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9. 9. 21:21ㆍ백두산 본초 이야기/백두산 약초
오시화(午時花)
채송화/오시화(午時花)
채송화
이명 : [댕명화] [따꽃]
학명 : Portulaca grandiflora Hook.
분류군 : Portulacaceae(쇠비름과)
일명 : マツバボタン(Matsuba-botan)
영명 : Ross Moss, Sun Plant, Eleven-oclock
잎
잎은 어긋나고 육질이며, 원주형이다. 잎 끝이 둔하고 잎의 길이는 1-2cm쯤 된다. 잎겨드랑이에 백색털이 속생한다.
열매
9월에 익는 삭과로서 막질이며 중앙부가 수평으로 갈라지면서 많은 종자가 나온다.
꽃
7-10월에 붉은색, 흰색, 노란색 또는 자주색의 꽃이 피며 가지 끝에 한개 때로는 두개 이상씩 달린다. 꽃의 지름은 3cm정도로서 화경이 없으며 밤에는 오므라든다. 꽃받침잎은 두 개로서 넓은 난형이고 막질이며 꽃잎은 다섯개로서 도란형이고 끝은 약간 패어져 있다. 수술은 많고 암술대에는 다섯 내지 아홉 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줄기
높이가 20cm에 달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붉은 빛을 띠고 있다.
원산지
남아메리카산
분포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1년생 초본.
크기
높이가 20cm정도 된다.
생육 환경
사질양토라면 아무데서나 잘 자란다.
꽃/번식방법
번식은 종자재배법, 삽목법, 종간육종법, 파종, 코히친처리 등에 의하여 이루어지지만 대개는 종자번식에 의하여 번식이 된다.
재배특성
공해가 심한 도시 등지에서도 잘 자라는 풀이다.
결실기
9월, 10월
이용방안
▶화단에 관상초로 흔히 심는다.
▶全草(전초)를 半枝蓮(반지련)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7-9월경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전초에는 portulal이 함유되어 있고 이것은 식물 생장을 조절하는 물질이다. 줄기와 꽃에는 betacyanin이 함유되어 있지만 주로 betanin에 있고 이 aglycone은 betanidin에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咽喉腫痛(인후종통), 타박상, 濕瘡(습창), 탕,화상(湯,火傷)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외용> 짓찧어 즙으로 양치질을 하거나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유사종
▶쇠비름(P. oleracea L.): 전체에 털이 없고, 적갈색, 줄기는 땅을 긴다. 잎은 도란형, 길이 15-25㎜, 끝이 둥근 모양이다.
특징
▶줄기를 끊어서 심어도 잘 살아나는, 생명력이 강한 화초이며 줄기와 풀잎이 모두 육질이어서 가지가 계속 뻗으면서 꽃이 피는데 그 기간이 대단히 긴 풀이기도 하다.
학명 Portulaca grandiflora Hook.
Curtis's Bot. Mag. pl. 2885 (1829)
국명 채송화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댕명화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따꽃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영문명 : Ross Moss, Sun Plant, Eleven-oclock
일본명 : マツバボタン
북한명 : 채송화
Portulaca grandiflora Hook.
Bot. Mag. 56: t. 2885. 1829
56: t. 2885 1829
Distribution:
Argentina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대화마치현(大花馬齒莧)
Portulaca grandiflora Hook.
이명(異名)
Portulaca pilosa subsp. grandiflora (Hook.) Geesink 1969
Portulaca caryophylloides hort. ex Vilm.
Portulaca grandiflora f. depressa (D. Legrand) D. Legrand
Portulaca grandiflora f. granulata D. Legrand
Portulaca grandiflora subsp. cisplatina (D. Legrand) D. Legrand
Portulaca grandiflora subsp. ruizii D. Legrand
Portulaca grandiflora var. aurantiaca Sweet
Portulaca grandiflora var. cisplatina (D. Legrand) D. Legrand
Portulaca grandiflora var. depressa D. Legrand
Portulaca grandiflora var. purpurea Sweet
Portulaca hilaireana G. Don
Portulaca immersostellulata Poelln.
Portulaca megalantha Steud.
Portulaca multistaminata Poelln.
Portulaca pilosa subsp. cisplatina D. Legrand
Portulaca pilosa var. grandiflora Kuntze
Portulaca pilosa var. osteniana D. Legrand
一年生肉質草本,高10-15厘米。莖直立或上升,分枝,稍帶紫色,光滑。葉圓柱形,長1-2.5厘米,直徑1-2毫米,在葉腋有叢生白色長柔毛。花單獨或數朵頂生,直徑3-4厘米,基部有8-9枚輪生的葉狀苞片,並有白色長柔毛;萼片2,寬卵形,長約6毫米;花瓣5或重瓣,有白、黃、紅、紫、粉紅等色,倒心髒形,無毛;子房半下位,1室,柱頭5-7裂。蒴果蓋裂;種子多數,深灰黑色,腎狀圓錐形,直徑不及1毫米,有小疣狀突起。 原產巴西;花色繁多,
^^^^^^^^^^^^^^^^^^^^^^^^^^^^^^^^^^^^^^^^^^^^^^^^^^^^^^^^^^^^^^^^^^^^^^^
오시화(午時花)
Portulaca grandiflora Hook.
