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패모(平貝母)

2022. 4. 29. 01:04백두산 본초 이야기/백두산 본초 도감

평패모(平貝母)

 

 

 

 

 

패모

 

이명 : [조선패모] [검정나리] [검나리]

학명 : Fritillaria ussuriensis Maxim.

분류군 : Liliaceae(백합과)

일명 : チョウセンバイモ(Chosen-baimo)

영명 : Ussuri Fritillary

 

잎은 대생 또는 3개씩 윤생하고 선형이며 길이 10cm로서 엽병이 없고 끝이 뾰족하며 윗부분의 잎은 덩굴손처럼 말린다.

 

열매

삭과는 6개의 날개가 있으며 짧고 삼각형이다.

 

꽃은 5월에 피고 길이 2-3로서 자주색이며 윗부분의 엽액에 1개씩 밑을 향해 달린다. 화피열편(花被裂片)6개로서 주걱형 둔두이고 수술은 6개로서 꽃잎보다 짧으며 주두는 3갈래로 갈라진다.

 

줄기

원줄기는 곧추 25cm정도 자라며 털이 없다.

 

뿌리

인경은 백색이고 둥글며 다소 납작하고 높이 0.5-1cm, 지름 0.8-2cm로 짙은 유백색이고 5-6개의 육질 인편으로 되었으며 밑에 수염뿌리가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우수리, 만주 등에 분포한다.

중남부에서 재배하고, 함남(갑산) 등 북부의 산지에 야생한다.

 

형태

다년초.

크기

높이 약 25cm.

 

 

 

 

생육 환경

산지에서 자란다.

비교적 따뜻하고 건조한 기후에 적당한데, 우리나라에서는 아주 추운지방을 제외한 전국 각지에서 재배할 수 있다. 토질은 물빠짐이 좋은 질찰흙 또는 모래참흙이 적당하며, 습기가 많은 땅에서는 생장이 불량하므로 적당하지 못하다.

내한성

중간

토양

비옥

수분

건조

 

/번식방법

 

주로 구근으로 번식하지만 종자 또는 인편의 삽목법에 의하여 번식시킬 수 있다.

1.인경번식법: 정식용 인경은 수확하여 큰 것은 약재로 가공조제하고 작은 것은 번식용으로 심는다. 모판의 위치는 동남향으로서 햇빛과 바람이 잘 통하여 적습한 식질양토 또는 사질양토가 좋다.

 

2.인편삽목법: 삽목상(揷木床)은 깨끗한 모래와 황토를 체에 쳐서 반반씩 섞어 만든다. 삽목 후에는 물을 충분히 주고 상토 표면에 짚을 깔아 주고 햇빛을 가려 주며 상토의 건조에 주의하면서 기상에 따라 관수한다. 인편은 발근하고 잎이 자라면서 자구(子球)가 생긴다.

 

재배특성

 

비교적 따뜻하고 건조한 기후에 적당한데, 우리나라에서는 아주 추운지방을 제외한 적국 각지에서 재배할 수 있다. 토질은 물빠짐이 좋은 질참흙 또는 모래참흙이 적당하며, 습기가 많은 땅에서는 생장이 불량하므로 적당하지 못하다.

땅속에 생기는 비늘줄기로 번식하는 것이 보통이나 때로는 바늘잎 또는 씨앗으로서도 번식할 수 있다.

 

비늘줄기 번식법

:

비늘줄기를 캐는 시기는 재배 환경에 따라 다소 다르나, 보통은 6월 상순경이다. 캔 것은 비늘줄기에 붙어 있는 새끼비늘줄기를 대소로 구별하여 1개의 무게 7-10kg이상의 것을 본밭에 바로 심고, 이보다 작은 것은 모판에서 길러서 본밭에 심는다. 심은 후에 곧 짚이나 풀을 전면에 깔아 주는데, 이것은 생육상 매우 효과가 있다. 이랑을 만들어 심는 것보다 밭에 그대로 골을 타고 심은 것에는 더 많은 양을 필요로 한다.

 

비늘잎 꺾꽂이법

:

패모 모종이 부족할 때나 비늘잎 줄기가 비늘잎으로 되었을때 이 방법을 이용한다. 꺽꽂이상은 깨끗한 모래와 산기슭의 황토를 반반씩 체로 쳐서 만든다. 상토의 깊이는 12-15cm정도로 하여 꽂은 후 물을 충분히 주고, 짚을 깔아 준 후에도 건조하면 계속 물을 준다. 관리를 잘 해주어 시일이 경과하면 새끼비늘줄기가 생기므로 이것을 모판에서 육묘한 후 아주 심는다.

 

 

이용방안

 

鱗莖(인경)貝母(패모)라 하며 약용한다.

