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수유(山茱萸)[본경/동의보감]

2023. 8. 31. 02:37[신농본초경]/중경(中經)

산수유(山茱萸)[본경/동의보감]

 

 

 

산수유

 

 

이명:산수유나무, 산시유나무

학명: 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분류군: 층층나무과

일어: サンシュユ

영명: Japanese Cornelian Cherry, Japanese Cornel

 

 

 

 

 

 

잎은 대생하며 난형, 타원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 4~12cm, 나비 2.5-6cm로서 긴 점첨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표면은 녹색이며 복모가 약간 있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거나 흰빛이 돌며 표면보다 털이 많고 맥액(脈腋)에 갈색 밀모(密毛)가 나며 톱니가 없고 측맥은 4~7쌍이며 엽병은 길이 5-15mm이고 털이 있다.

 

 

열매

가을에 열매가 선홍색으로 익으면 매우 아름답다. 열매는 길이 1.5-2cm로서 8-10월에 익는 타원형 장과로서 광택이 있다. 종자는 타원형이고 늑조(肋條)가 있다.

 

꽃은 양성으로서 3-4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지름 4-5mm이고 황색이며 산형화서에 20-30개의 꽃이 달린다. 총포편은 4개이고 황색이며 길이 6-8mm로서 타원형 예두이고 소화경은 길이 6-10mm이다. 꽃받침잎은 4개이며 꽃받침통에 털이 있고 꽃잎은 피침상 삼각형으로서 길이 2mm이며 암술대는 길이 1.5mm이다.

 

줄기

높이 7m이며 수피는 벗겨지고 연한 갈색이다. 소지는 처음에 짧은 털이 있으나 떨어지며 분녹색이 돌고 겉껍질은 벗겨진다.

 

원산지

한국

 

분포

중국, 일본, 오키나와에도 분포한다.

수직적으로 표고 100m, 수평적으로 전남, 전북, 충남, 충북, 경기도에서 재배한다.

 

형태

낙엽활엽소교목

 

크기

수고 7m, 직경 30-50cm 정도로 자란다.

 

 

 

 

 

생육환경

서북풍이 막힌 양지 바른 곳이 좋으며 토질은 별로 가리지 않으나 토심이 깊고 비옥적윤한 사질양토로서 배수가 양호한 곳이 좋다. 대체로 비옥한 산간계곡, 산록부, 논뚝,밭뚝의 공한지 등에서 생장이 양호하다. 내한성이 강하고 생장이 빠르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수분

보통

 

/번식방법

산수유나무의 번식은 주로 종자로서 하고 있는데 삽목과 접목도 할수 있으나 발근과 활착률이 아주 낮다.

 

파종시기 및 종자저장

파종은 채종하여 바로 하는 것이 좋다. 여름에 채종한 것은 과육을 벗겨 약용으로 하고 종자는 즉시 땅속에 묻어 두었다가 그해 가을에 파종한다. 다음해 봄에 파종할 수도 있으나 발아는 어느 쪽이나 1년 지나서 그이듬해 봄에 발아하게 된다. 종자는 서늘하고 건조하지 않은 곳에 1년간 묻어두었다가 싹을 틔워서 파종하면 당년에 발아하게 되므로 유리하다.

 

파종 및 발아 후의 관리

파종후 건조방지를 위하여 볏짚이나 건초를 덮어 두었다가 발아하게 되면 바로 걷어 준다. 발아한 모는 그해 한해 동안 그자리에서 1년간 기른다.

 

종자의 처리

 

산유수나무 종자는 경실종자로서 다음과 같이 처리를 하여 파종하면 발아를 촉진시킬수 있으나 실용성 있는 방법은 못 된다.

 

찰상법:10배의 굵은 모래와 혼합하여 절구에 찧으면 껍질이 얇아져서 수분을 잘 흡수하여 발아가 빠르다.

 

도정법:종자량이 많을 때 보리방아 찧는 정미기에 넣어 몇번이고 도정하게 되면 단단한 껍질이 얇아진다.

 

주의:핵의 각질(殼質)이 얇아져서 손을 만지면 말랑거리는 감이 있으면 되는데 종인(種仁)이 상하지 않을 정도로 도정하여야 한다.

 

황산처리:산수유 종자는 단단하기도 하지만 납질(납질)이 있어 흡수를 잘 하지 못해서 발아가 늦어지므로 황산 80%액에 2분간 처리하였다가 맑은 물에 깨끗이 씻어 파종하면 발아가 잘된다.

황산은 위험하므로 취급에 주의하여야 한다.

