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松)[본초강목]

2022. 5. 7. 16:21[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본초강목]

 

 

 

 

 

^^^^^^^^^^^^^^^^^^^^^^^^^^^^^^^^^^^^^^^^^^^^^^^^^^^^^^^^^^^^^^^^^^^^^^^^^^^^

 

 

 

 

 

(《別錄上品

 

 

 

釋名

 

時珍曰按王安石字說松柏為百木之長松猶公也柏猶伯也故松從公柏從白

 

생각하건대 王安石(왕안석)字說(자설)에는 (), ()百木(백목)()으로서 ()은 또한 ()과 같고, ()()과 같은 것이다. 그래서 ()()에 따르고 ()()에 따른다.”라고 하였다.

 

 

集解

 

別錄松脂生太山山谷六月採

 

頌曰松處處有之

其葉有兩鬣五鬣七鬣歲久則實繁中原雖有不及塞上者佳好也松脂以通明如薰陸香顆者為勝

 

宗奭曰松黃一如蒲黃但味差淡松子多海東來今關右亦有但細小味薄也

 

時珍曰松樹 修聳多節其皮粗濃有鱗形其葉後凋三月抽蕤生花長四五寸采其花蕊為松黃結實狀如豬心疊成鱗砌秋老則子長鱗裂然葉有二針三針五針之別三針者為栝子松五針者為松子松

 

其子大如柏子惟遼海及雲南者子大如巴豆可食謂之海松子詳見果部孫思邈云松脂以衡山者為良衡山東五百裡滿谷所出者與天下不同蘇軾云鎮定松脂亦良。《抱朴子凡老松皮內自然聚脂為第一勝於鑿取及煮成者其根下有傷處不見日月者為陰脂尤佳老松余氣結為茯苓千年松脂化為琥珀。《玉策記千年松樹四邊枝起上杪不長如偃蓋其精化為青牛青羊青犬青人伏龜其壽皆千歲

 

 

 

松脂

 

別名

 

松膏(《本經》)、松肪)、),松膠(綱目) 松香() 癧靑

 

 

修治

 

弘景曰采煉松脂法並在服食方中以桑灰汁或酒煮軟納寒水中數十過白滑則可用

 

 

송지(松脂)를 채련(採煉)하는 방법(方法)은 모두 服食方中(복식방중)에 있다. 桑灰汁(상회즙) 또는 술로 ()하여 ()하게 ()하고, 寒水中(한수중)에 넣기를 數十回(수십회) 반복하여 白滑(백활)이 되면 使用(사용)한다.

 

 

頌曰凡用松脂先須煉治用大釜加水置甑用白茅借甑底又加黃砂於茅上濃寸許然後布松脂於上炊以桑薪湯減頻添熱水候松脂盡入釜中乃出之投於冷水既凝又蒸如此三過其白如玉然後入用

 

대개 松脂(송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먼저 煉治(연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大釜(대부)를 사용하여 물을 ()한 다음 松脂(송지)를 그 위에다 깐다. 또한 黃砂(황사)를 그 茅上(모상)에다 두께 一村(일촌)정도 ()한 다음 松脂(송지)를 그 위에다 깔고 桑薪(상신)을 지핀다. ()減少(감소)되면 頻繁(번번)熱水(열수)添加(첨가)하여 松脂(송지)가 완전히 ()하면, 釜中(부중)에 들어가는 것을 기다렸다가 꺼내어 冷水(냉수)에다 ()하면 充分(충분)凝固(응고)하게 돈다. 또한 이렇게 二回(이회) ()하면 그것이 ()처럼 白色(백색)이 된다. 그런 다음 넣어서 사용한다.

 

 

 

氣味

 

無毒

權曰

震亨曰松脂屬陽金伏汞

 

 

 

主治

 

癰疽惡瘡頭瘍白禿疥瘙風氣安五臟除熱久服輕身不老延年(《本經》)。

 

癰疽惡瘡(옹저악창), 頭瘍白禿(두양백독), 疥瘙(개소), 風氣(풍기), 五臟(오장)安定(안정)하고 除熱(제열)한다. 久服(구복)하면 經身不老(경신불노), 延年(연년)한다.

 

 

除胃中伏熱咽乾消渴風痺死肌煉之令白其赤者主惡痺(《別錄》)。

 

胃中(위중)伏熱(복열), 咽乾(인건), 消渴(소갈), 風痺(풍비), 死肌(사기)除去(제거)한다. 이것을 ()하여 하얗게 만든다. 그 붉은 것은 惡痺(악비)主效(주효)가 있다.

