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극(大戟)[본경/동의보감]

2021. 4. 30. 07:19[신농본초경]/하경(下經)

대극(大戟)[본경/동의보감]

 

 

 

대극/대극(大戟)

 

대극

 

이명 : [능수버들] [버들옻] [우독초]

학명 : Euphorbia pekinensis Rupr.

분류군 : Euphorbiaceae(대극과)

일명 : タカトウダイ(Taka-todai)

영명 : Peking Euphorbia

漢名 : 愚毒草(어리석을 우, 독 독, 풀 초), 勒馬宣(굴래 륵, 말 마, 베풀 선), 大戟(한약명/큰 대, 창 극)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둔두 또는 예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2.5-2.8cm, 6-12m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중륵에 흰빛이 돈다.

 

열매

삭과는 납작한 구형이고 사마귀 같은 돌기가 있으며 유면이 3각편으로 개열하고 종자는 광타원형이며 길이 1.8mm로서 겉이 밋밋하다.

 

꽃은 6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달리며 윗부분에서 5개의 잎이 윤생하고 5개의 가지가 산형으로 갈라진다. 총포엽은 넓은 난형, 삼각상 원형 또는 난상 원형으로서 길이 5-12mm이며 배상화서의 선체는 긴 타원형이고 지름 1.5mm정도로서 검은 갈자색이다. 1개의 암술로 구성된 1개의 암꽃과 1개의 수술로 구성된 몇개의 수꽃이 소총포안에 들어 있으며 암술대는 3개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줄기

높이가 80cm에 달하고 곧추 자라지만 밑부분에서 흔히 가지가 갈라지고 자르면 유액이 나오며 꼬부라진 털이 있다.

 

뿌리

뿌리가 굵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전남(무안), 경남, 경북(비파산), 충남, 경기, 황해, 평북,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다년초.

크기

높이 80cm.

 

 

 

 

생육 환경

산이나 들에 난다.

/번식방법

종자 번식한다.

결실기

8, 9

 

이용방안

()大戟(대극)이라 하며 약용한다.

 

봄 발아 전 또는 가을에 (), ()枯死(고사)하였을 때 뿌리를 캐어 남아 있는 줄기와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 대극에는 triterpenoid(euphorbon )alkaloid, 色素體(색소체),

euphorbiaA,B,C 등이 함유되어 있고 신선한 잎에는 비타민C 110-112mg%가 함유되어 있

.

 

약효 : 瀉水逐飮(사수축음), 消腫散結(소종산결)의 효능이 있다. 水腫(수종), (수고-無熱性

膀胱痲痺(무열성방광마비)), 痰飮(담음), 나력, 化膿性 腫瘍(화농성 종양)을 치료한다.

二水(십이수), 服滿急痛(복만급통-內臟腫瘤(내장종류)에 의한 急激(급격)한 통증)), 積聚(적취

-소화불량에 의한 위통, 위경련), 중풍으로 인한 皮膚疼痛(피부동통), 구토를 치료한다.

 

용법/용량 : 1.5-3g을 달여서 마시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이용>

달인 ()으로 熏洗(훈세)한다.

 

유사종

 

흰대극(E. esula L.): 전체에 털이 없으며, 분백색, 잎은 피침형, 주걱 모양, 꽃은 노란색이다.

두메대극(E. fauriei): 제주도 한라산의 산지에 자라며 잔털이 분포. 잎은 난상 타원형, 긴 타원형, 꽃은 황록색이다.

등대풀(E. helioscopia): 잎은 잎자루는 없고, 주걱 모양의 도란형, 끝이 둥근 모양이거나 오목하게 들어간다.

암대극(E. jolkini):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피침형, 선상 피침형, 꽃은 황록색이다.

특징

유독 식물이다.

 

 

 

학명 Euphorbia pekinensis Rupr.

