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감반룡환(加減斑龍丸)

2022. 12. 22. 04:38백두산 환&단&약이야기/환& 단[동의보감등]

가감반룡환(加減斑龍丸)

 

 

 

 

녹용(鹿茸), 적지(赤芝), 녹각교(鹿角膠)炒成珠子녹각상(鹿角霜) 토사자(菟絲子)酒浸研細백자인(柏子仁)取仁洗淨숙지황(熟地黃) 백복령(白茯苓) 보골지(補骨脂)

 

 

 

 

반룡환(斑龍丸)

 

 

미려불금(尾閭不禁)이면 창해갈(滄海竭)하고, 구전영단(九轉靈丹)은 각만설(卻慢說)이라, 반룡정상(斑龍頂上)에 유유주(惟有珠)하고, ()히 옥당관하(玉堂關下) ()을 보()한다.

 

 

 

 

대원례(戴原禮)의 증치요결(証治要訣)에서는 두현운(頭眩運)으로 심하면 가옥(家屋)이 전도(轉到)하는 듯하며, 눈이 암흑(暗黑)하여, 혹은 물()이 나는 듯이 보이고, 혹은 물체(物體)가 둘로 보이는 것 등을 치료(治療)하는 데는 용주단(茸珠丹)을 사용(使用)하는 것이 심히 유효(有效)하다고 하였다.

 

 

 

 

 

녹용(鹿茸)

 

 

웅씨(熊氏) 예기소(禮記蔬)에서 ()이란 산수(山獸)로서 양()에 속()하는 것이다. 정음(情淫)하며, ()에 서()하고, 하지(夏至)에는 음기(陰氣)를 득()하여 각()을 해()한다. 이것은 양()에서 퇴(退)하는 상()이다.

 

 

()이라는 지강(至強)한 것으로서 능()히 골(), ()을 보()하며, 양도(陽道)를 견실(堅實)히 하고, 정수(精髓)를 보익(補益)하는 연유(練由)이다. 두부(頭部)는 제양(諸陽)이 집중(集中)하는 곳이므로 상()에 용(), ()에 종집(鍾集)이 되므로 범백(凡百)의 혈()과 비교(比較)가 될 리 없지 않는가.“

 

 

 

적지(赤芝)

 

 

胸中癥結(흉중징결)하는 (), 心氣(심기)()하고 補中(보중)하며, 智慧(지혜)增加(증가)하게 하며, 健忘(건망)을 없앤다.

 

 

久食(구식)하면 經身不老(경신불노)하고 延年(연년)하며, 神仙(신선)이 된다.

 

 

^^^^^^^^^^^^^^^^^^^^^^^^^^^^^^^^^^^^^^^^^^^^^^^^^^^^^^^^^^^^^^^^^^^^

 

 

 

반룡환(斑龍丸)

 

醫學正傳卷三斑龍丸

 

 

 

별명(別名)

 

青囊斑龍丸(《醫學正傳卷三)。

 

 

처방(處方)

 

녹각교(鹿角膠)炒成珠子녹각상(鹿角霜) 토사자(菟絲子)酒浸研細백자인(柏子仁)取仁洗淨숙지황(熟地黃) 250백복령(白茯苓) 보골지(補骨脂)120

 

 

 

제법(制法)

 

上藥磨爲細末酒煮米糊爲丸或以鹿角膠人好酒烊化爲丸如梧桐子大

 

 

공능(功能)

 

온보원양(溫補元陽)익수연년(益壽延年)

 

주치(主治)

 

진양부족(真陽不足)요슬동통(腰膝疼痛)양위조설(陽痿早泄)소변증다(小便增多)이명(耳鳴)체권심번(體倦心煩)노년양허(老年陽虛)시상외한(時常畏寒)기력쇠미(氣力衰微)

 

 

 

용법용량(用法用量)

 

每服50空腹時用薑鹽湯送下

 

 

 

비주(備注)

 

方中鹿角膠鹿角霜通督脈補命門大補精髓最能補精生血而益元陽

 

菟絲子補骨脂助腎陽

 

熟地黃滋補腎陰益陰以配陽

 

柏子仁養心安神茯苓健脾助運

 

諸藥合用共奏溫補元陽延年益壽之功

 

적록 의학정전(醫學正傳)卷三

 

 

 

 

 

반룡환(斑龍丸)

 

醫學正傳卷三引青囊集方》:斑龍丸

 

 

 

별명(別名)

 

仙傳斑龍丸斑鹿丸青囊斑龍丸

 

 

처방(處方)

 

녹각교(鹿角膠)炒成珠子半斤녹각상(鹿角霜)半斤토사자(菟絲子)酒浸研細半斤柏子仁取仁洗淨半斤숙지황(熟地黃)半斤백복령(白茯苓)4보골지(補骨脂)4

 

 

제법(制法)

 

上爲細末酒煮米糊爲丸或以鹿角膠入好酒烊化爲丸如梧桐子大

 

 

 

공능주치(功能主治)

 

자신전정(滋腎填精)익기양혈(益氣養血)승고기경(升固奇經)통보독맥(通補督脈)육자첨사(育子添嗣)연년익수(延年益壽)

 

 

허로신허(虛勞腎虛)진음휴손(真陰虧損)정기부족(精氣不足)유정활정(遺精滑精)양위요통(陽痿腰痛)도한이명(盜汗耳鳴)체권심번(體倦心煩)

 

 

 

 

용법용량(用法用量)

 

仙傳斑龍丸(《醫統卷四十八)、斑鹿丸(《何氏濟生論卷二)、青囊斑龍丸(《飼鶴亭集方》)。本方方名,《東醫寶鑒·雜病篇引作斑龍丹

 

 

 

 

각가논술(各家論術)

 

 

古方選注》:《幹寧記鹿與遊龍相戲必生異角故得稱龍鹿有文故稱斑用其角爲方故名斑龍

 

鹿臥則口朝尾閭故爲奇經督脈之方

 

凡入房竭精耗散其真形神俱去雖溫之以氣補之以味不能複也

 

故以有情之品專走督脈複以少陰太陽之藥治其合乃能搬運精髓填於骨空大會於督脈之囟會而髓海充盈

 

 

鹿角霜通督脈之氣也

 

鹿角膠溫督脈之血也

 

菟絲補骨脂溫腎中之氣也

 

熟地柏仁補腎中之精也

 

柏仁屬木性潤骨脂屬火性燥非但有木火相生之妙而柏仁通心骨脂通腎並有水火既濟之功

 

使以茯苓性上行而功下降用以接引諸藥歸就少陰太陽達於督脈上朝髓海而成搬運之功

 

 

 

摘錄 醫學正傳卷三引青囊集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