 

 

煎膏生肌止痛排膿抽風貼諸瘡膿血瘺爛塞牙孔殺蟲甄權)。

 

煎膏(전고)生肌(생기)하고 止痛(지통), 排膿(배농)하며, 抽風(추풍)한다. 諸瘡(제창)膿血(농혈), 瘺爛(누란)에 붙이면 牙孔(아공)을 막아 殺蟲(살충)한다.

 

 

除邪下氣潤心肺治耳聾古方多用辟谷大明)。

 

除邪下氣(제사하기)하고, 心肺(심폐)()하며, 耳聾(이롱)()한다. 古方(고방)에서는 이것을 辟谷(벽곡)多用(다용)하였다.

 

 

強筋骨利耳目治崩帶時珍)。

 

筋骨(근골)强健(강건)하게 하고고, 耳目(이목)()하며, 崩帶(붕대)()한다.

 

 

 

發明

 

弘景曰柏皆有脂潤淩冬不凋 理爲佳物,但人多輕忽近易之爾

 

(), ()은 모두 脂潤(지윤)이 있고 겨울을 견디면서 ()하지 않는다. ()로서 ()한 것이며, 服食家(복식가)多用(다용)하고 있으나 一般(일반)에게는 대개의 경우 輕忽(경홀)取扱(취급)을 받는다.

 

頌曰道人服餌或合茯苓松柏實菊花作丸亦可單服

 

 

道士(도사)服餌(복이)에는 茯苓(복령), (), 柏實(백실), 菊花(국화)()하여 ()을 만든다. 또는 單服(단복)하는 것도 좋다.

 

時珍曰松葉松實服餌所須松節松心耐久不朽松脂則又樹之津液精華也

 

松葉(송엽), 松實(송실)服餌(복이)에 있어서 必要品(필요품)으로 되어 있다. 松節(송절), 松心(송심)은 오랫동안 견디고 썩지 않는다. 松脂(송지)는 또한 ()津液(진액)精華(정화)로서 土中(토중)에 있으면서 썩지 않는다.

 

 

在土不朽流脂日久變為琥珀宜其可以辟谷延齡

 

流脂(유지)지는 오랬동안에 ()하여 琥珀(호박)이 된다. 이것이 辟谷(벽곡)하고 年齡(연령)을 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당연한 일인 것이다.

 

 

葛洪抱朴子上黨趙瞿病癩歷年垂死其家棄之送置山穴中瞿怨泣經月有仙人見而哀之以一囊藥與之瞿服百余日其瘡都愈顏色豐悅肌膚玉澤仙人再過之瞿謝活命之恩乞求其方

 

葛洪抱朴子(갈홍포박자)에는 上黨(상당)趙瞿(조구)癩病(나병)에 걸려 歷年(역년)으로 滨蛇床(빈사상)태가 되어 그 집에서는 山穴中(산혈중)에 갖다 벼려 一個月餘(일개월여)怨泣(원읍)하였다. 어는 仙人(선인)이 그것을 보고 불쌍히 여겨 한 囊藥(낭약)을 주어, 百餘日(백여일)에 걸쳐 服用(복용)시켰던 바 그 ()은 완전히 ()하고 顔色(안색)豐悅(풍열)해졌으며, 肌膚(기부)玉澤(옥택)이 되었다. () 다시 그 仙人(선인)을 만났을 때 구()活命(활명)恩惠(은혜)를 사()하고, ()求乞(구걸)하였다.

 

 

 

 

仙人曰此是松脂山中便多此物汝煉服之可以長生不死瞿乃歸家長服身體轉輕氣力百倍登危涉險終日不困年百餘歲齒不墜發不白夜臥忽見屋間有光大如鏡久而一室盡明如晝又見面上有采女一人戲於口鼻之間後入抱犢山成地仙

 

仙人(선인)이것은 松脂(송지)인데 山中(산중)에는 이것이 많이 있다. 그대도 이것을 鍊服(연복)하여 長生不死(장생불사)()하는 것이 좋다.”라고하였다. 그래서 趙瞿(조구)歸家(귀가)하여 長期(장기)에 걸쳐 그것을 服用(복용)하였는데, 몸이 더욱더 가볍고 氣力(기력)百倍(백배)하였 危高(위고)에 오르고 險難(험난)()하여도 疲困(피곤)하지않았으며, 百餘歲(백여세)에도 落齒(낙치)하지 않았을뿐더러 毛髮(모발)白色(백색)이 되지 않았다. 밤에 누우면 忽然(홀연)히 방 안에 거울 정도 크기의 빛이 있는 것이 보였고, 얼마 후에는 방안이 온통 낮처럼 밝아졌다. 또한 面上(면상)에 한 사람의 采女(채녀)가 나타나 입과 코 사이에서 회롱했는데, ()에는 抱犢山(포독산)에 들어가 地仙(지선)이 되었다.

