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버섯차

2023. 10. 14. 02:44백두산 버섯 이야기/자연의 상황버섯

상황버섯차

 

 

 

 

상황(桑黃)[본경/동의보감]

 

 

 

본경(本經), 동의보감(東醫寶鑑), 본초강목(本草綱目), 대사전(大辭典), 본초(本草)등에서 상황버섯은 말똥진흙버섯(Phellinus igniarius (L.) Quel. )을 지칭하는데

 

많은 정보들이 목질진흙버섯/열제목층공균(裂蹄木層孔菌: Phellinus linteus (Berk. & Curt.) Teng)을 상황버섯으로 오인하여 밝혀진 아래 내용사항과 다르게 효험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말똥진흙버섯 /상황(桑黃)

 

말똥진흙버섯

 

 

 

^^^^^^^^^^^^^^^^^^^^^^^^^^^^^^^^^^^^^^^^^^^^^^^^^^^^^^^^^^^^^^^^^^^^^^^^^^^^^^

 

 

상이(桑耳)

 

 

 

()은 평()하고(일운(一雲)()) ()는 감()하며, 미독(微毒)하다.

 

 

 

장풍(腸風), 사혈(瀉血) 및 부인(婦人)의 심복통(心腹痛), 붕중(崩中), 루하(漏下), 적백(赤白)에 주효(主效)하다.[본초].

 

 

 

혈병(血病), 징가(癥瘕), 적취(積聚)에 주효(主效)하다. 취소(取燒)하여 술로 조화(調和)하여 복용(服用)한다.[본초].

 

 

[동의보감(東醫寶鑑)]

 

 

^^^^^^^^^^^^^^^^^^^^^^^^^^^^^^^^^^^^^^^^^^^^^^^^^^^^^^^^^^^^^^^^^^^^^^^^^^^^^^

 

 

 

 

主治

 

 

검은 것이다. 婦人(부인)漏下赤白(누하적백), 汁血病(즙혈병), 癥瘕積聚(징가적취), 陰痛(음통), 陰陽寒熱(음양한열), 無子(무자)()에게 主效(주효)가 있다.

 

 

 

月經不調(월경불조)()한다. 黃熟(황숙)하고, 陳白(진백)한 것은 久泄(구설)을 멎게 하고 益氣不飢(익기불기)한다. 金色(금색)인 것은 癖飮(벽음), 積聚(적취)腹痛(복통) 金瘡(금창)()한다.

 

 

 

 

女子(여자)崩中帶下(붕중대하), 月閉血凝(월폐혈응), 產後血凝(산후혈응), 男子(남자)痃癖(현벽)

 

 

 

血衄(혈뉵), 腸風瀉血(장풍사혈), 婦人(부인)心腹痛(심복통)을 멎게 한다.

 

 

 

 

五臟(오장)()하고 腸胃(장위)()()하며, 毒氣(독기)()한다. 丹石(단석)服用(복용)한 사람의 發熱(발열)()하는 데는 (), ()()하여 ()을 만들어 먹는다.

 

 

 

[本草綱目]

 

 

 

^^^^^^^^^^^^^^^^^^^^^^^^^^^^^^^^^^^^^^^^^^^^^^^^^^^^^^^^^^^^^^^^^^^^^^^^^

 

 

 

상황(桑黃)

 

 

 

 

귀경(歸經)

腎經

 

 

 

공효(功效)

활혈지혈(活血止血)화음(化飮)지사(止瀉)

 

 

 

주치(主治)

 

혈붕(血崩)혈림(血淋)탈항사혈(脫肛瀉血)대하(帶下)경폐(經閉)징가적취(癥瘕積聚)벽음(癖飮)비허설사(脾虛泄瀉)

 

 

 

공효분류(功效分類)

활혈약(活血藥)지혈약(止血藥)

 

성미(性味)

無毒

 

약재기원(藥材基源)

爲多孔菌科真菌火木層孔菌的子實體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湯6-15g或入丸

외용研末調敷

 

출처

중화본초

'백두산 버섯 이야기 > 자연의 상황버섯'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상황 차  (0) 2023.10.14
가래나무 상황버섯차  (0) 2022.11.07
가래나무상황버섯  (0) 2022.08.18
차가버섯  (0) 2017.11.04
항암버섯  (0) 2016.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