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몽화(密蒙花)[동의보감]

2022. 2. 13. 01:45[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밀몽화(密蒙花)[동의보감]

 

 

 

 

 

밀몽화(密蒙花)

 

 

우리나라에서는 마전과의 밀몽화(Buddleja officinalis Maximowicz)의 꽃봉오리를 말한다. 중국에서는 우리나라와 같은 식물을 사용하며 일본에서는 공정생약으로 수재되지 않았다.

 

 

 

밀봉화는 꽃이 빽빽하고 흐드러지게 피어서 아름다운 문장(簇錦:주금)을 보는 것과 같기 때문에 수금화(水錦花)라는 별칭이 붙었다.

 

이 약은 향기가 조금 있으며 맛은 약간 달고 성질은 차다.[甘寒]

 

밀몽화는 간열로 인한 안구충혈, 동통, 햇빛을 꺼리고 눈물이 흐르는 증상, 백내장, 녹내장에 사용한다. 또한 어린이의 마마, 홍역 및 감질의 독이 눈에 침범한 것 등을 치료한다.

 

약리작용으로 acaciin, acacetin 등의 성분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불규칙한 원추상으로 바깥 면은 황색이고 부드러운 털로 싸여 있다. 꽃봉오리는 짧은 막대모양으로 질은 부드럽다.

 

다른 이름으로 황반화(黃飯花), 양이타(羊耳朶), 수금화(水錦花), 소금화(小錦花), 몽화주(蒙花珠), 몽화(蒙花), 소면화(小綿花), 밀몽나무 등이 있다.

 

네이버 백과사전

 

^^^^^^^^^^^^^^^^^^^^^^^^^^^^^^^^^^^^^^^^^^^^^^^^^^^^^^^^^^^^^^^^^^^

 

 

밀몽화(密蒙花)

 

Buddleja officinalis Maxim.

 

 

이명(異名)

 

Buddleja officinalis var. macrantha Lingelsh.

 

 

 

 

 

灌木1-3小枝略呈四棱形密被灰白色絨毛葉對生矩圓狀披針形至條狀披針形5-10厘米寬約1-3厘米頂端漸尖基部楔形全緣或有小鋸齒上面被細星狀毛下面密被灰白色至黃色星狀茸毛聚傘圓錐花序頂生5-10厘米密被灰白色柔毛花芳香花萼4外面被毛花冠淡紫色至白色筒狀長約1-1.2厘米徑約2-3毫米筒內面黃色疏生茸毛外面密被茸毛雄蕊4著生於花冠筒中部子房頂端被茸毛蒴果卵形2瓣裂種子多數具翅

 

分布於陝西甘肅西南中南等省區山坡雜木林地河邊和丘陵常見花供藥用可清肝明目退黯止咳

 

 

Buddleja officinalis Maxim.

Bull. Acad. Petersb. xxvi. (1880) 496.

xxvi. (1880) 496. 0

Original Data:

Notes: China

 

 

 

출처:IPNI

^^^^^^^^^^^^^^^^^^^^^^^^^^^^^^^^^^^^^^^^^^^^^^^^^^^^^^^^^^^^^^^^^^^

 

 

密蒙花

 

밀몽화(密蒙花)

 

 

 

性平一雲微寒味甘無毒

 

()은 평()하고<일운(一雲) 미한(微寒)> ()는 감()하고 무독(無毒)하다.

 

 

主靑盲膚次赤怴多淚小兒瘡疹及疳氣攻眼

 

청맹(靑盲), 부예(膚翳), 적종(赤腫), 치루(眵淚)가 많은 것, 소아(小兒)의 창진(瘡疹) 및 감기(疳氣)가 눈을 공()하는 것에 주효(主效)하다.

 


花細碎數十房成一朶冬生春開二三月採花暴乾本草


꽃은 세쇄(細碎)하여 수십방(數十房)이 일타(一朶)를 이룬다. 겨울에 나와 봄에 핀다. ()~삼월(三月)에 채화(採花)하여 폭건(暴乾)한다.[본초].

 


酒浸一宿侯乾拌蜜蒸望用入門

 

침주(浸酒)하여 일숙(一宿)하였다가 말린 다음 꿀에 버무려 쪄서 햇볕에 말려서 쓴다[입문].

 

 

 

 

 

密蒙花散

 

밀몽화산(密蒙花散)

 

 

治十六般內障多年昏暗

 

십육종(十六種)의 내장(內障), 다년(多年)의 혼암(昏暗)을치()한다.

 

密蒙花二兩羚羊角燞牄(卽桑履也)人參覆盆子地膚子枸杞子甘草各一兩盢蔚子時蓂子甘菊槐花各五錢右爲末每二錢米飮調下得效

 

밀몽화(密蒙花) 이량(二兩), 영양각(羚羊角), 제조(蠐螬/굼벵이(제조, 뽕나무 속에 있던 굼벵이를 쓴다), 인삼(人參) 복분자(覆盆子), 지부자(地膚子), 구기자(枸杞子), 감초(甘草) ()일량(一兩), 익모초씨, 석명자(菥蓂子), 감국(甘菊), 괴화(槐花) ()오전(五錢). 위를 연말(硏末)하여 매() 이전(二錢)씩 미음(米飮)에 타 먹는다.[득효].

 

 

治十六般內障多年昏暗或近日不明淚出眩爛一切目疾並皆治之

 

羚羊角一兩水煮炒幹人參一兩密蒙花二兩覆盆子.蠐螬醋浸各一 半 兩上爲末食後用飯飲調下二錢

 

[世醫得效方 卷第十六 眼科/七十二症方]

 

[동의보감(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