 

 

於時人聞瞿服此脂皆競服之車運驢負積之盈室不過一月未覺大益皆輒止焉志之不堅如此張杲醫說有服松丹之法

 

當時(당시) 世間(세간)에서는 趙瞿(조구)가 이 松脂(송지)服用(복용)했다는 것을 전해 듣고 모두 다투어 이것을 服用(복용)하였고, 달구지로 운반하고 ()의 등에다 싣고 와서 방안이 가득찰 정도였으나 一個月(일개월)도 넘기지 못하고 미쳐 大益(대익)을 얻지 못했기 때문에 흐지부지 中止(중지)해 버렸다. 意志(의지)()하지 못한 것은 이런 것이다.“라고 하였다. 張杲(장고)醫說(의설)에는 松丹(송단)df 服用(복용)하는 법에 대한 方法(방법)이 있다.

 

 

附方

 

舊七新十七

 

服食辟谷︰《千金方》︰用松脂十斤以桑薪灰汁一石煮五七沸漉出冷水中凝複煮之凡十遍乃白細研為散每服一二錢粥飲調下日三服服至十兩以上不飢飢再服之一年以後夜視目明久服延年益壽又法百煉松脂治下篩蜜和納筒中勿見風日每服一團一日三服服至百日耐寒暑二百日五臟補益五年即見西王母

伏虎禪師服法用松脂十斤煉之五度令苦味盡每一斤入茯苓末四兩每旦水服一刀圭能令不食而複延齡身輕清爽

 

強筋補益四聖不老丹用明松脂一斤以無灰酒沙鍋內桑柴火煮數沸竹枝攪稠乃住火傾入水內結塊複以酒煮九遍其脂如玉不苦不澀乃止為細末用十二兩入白茯苓末半斤黃菊花末半斤柏子仁去油取霜半斤煉蜜丸如梧桐子大每空心好酒送下七十二丸須擇吉日修合勿令婦人犬松梅丸用松脂以長流水桑柴煮拔三次再以桑灰滴汁煮七次扯拔更以好酒煮二次仍以長流水煮二次色白不苦為度每一斤入九蒸地黃末十兩烏梅末六兩煉蜜丸梧桐子大每服七十丸空心鹽米湯下健陽補中強筋潤肌大能益人。(白飛霞方外奇方》)

 

揩齒固牙松脂出鎮定者佳),稀布盛入沸湯煮取浮水面者投冷水中不出者不用),研末入白茯苓末和勻日用揩齒漱口亦可咽之固牙駐顏。(蘇東坡仇池筆記》)

歷節諸風百節酸痛不可忍松脂三十斤煉五十遍以煉酥三升和松脂三升攪令極稠每旦空心酒服方寸匕日三服數食面粥為佳慎血腥生冷酢物果子一百日瘥。(《外台秘要》)

 

肝虛目淚煉成松脂一斤釀米二斗水七斗曲二斗造酒頻飲之婦人白帶松香五兩酒二升煮乾木臼杵細酒糊丸如梧桐子大每服百丸溫酒下。(《摘玄方》)

小兒禿瘡︰《簡便方》︰用松香五錢豬油一兩熬一日數次數日即愈。《衛生寶鑒》︰用瀝青二兩黃蠟小兒緊脣松脂炙化貼之。(《聖惠方》)

 

風蟲牙痛刮松上脂滾水泡化一漱即止已試驗。(《集簡方》)

 

齲齒有孔松脂 塞須臾蟲從脂出也。(《梅師方》)

久聾不聽煉松脂三兩巴豆一兩和搗成丸薄綿裹塞一日二度。(《梅師方》)

一切 瘡煉成松脂末填令滿日三四度。(《聖惠方》)

一切腫毒松香八兩銅青二錢蓖麻仁五錢同搗作膏攤貼甚妙。(李樓奇方》)

 

軟癤頻發翠玉膏用通明瀝青八兩銅綠二兩麻油三錢雄豬膽汁三個先溶瀝青乃下油傾入水中扯拔器盛每用緋帛攤貼不須再換小金絲膏治一切瘡癤腫毒瀝青白膠香各二兩乳香二錢沒藥一兩黃蠟三錢又以香油三錢同熬至滴下不散傾入水中扯千遍收貯每捻作餅貼之疥癬濕瘡松膠香研細稍入輕粉先以油塗瘡糝末在上一日便乾頑者三二度愈。(《劉涓子鬼遺方》)