 

여름, 가을에 인경을 캐어 흙을 씻어내고 대,2종류로 선별, 큰 것은 心芽(심아)를 제거하고 2편으로 쪼갠다. ,소를 각각 擦籠(찰롱)으로 외피를 벗기고 석회를 가하여 고루 잘 혼합하여 하룻밤을 재워서 석회가 흡수되게 하여 햇볕이나 약한 불에 쬐어 말린다.

 

성분/약리 : 함유되어 있는 alkaloid氣管支平滑筋(기관지평골근)을 확장시켜 분비를 감소시키므로 鎭咳祛痰(진해거담)의 작용이 좋고 아트로핀()의 작용이 있으므로 氣管支平滑筋(기관지평골근)弛緩(이완)시켜 분비를 감소시키는 외에 또 瞳孔(동공)을 확대하여 혈압강하의 작용을 가진다.

 

약효 : 淸熱(청열), 化痰(화담), 鎭咳(진해), 散結(산결), 해독의 효능이 있다. 風熱(풍열)에 의한 咳嗽(해수), 肺癰(폐옹)으로 인한 喉痺(후비), 나력, 瘡瘍腫毒(창양종독)을 치료하고 川貝母(천패모)潤肺散結(윤폐산결), 止嗽化痰(지수화담)의 효능이 있다. 虛勞咳嗽(허로해수), 吐痰喀血(토담객혈), 心胸鬱結(심흉울결), 폐위, 영류, 나력, 喉痺(후비), 乳癰(유옹)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4.5-9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쓴다. <외용> : 가루 내어 살포한다.

 

유사종

 

중국산 절패모(F. verticillata Willd. var. thunbergii Baker)

감숙패모(F. przewalski Max.)

구주산(F. meleagris L.)

특징

한약으로 사용되는 패모는 중국패모로서 인경(鱗莖)2개의 인편(鱗片)으로 되고 꽃은 연한 황색이며 뚜렷하지 않은 그물같은 무늬가 있다.

 

병충해정보

 

병해

엽고병: 꽃봉오리가 생겨서 개화기까지에 발생하는데 원인은 배수가 나쁘거나 토질이 맞지 않는 곳에서 재배하면 발병이 심하다.

방제방법

 

엽고병: 6-6식 보르도액을 계속 2-3회 살포한다.

 

 

 

 

 

학명 Fritillaria ussuriensis Maxim.

Decas plantarum novoruin 9 (1882)

국명 패모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검나리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2. 검정나리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패모

1) 한조식물명칭사전 (한진건, 장굉문, 왕용, 풍지원, 1982)

영문명 : Ussuri Fritillary

일본명 : チョウセンバイモ

북한명 :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평패모(平貝母)

Fritillaria ussuriensis Maxim.

 

 

 

 

이명(異名)

 

Fritillaria ussuriensis f. lutosa C. F. Fang

Fritillaria unibracteata var. sulcisquamasa (S. Y. Yang et S. C. Yueh) Hsiao et S. C. Yu

 

草本鱗莖粗1-1.4厘米由少數肥厚的鱗瓣組成莖高40-60厘米基部以上具葉葉條形9-15厘米2-6毫米頂端呈卷須狀上部葉的頂端極卷曲基部的對生或輪生上部的對生或互生單花頂生俯垂稀爲2具極狹的條狀苞片苞片頂端極卷曲花梗比花短花被鍾狀花被片6矩圓狀倒卵形鈍頭2-3.5厘米5-15毫米外面褐紫色內面紫色具黃色方格斑紋基部的上方具蜜腺雄蕊6長約爲花被片的1/2花柱具乳頭狀突起柱頭3深裂蒴果寬倒卵形具圓棱

 

分布於東北的長白山區朝鮮蘇聯遠東地區也有

 

生林中肥沃土壤上在吉林遼寧已有栽培鱗莖藥用

^^^^^^^^^^^^^^^^^^^^^^^^^^^^^^^^^^^^^^^^^^^^^^^^^^^^^^^^^^^^^^^^^^^^^^^

 

 

평패모(平貝母)

Fritillaria ussuriensis Maxim.

 

 

별명(別名)

坪貝貝母平貝

 

귀경(歸經)

歸肺經

 

약리작용(藥理作用)

 

1.抗潰瘍作用 平貝母總堿3mg/100g1.5mg/100g大鼠皮下注射對幽門結紮型潰瘍腹腔注射對消炎痛型潰瘍及應激性潰瘍均有一定的抑制作用這些作用可能與其抑制胃蛋白酶活性有關

 

2.其他作用 平貝母浸膏對實驗性動物具有中樞抑制作用平貝母總生物堿平貝堿甲均有明顯的祛痰和降血壓作用3.毒性 平貝母總堿給小鼠靜注的LD5084.2mg/kg腹腔注射的LD50148.4mg/kg亞急性毒性試驗表明每只小鼠分別皮下注射平貝母總堿0.3mg0.15mg每日1連續3星期對血象肝爲腎功以及心腎均無影響

 

약화학성분(藥化學成分)

 