Mem. Acad. Imper. Sci. St. Petersbourg 9: 239

 

 

1. Galarhoeus pekinensis (Rupr.) Hara

J. Jap. Bot. 11: 386 (1935)

1) World Cat. Species Names Published Tribe Euphorbieae (Euphorbiaceae) with their Geogr. Distrib. (Oudejans, Utrecht, NL: 1990)

 

2. Tithymalus pekinensis (Rupr.) Hara

Enum. Spermatophyt. Jap. 3: 55 (1954)

1) World Cat. Species Names Published Tribe Euphorbieae (Euphorbiaceae) with their Geogr. Distrib. (Oudejans, Utrecht, NL: 1990)

 

국명 대극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능수버들

2. 버들옻

3. 우독초

북한명 버들옻

외국명 영문명

Peking Euphorbia

일본명

タカトウダイ

 

 

 

 

Euphorbia pekinensis Rupr.

in Maxim. Prim. Fl. Amur. 239; Boiss. Cent. Euph. 31.

239; Boiss. Cent. Euph. 31. 0

Original Data:

Notes: China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대극(大戟)

 

Euphorbia pekinensis Rupr.

 

 

이명(异名)

 

Euphorbia pekinensis var. pseudolucorum (Hurus.) Oudejans

Euphorbia tchen-ngoi (Soják) Radcl.-Sm.

Euphorbia lasiocaula Boiss.

Euphorbia lasiocaula var. pseudolucorum Hurus.

Euphorbia pekinensis var. attenuata Hurus.

Euphorbia pekinensis var. hupehensis Hurus.

Euphorbia pekinensis var. lasiocaula (Boiss.) Oudejans

Euphorbia pekinensis var. sinanensis (Hurus.) Oudejans

Euphorbia cavaleriei H. Lév. et Vaniot

Euphorbia sampsonii Hance

Euphorbia jessonii Oudejans

Euphorbia hurusawae var. imaii (Hurus.) Oudejans

Euphorbia hurusawae Oudejans

Euphorbia imaii f. denudata Hurus.

Euphorbia imaii Hurus.

Euphorbia labbei H. Lév.

Euphorbia pekinensis f. denudata (Hurus.) Oudejans

Euphorbia pekinensis f. sinanensis Hurus.

Tithymalus pekinensis (Rupr.) Hara

Tithymalus pekinensis subsp. barbellatus (Hurus.) Hurus.

Tithymalus pekinensis subsp. lanceolatus (Liou) Hurus.

Tithymalus tchen-ngoi Soják

Euphorbia sinense Jesson ex Turrill

Galarhoeus pekinensis (Rupr.) H.Hara

Euphorbia pekinensis f. sinensis Hurus.

Euphorbia pekinensis var. sinensis (Hurus.) Oudejans

 

 

 

^^^^^^^^^^^^^^^^^^^^^^^^^^^^^^^^^^^^^^^^^^^^^^^^^^^^^^^^^^^^^^^^^^^^^^^^^^^

大戟

 

味苦寒

 

主蠱毒十二水腫滿急痛積聚中風皮膚疼痛吐逆

 

一名印巨案此無生川澤三字者古或與澤漆為一條)。

 

名醫生常山十二月採根陰乾

爾雅卬巨郭璞云今藥草大戟也。《淮南子繆稱訓云大戟去水

 

 

[本經/下經]

 

^^^^^^^^^^^^^^^^^^^^^^^^^^^^^^^^^^^^^^^^^^^^^^^^^^^^^^^^^^^^^^^^^^^^^^^^^^^

 

大戟

 

대극(大戟)

 

 

버들옷性寒味苦甘有小毒

 

()은 한()하고 미()는 고(), ()하며 소독(小毒)이 있다.

 

 

主蠱毒十二水腫滿利大小腸瀉毒藥泄天行黃疸溫秇破琋結墮胎

 

고독(蠱毒), 십이수종(十二水腫)에 주효(主效)하고 대소장(大小腸)을 이()하며 독약(毒藥)을 사()하고 천행(天幸)의 황달(黃疸), 온학(温疟)을 설()하며 징결(癥結)을 파()하고 타태(墮胎)한다.

 


澤漆根也秋冬採根陰乾本草


택칠(澤漆)의 근()이다. 추동(秋冬)에 채근(採根)하여 음건(陰乾)한다.[본초].

 


春生紅芽故方用多云紅芽大戟與甘遂同爲泄水之藥細犫蒸或微炒入門

 

 

 

봄에 홍아(紅芽)가 나오기 때문에 흔히 홍아대극(紅芽大戟)이라고 부른다. 감수(甘遂)와 같이 쓰면 설수(泄水)의 약()이 된다. 가늘게 썰어서 증() 혹은 미초(微炒)한다.[입문].

 

 

[東醫寶鑑]