 

재배특성

 

1)재배기술

종자는 10월 하순경 완숙한 종자를 채취하여 과육을 제거한 후 종자의 발아 촉진처리를 한다. 가장 안전한 법은 노천매장법에 의하여 매장하였다가 2년째 봄에 파종하는 것이다.

식재본수는 재배목적,입지 등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10a35-40본을 심는다. 40본을 심을 때 식재거리는 5mX5m로 한다. 나무를 심는 구덩이는 넓이 60,깊이 60의 크기로 하고, 한 구덩이당 퇴비 4-10,복합비료 50g씩을 흙과 섞어 나무뿌리에 비료가 직접 닿지 않도록 식재한다.

 

2)관리

풀베기: 식재 후 5년간은 6월 중순과 8월 중순 등 2회에 걸쳐 풀베기 작업을 해주고 산수유가 피압되지 않도록 한다.

수형만들기: 산수유나무는 소교목성이므로 가지가 총생하며 결실량이 많으므로 겨울을 나는 동안 결과지가 고사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가지를 적심하여 통풍이 좋게 한다. 싹트는 힘이 왕성하고 전정에도 잘 견디며 절화용으로 가지를 잘라도 곧 수형이 회복된다.

시비: 어린 시기에는 6월 중순 이전에 본당 복합비료 50g(고형복합비료 60g)을 나무 주위에 환상으로 주고 커짐에 따라 연차적으로 중량하여 시비한다.

3)수확

식재 후 5년생부터 약간씩 결실하기 시작하여 수확 최성기는 20-80년생을 재배 수명이 긴 수종이다. 산수유의 과실이 검붉게 익은 10월 하순-11월 상순경에 채취하여 일광에 쪼이거나 온돌방에 3-4일간 건조시키면 반건상태가 된다. 이 때에 과실의 한 쪽을 손으로 눌러 씨를 발려내고 과육을 모아서 양건한다.

 

파종기

3,4,10,11

 

결실기

8

 

이용방안

정원수로도 사용되며, 유실수로도 많이 심는다. 채과는 노목이 될수록 수확량이 많아진다. 이른 봄 꽃꽂이 소재로써의 절화 수요량도 대단하며 촉성 개화시켜 1월부터 출하시키고 있다.

果肉(과육)山茱萸(산수유)라 하며 약용한다.

 

10-11월 과실이 빨갛게 성숙하였을 때 따서 과병을 제거하고 약한 불로 그을려서 냉각시킨 다음 종자를 발라내고 햇볕이나 불에 말려 건조한 暗所(암소)에 저장하고 충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성분 : 과육에는 cornin, verbenalin saponin, tannin, ussor (), 沒食子酸(몰식자산), 사과산, 주석산 및 비타민 A가 함유되어 있고 종자의 지방유는 palmitin (), olein ()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補肝(보간), 補腎(보신), 精氣收斂(정기수렴), 虛脫(허탈)固澁(고삽)하는 효능이 있다. 腰膝鈍痛(요슬둔통), 眩暈(현운), 耳鳴(이명), 양위(陽痿), 遺精(유정), 頻尿(빈뇨), 肝虛寒熱(간허한열), 虛汗不止(허한부지), 心搖散脈(심요산맥), 久瀉(구사)를 치료한다.

 

용법/용량 : 4.5-9g을 달여 복용하거나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유사종

층층나무(C. controversa)

말채나무(C. walteri Wangerin)

 

특징

중국으로부터 도입되어 식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1970년에 광릉지역에서 자생지가 발견되어 우리 나라 자생종임이 밝혀진 약용수이다. 산골짜기에 얼음이 풀리고 아지랑이가 피는 3월 중순경이면 화사한 황금색 꽃이 피어 약 보름 간 계속되며 가을에 진주홍색으로 익는 열매가 겨울 내내 붙어 있는 아름다운 관상수이다.

 

병충해정보

병해충은 심한 편이 아니나 갈반병,흰가루병, 잎말이나방,좀나방,깍지벌레 등이 있다.

 

방제방법

갈반병: 장마철 직전이나 강우 후에 다이센 1,000배액을 2-3회 살포하여 예방한다.

흰가루병: 카라센유제 3,000~4,000배액을 살포한다.

잎말이나방: 5-6월경에 디프수화제 1,000배액을 1-2회 살포하여 구제한다.

 

좀나방: 8월 상순에 산수유과실에 산란하여 피해를 주므로 우화산란기에 디르수화제 1,000배액을 2-3회 살포하여 산란을 억제 예방한다.

 

깍지벌레: 이른 봄 새싹이 트기 전에 7~8배액의 석회유황합제를 처리한다. 생육도중의 6~7월과 9~10월에는 메타시스톡스 1,500배액을 살포해 주도록 한다.