鱗莖含西貝母堿-3β-D-葡萄糖甙sipeimine-3β-D-glucoside),貝母辛堿peimisine),西貝母堿sipeimine),平貝堿甲pingbeimine A),平貝堿乙pingbeimine B),平貝堿丙pingbeimine C及平貝堿甙pingbeimine glucoside)。

 

葉含貝母辛堿平貝堿甲平貝定甙pingbeidinoside),24α-羥基薯蕷皂甙元-3-O-α-rhamnopyranosyl-12)β-D-吡喃葡萄糖甙24α-hydroxydiosgenin-3-O-α-rhamnopyranosyl-12-β-D-glucopyranoside〕。

 

花含貝母辛堿去氫浙貝母堿peiminine),及貝母屬堿Afritillarine A)。

 

全草含平貝七環堿ussuriendine),平貝七環酮堿ussuriendinone),平貝七環堿甲醚ussurienine),平貝七環酮堿甲醚ussurienone),平貝酮pingbeinone),黑龍江貝寧beilonine)。

 

 

공효(功效)

청열윤폐(清熱潤肺)화담지해(化痰止咳)

 

과속분류(科屬分類)

百合科

 

 

 

주치(主治)

 

폐열조해(肺熱燥咳)간해소담(幹咳少痰)음허로수(陰虛勞嗽)각담대혈(咯痰帶血)라력(瘰鬁)유옹(乳癰)

 

생태배경(生態環境)

生於林中肥沃土壤上

 

 

채수화저장(采收和貯藏)

 

鱗莖繁殖1-2年收獲種子繁殖5-6年收獲5月下旬或6月上旬采收將鱗莖挖出除去泥土及須根曬幹或烘幹

 

 

용약금기(用藥禁忌)

反烏頭

 

식물형태(植物形態)

平貝母 草本40-60cm

 

鱗莖粗1-1.4cm2枚肥厚的鱗瓣組成周圍還有少數小鱗莖莖基部以上具葉葉輪生或對生中部以上兼有少數散生葉條形9-15cm2-6cm先端不卷曲或稍卷曲1-3頂生俯垂紫色而具黃色小方格頂端的花具4-6枚葉狀苞片條狀苞片先端極卷曲花被鍾狀花被片6長圓狀倒卵形鈍頭基部上方有蜜腺雄蕊6長約爲花被片的3/5花柱具乳頭狀突起柱頭3深裂蒴果寬倒卵形具圓棱花期5-6

 

공효분류(功效分類)

청열윤폐약(清熱潤肺藥)화담지해(化痰止咳)

 

 

약용식물재배(藥用植物栽培)

 

生物學特性

 

喜冷涼濕潤氣候耐寒怕幹旱炎熱能耐-37度的低溫當氣溫28度時地上植株枯萎從幼苗到枯萎生長期60d左右以土層深厚疏松濕潤和富含腐殖質的砂質壤土栽培爲最好栽培技術用鱗莖和種子繁殖以鱗莖繁殖爲主6月份收獲鱗莖時大的加土入藥中小者作種栽中等的種栽按行距5-10cm株距5cm小的種栽按行株距5cm×3cm栽後覆土5-6cm澆水然後在畦上撒2-3cm厚的土糞以保持土壤水分種子繁殖秋播均可6月份果實成熟種子采下稍幹立即播種條播在畦面上按行距100cm深度0.5-1cm開淺溝將種子播入溝內覆蓋薄薄一層細土稍加鎮壓後澆水保持土壤濕潤

 

田間管理

 

出苗後要松土除草並進行第1次追肥1hm2施硝酸銨150kg2次於秋季在畦面上蓋2-3cm的廄肥6月初地上部枯萎鱗莖進入休眠期宜種植遮蔭作物

 

병충해방치(病蟲害防治)

 

鏽病爲害莖葉用萎鏽靈600倍液噴霧7d1連噴3-4黑腐病爲害鱗莖拔除病株撒石灰消毒病穴50%多菌靈1000倍液灌根

 

 

포제방법(炮制方法)

除去雜質用時搗碎

 

 

생약재감정(生藥材鑑定)

 

性狀鑒別本品呈扁球形0.5-1cm直徑0.6-2cm表面乳白色或淡黃白色外層鱗葉2肥厚大小相近或一片稍大抱合頂端略平或微凹入常稍開裂中央鱗片小質堅實而脆斷面粉性氣微味苦

  

 

顯微鑒別粉末特征類白色

 

澱粉粒單粒多爲圓三角形圓貝殼形三角狀卵形長繭形直徑6-5874)μm長約至67μm臍點裂縫狀點狀或人字狀多位於較小端層紋細密半複粒減少臍點2多臍點單粒可見臍點2-4

氣孔類圓形或扁圓形直徑40-4850)μm副衛細胞4-6

 

 

성미(性味)

味苦性微寒

 

약재기원(藥材基源)

爲百合科植物平貝母的鱗莖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湯3-9g研粉每次1-2g

 

출처

중화본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