별명(別名)
半支蓮、佛甲草、打砍不死、萬年草、草杜鵑、太陽花
약재기원(藥材基源)
爲馬齒莧科植物大花馬齒莧的全草。
채수화저장(采收和貯藏)
夏、秋兩季采收,除去殘根及雜質,洗淨,鮮用,或略蒸燙後曬幹。
식물형태(植物形態)
互生或簇生;近圓柱形,長1-2.5cm,直徑1-2mm,先端鈍;葉腋叢生白色長柔毛。花單生或數朵簇生莖頂,直徑可達4cm;基部有8-9片輪生的葉狀苞片;萼片2,寬卵形,長約6mm;花瓣5或重瓣,倒心形,有黃、紅、白、粉紅等多種顏色;雄蕊多數;子房半下位,1室,柱頭5-7裂,花柱線形。蒴果蓋裂。種子多數,細小,腎狀圓錐形,直徑小於1mm,深灰黑色,有小疣狀突起。花則6-7月,通常在中午陽光強烈時開放,光弱時閉合,果期7-8月。
생약재감정(生藥材鑑定)
性狀鑒別
莖圓柱形,長10-15cm,直徑0.1-0.3cm,有分枝,表面淡棕綠色或淺棕紅色,有細密微隆起的縱皺紋,葉腋處常有白色長柔毛。葉多皺縮,線狀,暗綠色,長1-2.5cm,直徑約1mm;鮮葉扁圓柱形,肉質。枝端常有花著生,萼片2,寬卵形,長約6mm,淺紅色,卷成帽狀,花瓣多幹癟皺縮成帽尖狀,深紫紅色。蒴果帽狀圓錐形,淺棕黃色,外被白色長柔毛,蓋裂,內含多數深灰黑色細小種子。種子扁圓形或類三角形,直徑不及lmm,具金屬樣光澤,頂端有歪向一側的小尖,於解剖鏡下表面可見密布細小疣狀突起。氣微香,味酸。
性狀鑒別
莖橫切面:表皮細胞1列,紫紅色。皮層較寬,薄壁細胞含草酸鈣簇晶,直徑30-75μm。維管束外韌型,8-12個排列成環;形成層成環。髓部細胞亦含草酸鈣簇晶。葉表面觀:上表皮細胞壁較平直,下表皮細胞壁常呈波狀彎曲,氣孔平軸式,以下表皮爲多。葉肉細胞含大量草酸鈣簇晶,直徑約45μm。
3.粉末特征:棕紅色。
3.1莖表皮細胞長方形,排列較整齊。
3.2纖維細長,單個散在,壁厚約4μm。
3.3導管多爲螺紋,亦可見環紋及網紋。
3.4澱粉粒多爲單粒,類圓形,直徑約4μm,臍點和層紋均不明顯;複粒,由2-3分粒組成。
3.5多細胞非腺毛多斷裂,頂端細胞鈍圓,完整者長達2750μm以上,直徑36-44μm,壁厚4-6μm。
3.6葉上表皮細胞壁較平直,下表皮細胞壁常波狀彎曲,氣孔平軸式。
3.7草酸鈣簇晶直徑30-75μm。
3.8花瓣表皮細胞類多角形,垂周壁微彎曲或連珠狀加厚。
3.9花粉粒近球形,直徑約80μm,表面可見顆粒狀紋飾,蒴發孔不明顯。
3.10果皮表皮細胞表面觀類長方形或長多角形,長80-120μm,直徑36-40μm,垂周壁連珠狀加厚。
3.11果皮石細胞長棱形或類三角形,壁較薄。
3.12種皮細胞碎片深棕紅色,表面觀細胞呈星狀,側面觀可見多數小突起。
약화학성분(藥化學成分)
全草含馬齒莧醛(portulal),馬齒莧醇(portu-lol),馬齒莧酸(portulic acid),馬齒莧內酯(portulic lacton),羥基馬齒莧醚(hydroxyportulolether),羥基馬齒莧醛(5-hydro-xyportulal),羥基馬齒莧酸(hydroxyportulic acid),大花馬齒莧酮(portulenone),大花馬齒莧醇(poriulenol),大花馬齒莧烯(portulene),莧菜紅甙(amaranthin),梨果仙人掌黃質(lindi-caxanthin),紅果瑞威那黃質(humilixanihin),甜菜醛氨酸(betalamic acid),甜菜素(betanidin),異甜菜素(isobetanidin),甜菜甙(beianin),異甜菜甙(isobeianin)等。
성미(性味)
淡;微苦;性寒
공능(功能)
청열해독(淸熱解毒);산어지혈(散瘀止血)。
주치(主治)
인후종통(咽喉腫痛);창절(瘡癤);습진(濕疹);질타종통(叱吒腫痛);탕화상(燙火傷);외상출혈(外傷出血)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湯,9-15g,鮮品可用至30g。
외용:適量,搗汁含漱;或搗敷。
용약금기(用藥禁忌)
孕婦禁服。《全國中草藥彙編》
출처
《중화본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