 

陰囊濕癢欲潰者用板兒松香為末紙卷作筒每根入花椒三粒浸燈盞內三宿取出點燒淋下油搽之先以米泔洗過。(《簡便方》)

 

金瘡出血瀝青末稍加生銅屑末糝之立愈。(唐瑤經驗方》)

 

豬嚙成瘡松脂煉作餅貼之。(《千金》)

刺入肉中百理不瘥松脂流出如乳頭香者敷上以帛裹五日當有根出不痛不癢不覺自安。(《兵部手集》)

 

 

 

松節

 

氣味

 

無毒

 

主治

 

百節久風風虛腳痺疼痛(《別錄》)。

 

百節(백절)九風(구풍), 風虛(풍허)脚痺疼痛(각비동통)

 

 

 

釀酒主腳弱骨節風弘景)。

 

釀酒(양주)하면 脚弱(각약), 骨節風(골절풍)主效(주효)가 있다.

 

 

炒焦治筋骨間病能燥血中之濕.(朱震亨)

 

 

炒焦(초초)하여 筋骨間(근골간)()()한다. 곧잘 血中(혈중)()()한다.

 

 

治風蛀牙痛,煎水含漱,或燒灰日揩,有效(時珍)

 

風蛛牙痛(풍주아통)()한다. 水煎(수전)하여 含漱(함수)하고, 또는 燒灰(소회)하여 每日(매일)()하면 有效(유효)하다.

 

 

 

發明

 

時珍曰松節松之骨也質堅氣勁久亦不朽故筋骨間風濕諸病宜之

 

 

松節(송절)()()로서 ()()하고, ()()하며 오랫동안 썩지않는다. 그래서 筋骨間(근골간)風濕諸病(풍습제병)에는 이것이 適合(적합)하다.

 

 

 

 

附方

 

舊二新五歷節風痛四肢如解脫松節酒用二十斤酒五斗浸三七日每服一合日五六服。(《外台》)

 

轉筋攣急松節一兩銼如米大),乳香一錢銀石器慢火炒焦存一二分性出火毒研末每服一二錢熱木瓜酒調下一應筋病皆治之。(孫用和秘寶方》)

 

風熱牙痛︰《聖惠方》︰用油松節如棗大一塊碎切),胡椒七顆入燒酒須二三盞乘熱入飛過白礬少許噙漱三五口立瘥又用松節二兩槐白皮地骨皮各一兩漿水煎湯熱漱冷吐瘥乃止反胃吐食松節煎酒細飲之。(《百一方》)

 

陰毒腹痛油松木七塊炒焦沖酒二鐘熱服。(《集簡方》)

 

顛撲傷損松節煎酒服。(談野翁方

 

 

 

 

+詣 音詣 燒取松枝取液也.

 

松枝(송지)燒取(소취)()이다.

 

 

主治

 

瘡疥及馬牛瘡蘇恭)。

 

瘡疥(창개) (), ()().

 

 

 

松葉

 

別名

 

松毛

 

氣味

 

無毒

 

主治

 

風濕瘡生毛發安五臟守中不飢延年(《別錄》)。

 

風濕瘡(풍습창), 毛髮(모발)을 나오게 하고 오장을 安定(안정)하며 守中(수중), 不肌(불기)하고 千壽(천수)年長(연장)한다.

 

 

細切以水及面飲服之或搗屑丸服可斷谷及治惡疾弘景)。

 

細切(세절)하여 물과 ()으로 飮服(음복)한다. 또는 찧어서 ()로 하여 ()을 만들어 服用(복용)한다. 斷穀(단곡)하며 惡疾(악질)()할 수있다.

 

 

凍瘡風濕瘡大明)。

 

()하여 凍瘡(동창), 風瘡(풍창)()하는 것이 좋다.

 

 

 

去風痛腳痺殺米蟲時珍)。

 

風痛(풍통), 脚痺(각비)除去(제거)하고, 米蟲(미충)()한다.