 

 

 

 

 

학명 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Fl. jap. 1:100

 

 

1. Cornus mascular var. japonica Siebold ex Miq.

Ann. Mus. Lugduno-Batavi 2:160 (186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Macrocarpium officinale Nakai

Bot. Mag. (Tokyo) 23 : 38 (1909)

1) New Illustrated Flora of Japan (Makino, 1961)

 

국명 산수유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산수유나무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산시유나무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북한명 산수유나무

외국명 영문명

Japanese Cornelian Cherry, Japanese Cornel

일본명

サンシュユ

 

 

 

 

 

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Fl. Jap. (Siebold) 1: 100, t. 50. 1839

1: 100, t. 50 1839

Original Data:

Notes: Japon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산수유(山茱萸)

 

Cornus officinalis Sieb. et Zucc.

 

 

이명(異名)

 

Macrocarpium officinale (Siebold et Zucc.) Nakai

Cornus officinalis var. koreana Kitam.

 

 

 

落葉灌木或喬木枝黑褐色葉對生卵形至橢圓形稀卵狀披針形512厘米頂端漸尖基部楔形上面疏生平貼毛下面毛較密側脈6-8脈腋具黃褐色髯毛傘形花序先葉開花腋生下具4枚小型的苞片苞片卵圓形褐色花黃色花萼 4裂片寬三角形花瓣4,卵形花盤環狀肉質子房下位核果橢圓形成熟時紅色產浙江昌化朝鮮也有人工栽培或野生果實稱萸肉供藥用爲收斂強壯藥健胃補腎治腰痛等症

 

^^^^^^^^^^^^^^^^^^^^^^^^^^^^^^^^^^^^^^^^^^^^^^^^^^^^^^^^^^^^^^^^^^^^^^^^^

 

山茱萸

 

味酸平

 

主心下邪氣寒熱溫中逐寒濕痺去三蟲久服輕身一名蜀棗生山穀

 

吳普山茱萸一名鬾實一名鼠矢一名雞足神農黃帝雷公扁鵲酸無毒岐伯辛一經酸或生冤句琅邪或東海承縣葉如梅有刺毛二月華如杏四月實如酸棗五月採實。(《禦覽》)

名醫一名雞足一名鬾實生漢中及琅邪冤句東海承縣,​​九月十月採實陰乾

 

 

[本經/中經]

 

^^^^^^^^^^^^^^^^^^^^^^^^^^^^^^^^^^^^^^^^^^^^^^^^^^^^^^^^^^^^^^^^^^^^^^^^^

 

山茱萸

 

 

性微溫味酸澁無毒

 

()은 미온(微溫)하고, ()는 산()하고, ()하며, 무독(無毒)하다.

 

 

強陰益精補腎氣興陽道堅長陰莖添精髓煖腰膝助水藏止小便利老人尿不節除頭風鼻塞耳聾

 

강음익정(強陰益精)하고 보신기(補腎氣), 보신흥양(補腎興陽)하며, 음경(陰莖)을 견장(堅長)하게 한다. 정수(精髓)를 축()하고 요슬(腰膝)을 난()하며, 수장(水臟)을 조()하고, 소변리(小便利), 노인(老人)의 절도(節度)가 없는 요()를 멎게 한다. 두풍(頭風), 비색(鼻塞), 이롱(耳聾)을 제거(除去)한다.

 


在處有之葉似楡花白子初熟未乾赤色大如枸杞子有核亦可啖旣乾皮甚薄每一片去核取肉皮四兩爲正


곳곳에서 난다. 잎은 느릅나무 비슷하고 꽃은 희다. 열매가 처음 익어 마르지 않았을 때는 색이 벌건데 크기가 구기자만하며 씨가 있는데 또한 먹을 수 있다. 건피(乾皮)는 심박(甚薄)하고, () 일근(一斤)에서 핵()을 제거(除去)하고, 피육(皮肉)을 사량(四兩)정도 취수(取收)할 수 있는 것이다.

 


肉壯元氣秘精核能滑精故去之九月十月採實陰乾本草

 

()은 원기(元氣)를 장()하고, ()을 비()한다. ()은 곧잘 활정(滑精)하기 때문에 제거(除去)한다. 구월(九月), 십월(十月)에 채실(採實)하여 음건(陰乾)한다.[본초].

 


酒浸去核慢火焙乾用一名石棗入門

 

술에 담갔다가 씨를 버리고 약한 불에 말려서 쓴다. 일명 석조(石棗)라고도 한다[입문].

 

 

 

[동의보감(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