胞少見

 

 

2取本品粉末1g70乙醇20ml加熱回流15分鍾放冷濾過取濾液點於濾紙上幹後置紫外光燈365nm下觀察顯天藍色熒光於點樣處加稀鹽酸 1幹後顯黃綠色熒光用氨蒸氣熏後複顯天藍色熒光

 

3取本品粉末1g加乙醇50ml加熱回流 1小時濾過濾液蒸幹殘渣加乙醇1ml使溶解作爲供試品溶液另取關木通對照藥材1g同法制成對照藥材溶液再取馬兜鈴酸對照品加乙醇制成每 1ml05mg 的溶液作爲對照品溶液照薄層色譜法附錄B試驗吸取上述三種溶液各 3μl分別點於同一矽膠薄層板上使成條狀以甲苯醋酸乙酯甲酸20:10:1:1 的上層溶液爲展開劑展開取出晾幹分別置日光和紫外光燈365nm下檢視供試品色譜中分別在與對照藥材色譜及對照品色譜相應的位置上顯相同顏色的條斑

 

포제(炮制)

 

洗淨略泡潤透切薄片曬幹本品爲圓形薄片表面黃色或黃白色木部寬廣導管孔大多層環形排列呈篩網狀射線色淺髓部不明顯周邊灰黃色粗糙體輕質硬氣微味苦

 

 

성미(性味)

 

有毒

 

 

귀경(歸經)

 

歸心小腸膀胱經

 

 

공능(功能)

 

청심화(清心火)이소변(利小便)통경하유(通經下乳)

 

 

주치(主治)

 

구설생창(口舌生瘡)심번뇨적(心烦尿赤)수종(水腫)열림삽통(熱淋澁痛)백대(白帶)經閉乳少습열비통(濕熱痹通)

 

 

용법용량(用法用量)

36g

 

 

주의(注意)

 

不可多用久服腎功能不全及孕婦忌服

 

 

저장(貯藏)

 

置通風幹燥處

 

비주(備註)

 

1治濕熱下注淋瀝澀痛要藥常與車前子滑石等同用

且利尿力強對小便不利水腫腳氣等症也常恃爲要藥可配其它利水消腫藥如桑白皮豬苓等同用

用於心火上炎心煩尿赤口舌生瘡等症常與生地竹葉甘草同用

用於產後乳汁稀少常與王不流行穿山甲等配伍或與豬蹄同煮服用

治濕熱痹痛關節不利之症常與薏苡仁桑枝忍冬藤等配伍應用

 

2有用大量木通60g煎湯服用後引起急性腎功能衰竭者故在臨床應用時不宜大量使用孕婦慎用

 

적록】《중국약전(中國藥典)

'[약전등] > 약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앵자[약전]  (0) 2024.05.22
생지황[약전]  (1) 2024.05.22
세신(細辛)[약전]  (0) 2024.04.29
마두령(馬兜鈴)[약전]  (0) 2024.04.29
천선등(天仙藤)[약전]  (0) 2024.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