 

 

附方

 

舊六新三

 

服食松葉松葉細切更研每日食前以酒調下二錢亦可煮汁作粥食初服稍難久則自便矣令人不老身生綠毛輕身益氣久服不已絕穀不飢不渴。(《聖惠方》)

天行溫疫松葉細切酒服方寸匕日三服能辟五年瘟。(《傷寒類要》)

中風口 青松葉一斤搗汁清酒一斗浸二宿近火一宿初服半升漸至一升頭面汗出即止。(《千金方》)

 

三年中風松葉一斤細切以酒一斗煮取三升頓服汗出立瘥。(《千金方》)

 

歷節風痛松葉搗汁一升以酒三升浸七日服一合日三服。(《千金方》)

 

腳氣風痺松葉酒治十二風痺不能行服更生散數劑及眾療不得力服此一劑便能行遠不過兩劑松葉六十斤細銼以水四石煮取四斗九升以米五斗釀如常法別煮松葉汁以漬米並 飯泥釀封頭七日發澄飲之取醉得此酒力者甚眾。(《千金方》)

 

風牙腫痛松葉一握鹽一合酒二升煎漱。(《聖惠方》)

 

大風惡瘡豬鬃松葉二斤麻黃去節五兩以生絹袋盛清酒二斗浸之春夏五日秋冬七日每溫服一小盞常令醺醺以效為度。(《聖惠方》)

 

陰囊濕癢松毛煎湯頻洗。(《簡便方》)

 

 

 

松花

 

別名

 

松黃

 

氣味

 

無毒

 

震亨曰多食發上焦熱病

 

多食(다식)하면 上焦(상초)熱病(열병)이 일어난다.

 

 

主治

 

潤心肺益氣除風止血亦可釀酒時珍)。

 

 

(), ()()하고, 益氣(익기), 除風(제풍) 하며, 止血(지혈)한다. 또한 釀酒(양주)하는 것도 좋다.

 

發明

 

恭曰:松花即松黃,拂取正似蒲黃,久服令輕身,療病勝似皮葉及脂也

 

松花(송화) 松黃(송황)을 털어 모은 것으로서 蒲黃(포황)類似(유사)하다. 술을 담가 服用(복용)하면 輕身(경신)하고, ()()하는데 (), (), ()보다 좋은 것이다.

 

 

頌曰花上黃粉山人及時拂取作湯點之甚佳但不堪停久故鮮用寄遠

 

花上(화상)黃分(황분)이다. 仙人(선인)은 그 時期(시기)가 되면 털어서 ()한다. ()을 만들어 ()하는데 매우 좋다. 단 오래 保存(보존)할 수 없기 때문에 遠方(원방)으로 輸送(수송)하는 경우는 적다.

 

 

時珍曰今人收黃和白沙糖印為餅膏充果餅食之且難久收恐輕身療病之功未必勝脂葉也

 

 

지금은 一般的(일반적)으로 ()()하여 白沙糖(백사당)調和(조화)하고 ()하여 餅膏(병고)를 만들어 果餅(과병)으로 먹는다. 그러나 오래 保存(보존)할 수 없는 것이다. 과연 輕身療病(경신요병)하는 ()이 반드시 ()()보다는 좋다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

 

 

附方

 

舊一新一

 

頭旋腦腫三月收松花並苔六寸如鼠尾者蒸切一升以生絹囊貯浸三升酒中五日空心暖飲五合。(《普濟方》)

產後壯熱頭痛頰赤口乾脣焦煩渴昏悶用松花蒲黃川芎當歸石膏等分為末每服二錢水二合紅花二捻同煎七分細呷。(《本草衍義》)

 

 

 

根白皮

 

氣味

 

無毒

 

 

主治

 

辟穀不飢(《別錄》)。

 

辟穀不肌(벽곡불기)

 

 

補五勞益氣大明)。

 

五勞(오로)()하고 益氣(익기)한다.

 

 

 

木皮

 

別名

 

赤龍皮

 

主治

 

癰疽瘡口不合生肌止血治白禿杖瘡湯火瘡時珍)。

 

癰疽(옹저)瘡口(창구)療合(요합)하지 않는 경우, 生肌止血(생기지혈)하고 白禿(백독), 杖瘡(장창), 燙火傷(탕화상)()한다.

 

 

 

附方

 

新四

 

腸風下血松木皮去粗皮取裡白者焙研為末每服一錢臘茶湯下。(《楊氏家藏方》)

三十年痢赤松上蒼皮一斗為末面粥和服一升日三不過一斗救人。(《聖惠方》)

金瘡杖瘡赤龍鱗即古松皮), 存性研末搽之最止痛。(《永類鈐方》)

小兒頭瘡浸濕名胎風瘡古松上自有赤濃皮入豆豉少許瓦上炒存性研末入輕粉香油調塗之。(《經驗良方》)

 

 

松實 見果部

艾納 見草部苔類桑花下

松蕈 見菜部香蕈下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송자(海松子)[본초강목]  (0) 2022.05.07
토형피(土荊皮)[본초강목습유]  (0) 2022.05.07
패모(貝母)[본초강목]  (0) 2022.04.29
녹약(鹿藥)  (0) 2022.04.29
황정(黃精)[본초강목]  (0) 2022.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